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0권, 地理志 慶尙道 晉州牧

地理志 / 慶尙道 / 晉州牧


진주목(晉州牧)

백제 거렬성(居列城)인데, 신라 문무왕 2년 계해에 【바로 당(唐) 고종(高宗) 용삭(龍朔) 3년이다. 】 이를 탈취하여 주(州)를 만들고, 신문왕(神文王) 4년 을유에 【바로 당(唐)나라 수공(垂拱) 원년이다. 】 거렬주(居列州)를 올려서 청주(菁州)로 하고 총관(摠管)을 두었으며, 【거렬(居列)은 일명(一名) 거타(居陁)라고도 한다. 】 경덕왕강주(康州)로 고치고, 혜공왕(惠恭王)이 다시 청주(菁州)로 하였다. 고려 태조가 또 강주(康州)로 고쳤고, 성종 2년 계미에 처음으로 12목(牧)을 두었으니, 바로 그 하나이다. 을미년에 12주(州) 절도사(節度使)를 두고 이름을 진주 정해군 절도사(晉州定海軍節度使)로 하였는데, 현종 3년 임자에 절도사(節度使)를 폐하고 안무사(安撫使)로 고쳤다가, 무오년에 진주목(晉州牧)으로 정하여 8목(牧)의 하나로 삼았다. 본조(本朝) 태조 원년 임신에 현비(顯妃) 강씨(康氏)의 내향(內鄕)인 까닭으로 올려서 진양 대도호부(晉陽大都護府)를 삼았고, 태종 2년 임오에 도로 진주목(晉州牧)으로 하였다. 속현(屬縣)이 3이니, 반성(班城), 【삼국 시대의 칭호는 자세히 알 수 없다. 】 영선(永善)은 본디 일선현(一善縣)인데, 경덕왕이 이름을 상선(尙善)으로 고쳐서 고성군(固城郡)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악양(岳陽)은 본디 소다사현(小多沙縣)인데, 경덕왕이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하동군(河東郡)의 영현(領縣)을 삼았다. 【위의 세 현은 현종 무오년에 모두 본주(本州) 임내(任內)에 붙였다. 】 부곡(部曲)이 2이니, 화개곡(花開谷)·살천곡(薩川谷)이다. 【위의 두 부곡의 장(長)은 모두 머리를 깎아서 ‘승수(僧首)’라고 일컬었는데, 방언(方言)의 소리가 변하여 지금은 시내(矢乃)가 되었다. 】

명산(名山)은 지리산(智異山)이 주(州) 서쪽에 있다. 【일명(一名) 두류산(頭流山)이다. 대천왕사(大天王祠)가 있다. 】 옥산(玉山)은 주(州) 서쪽에 있다. 【가뭄을 만날 때마다 산 위에서 제사를 베풀고 섶[柴]을 태우면, 곧 비가 온다. 】 본주(本州)의 성황(城隍) 【국초(國初)에는 춘추(春秋)로 향과 축문을 내려서 제사를 행하였는데, 지금은 다만 소재관(所在官)으로 하여금 행하게 한다. 】 대천(大川)은 남강(南江) 【그 근원이 둘이니, 하나는 지리산 북쪽에서 나오고, 하나는 지리산 남쪽에서 나와, 주(州) 서쪽에서 합류하여 동남쪽으로 흐른다. 】 두치진(豆恥津)이다. 【그 근원이 둘이니, 하나는 지리산 서남쪽에서 나오고, 하나는 전라도 구례(求禮)에서 나온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함안(咸安)에 이르기 46리, 서쪽으로 전라도 구례(求禮)에 이르기 1백 2리, 남쪽으로 고성(固城)에 이르기 45리, 북쪽으로 진성(珍城)에 이르기 28리다.

본주(本州)의 호수는 1천 6백 28호, 인구가 5천 9백 6명이요, 반성(班城)의 호수는 2백 77호, 인구가 6백 87명이요, 영선(永善)의 호수는 2백 54호, 인구가 7백 48명이요, 악양(岳陽)의 호수는 60 단(單) 1호, 인구가 1백 80 단(單) 1명이다.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백 74명, 영진군(營鎭軍)이 1백 88명, 선군(船軍)이 9백 75명이다.

본주(本州)의 토성(土姓)이 4이니, 정(鄭)·하(河)·강(姜)·소(蘇)이요, 입주(立州) 후(後)의 성(姓)이 3이니, 유(柳)·임(任)·강(康)이며, 속성(續姓)이 2이니, 김(金) 【예주(禮州)에서 왔다. 】 ·박(朴) 【근본은 알 수 없다. 】 이다. 반성(班城)의 성이 4이니, 옥(玉)·성(成)·형(邢)·주(周)이요, 속성이 1이니, 김(金)이다. 【고성(固城)에서 왔다. 】 영선(永善)의 성이 3이니, 임(林)·임(任)·양(陽)이요, 악양(岳陽)의 성이 5이니, 도(陶)·오(吳)·임(任)·손(孫)·이며, 속성이 1이니, 이다. 【김해에서 왔다. 이상 세 현의 속성은 지금 모두 향리가 되었다. 】 없어진 복산(福山)·송자(松慈) 2향(鄕)의 성이 1이니, 문(文)이다. 인물(人物)은 지중추원사 병부 상서(知中樞院事兵部尙書) 강민첨(姜民瞻) 【고려 현종 때 사람이다. 】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진산 부원군(晉山府院君) 문충공(文忠公) 하윤(河崙) 【본조 태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하였다. 묘(墓)는 주(州)에서 25리 동쪽 동방산(桐旁山)에 있다. 】 이다.

땅이 기름지고, 기후는 따뜻하며, 풍속은 부유하고, 화려함을 숭상한다. 간전(墾田)이 1만 2천 7백 30결이다. 【논이 조금 적다. 】 토의(土宜)는 오곡과 조·메밀·감·배·석류·뽕나무·삼[麻]·목면(木綿)이요, 토공(土貢)은 꿀·밀[黃蠟]·녹포(鹿脯)·문어·은구어·표고버섯·석이(石茸)·송이버섯·지초·작설다(雀舌茶)·자리[席]·죽피방석(竹皮方席)·가는 대[篠]·왕대[簜]·칠·종이·돼지털·사슴가죽·노루가죽·여우가죽·수달피(水獺皮)·산달피(山獺皮)이며, 약재(藥材)는 천문동(天門冬)이요, 토산(土産)은 우무[牛毛]·세모(細毛)·청각(靑角)·미역·해삼이다. 어량(魚梁)이 2이니, 하나는 김양촌(金陽村)에 있고, 하나는 강주포(江州浦)에 있다. 염소(鹽所)가 1이니, 곤양(昆陽) 경계에 있다. 【본주 사람이 내왕하면서 구워 온다. 】 자기소(磁器所)가 3이니, 하나는 주(州) 북쪽 목제리(目堤里)에 있고, 하나는 주(州) 서쪽 중전리(中全里)에 있고, 하나는 주(州) 동쪽 월아리(月牙里)에 있다. 【모두 하품이다. 】 도기소(陶器所)가 2이니, 하나는 주(州) 동쪽 유등곡(柳等谷)에 있고, 하나는 주(州) 남쪽 반룡진(盤龍津)에 있다. 【오로지 누른 옹기만을 만드는데, 하품이다. 】

읍 석성(邑石城) 【둘레가 2천 6보인데, 안에 못이 3, 우물 3이 있다. 】 송대산 석성(松臺山石城)은 주(州) 동쪽 35리에 있다. 【높고 험하며, 둘레가 7백 6보인데, 안에 샘 2가 있고, 또 군창(軍倉)이 있다. 】 봉명루(鳳鳴樓)는 객사(客舍) 남쪽에 있고, 촉석루(矗石樓)용두사(龍頭寺) 남쪽 돌벼랑[石崖] 위에 있다. 역(驛)이 10이니, 조촌(𡇂村)·평거(平居)·정수(正守)·평사(平沙)·소남 신역(召南新驛)·금량 신역(金良新驛)·말문 신역(末文新驛) 【모두 주(州) 경계에 있다. 】 ·영선 신역(永善新驛)·부다(富多) 【반성(班城)에 있다. 】 ·신역(新驛)이 주(州) 경계에 있다. 적량(赤梁)은 주(州) 서쪽 창선도(彰善島)에 있다. 【주(州)에서 80리 거리인데 수군 만호가 수어한다. 】 봉화가 5곳이니 망진산(望津山)은 주(州) 남쪽에 있다. 【남쪽으로 사천(泗川) 성황당(城隍堂)에 응하고, 북쪽으로 광제산(光濟山)에 응한다. 】 광제산(光濟山) 【북쪽으로 단계현(丹溪縣) 입암(笠岩)에 응한다. 】 각산향 주산(角山鄕主山)은 주(州) 남쪽에 있다. 【동쪽으로 고성(固城) 좌이산(佐耳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사천(泗川) 침지(針枝)에 응하며, 남쪽으로 금량 부곡(金良部曲) 양둔산(陽芚山)에 응한다. 】 양둔산(陽芚山) 【남쪽으로는 남해도(南海道) 망운산(望雲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본주(本州) 계화산(桂花山)에 응한다. 】 계화산(桂花山) 【서쪽으로 전라도 건대산(件代山)에 응한다. 】 단속사(斷俗寺)는 주(州) 서쪽 42리에 있고, 【선종(禪宗)에 속하며, 급전(給田)이 1백 50결이다. 절에 《한창려집(韓昌黎集)》 및 고려 《이상국집판(李相國集板)》 판(板)이 있다. 】 쌍계사(雙溪寺)는 주(州) 서쪽 화개곡(花開谷)에 있다. 【전우(殿宇)는 허물어졌고 신라 때에 창건한 조사전(祖師殿)만이 있다. 절 앞에 문(門)처럼 생긴 돌이 있는데, 최치원이 그 위에 쓰기를, "쌍계석문(雙溪石門)"이라고 하였는데, 지금도 어제 쓴 것과 같이 분명하다. 동변(東邊)의 한 돌에는 ‘쌍계’ 두 자를 새기고, 서변(西邊)의 한 돌에는 ‘석문’ 두 자를 새겼다. 】 흥선도(興善島)는 본디 고려 유질 부곡(有疾部曲)인데, 뒤에 창선현(彰善縣)으로 고쳐서 진주(晉州) 임내(任內)에 붙였고, 충선왕(忠宣王) 초에 왕의 혐명(嫌名)212) 을 피하여 흥선(興善)으로 고쳤는데, 왜적으로 인해 인물(人物)이 전망(全亡)한 까닭으로 지금은 직촌(直村)을 삼았다. 수로(水路)로 10리이다. 【백성들이 내왕하면서 농사를 짓는다. 】

관할[所領]은 도호부(都護府)가 2이니, 김해(金海)·창원(昌原)이요, 군(郡)이 3이니, 함안(咸安)·함양(咸陽)·곤남(昆南)이며, 현(縣)이 12이니, 고성(固城)·거제(巨濟)·사천(泗川)·거창(居昌)·하동(河東)·진성(珍城)·칠원(漆原)·산음(山陰)·안음(安陰)·삼가(三嘉)·의령(宜寧)·진해(鎭海)이다.


  • 【태백산사고본】 54책 150권 27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49면

  • [註 212]
    혐명(嫌名) : 이름과 음이 비슷한 것.

晋州牧: 百濟 居列城, 新羅 文武王二年癸亥, 【卽唐 高宗 龍朔三年。】 取以爲州。 神文王四年乙酉, 【卽唐 垂拱元年。】居列州, 爲菁州, 置摠管。 【居列, 一名居陁】 景德王改爲康州, 惠恭王復爲菁州, 高麗 太祖又改康州成宗二年癸未, 初置十二牧, 卽其一也。 乙未, 置十二州節度使, 號晋州定海軍節度使。 顯宗三年壬子, 廢節度使, 改爲按撫使, 戊午, 定爲晋州牧, 爲八牧之一。 本朝太祖元年壬申, 以顯妃 康氏內鄕, 陞爲晋陽大都護府。 太宗二年壬午, 還爲晋州牧。 屬縣三, 班城 【三國時稱號, 未詳。】 永善, 本一善縣, 景德王改名尙善, 爲固城郡領縣, 高麗改今名。 岳陽, 本小多沙縣, 景德王改今名, 爲河東郡領縣。 【右三縣, 顯宗戊午, 皆屬州任內。】 部曲二, 花開谷薩川谷 【右二部曲長, 皆剃頭, 稱爲僧首, 方言聲轉, 今爲矢乃。】 名山, 智異山在州西, 【一名頭流山, 大天王祠在焉。】 玉山在州西, 【每遇旱, 山上設祭燔柴, 卽雨。】 本州城隍。 【國初, 春秋隆香祝行祭, 今只令所官行。】 大川, 南江 【其源有二, 一出智異山北, 一出智異山南, 合流于州西東南流。】 豆恥津 【其源有二, 一自智異山西南來, 一自全羅道 求禮來。】 四境, 東距咸安四十六里, 西距全羅道 求禮一百二里, 南距固城四十五里, 北距珍城二十八里。 本州戶一千六百二十八, 口五千九百六。 班城戶二百七十七, 口六百八十七。 永善戶二百五十四, 口七百四十八。 岳陽戶六十單一, 口一百八十單一。 軍丁, 侍衛軍一百七十四, 營鎭軍一百八十八, 船軍九百七十五。 本州土姓四, ; 立州後姓三, ; 續姓二, 【禮州來。】 【本未詳。】 班成姓四, ; 續姓一, 【固城來。】 永善姓三, 岳陽姓五, ; 續姓一, 【金海來, 已上三縣續姓, 今皆爲鄕吏。】福山松慈二鄕姓一, 。 人物, 知中樞院事兵部尙書姜民瞻, 【高麗 顯宗時人。】 領議政府事晋山府院君 文忠公 河崙 【配享本朝太宗廟庭, 墓在州東二十五里桐旁山。】 厥土肥, 風氣暖, 俗尙富麗, 墾田一萬二千七百三十結。 【水田差少。】 土宜五穀, 粟、蕎麥、柿、梨、石榴、桑、麻、木綿。 土貢, 蜂蜜、黃蠟、鹿脯、文魚、銀口魚、蔈膏、石茸、松茸、芝草、雀舌茶、席、竹皮、方席、篠簜、漆、紙、猪毛、鹿皮、獐皮、狐皮、水獺皮、山獺皮。 藥材, 天門冬。 土産, 牛毛、細毛、靑角、藿、海蔘。 魚梁二所, 一在金陽村, 一在江州浦。 鹽所一, 在昆陽界。 【州人來往煮取。】 磁器所三, 一在州北目堤里, 一在州西中全里, 一在州東月牙里 【皆下品。】 陶器所二, 一在州東柳等谷, 一在州南盤龍津 【專陶黃甕, 皆下品。】 邑石城。 【周回二十六步, 內有池三、井三。】 松臺山石城在州東三十五里。 【高險, 周回七百六步, 內有井二, 又有軍倉。】 鳳鳴樓在客舍南, 矗石樓龍頭寺南石崖之上。 驛十, 𡇂村平居正守平沙召南新驛、金良新驛、末文新驛、 【皆在州界。】 永善新驛、富多 【在班城。】 新驛在州界。 赤梁在州西。 彰善島 【距州八十里, 水軍萬戶守禦。】 烽火五處, 望津山在州南。 【南準泗川城隍堂, 北準光濟山。】 光濟山 【北準丹溪縣 笠岩。】 角山鄕主山在州南, 【東準固城 佐耳山, 北準泗川 針枝, 南準金良部曲 陽芚山。】 陽芚山 【南準南海島 望雲山, 北準本州桂花山。】 桂花山 【西準全羅道 件代山。】 斷俗寺在州西四十二里, 【屬禪宗, 給田一百五十結。 寺有《韓昌黎集》及高麗 《李相國集》板。】 雙溪寺在州西花開谷 【殿宇頹圮, 只有新羅時所創祖師殿。 寺前有石如門, 崔致遠題其上曰雙溪石門, 至今分明如昨。 東邊一石, 刻雙溪二字; 西邊一石, 刻石門二字。】 興善島, 本高麗 有疾部曲, 後改爲彰善縣, 屬晋州任內。 忠宣王初避王嫌名, 改爲興善人物全亡, 今爲直村, 水路十里。 【人民來往農作。】 所領都護府二, 金海昌原; 郡三, 咸安咸陽昆南; 縣十二, 固城巨濟泗川居昌河東珍城漆原山陰安陰三嘉宜寧鎭海


  • 【태백산사고본】 54책 150권 27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4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