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3권, 지리지 강원도 회양 도호부

지리지 / 강원도 / 회양 도호부


회양 도호부(淮陽都護府)

사(使) 1인. 유학 교수관(儒學敎授官) 1인.

본래 고구려각련성군(各連城郡)인데, 【각(各)이 객(客)으로도 쓰이었다. 가혜아(加兮牙)라고도 한다. 】 신라에서 연성군(連城郡)으로 고쳤다. 고려 때에 이물성(伊勿城)이라 일컬었으며, 【태조기(太祖記)에 나온다. 】 성종(成宗) 14년 병신에 교주 단련사(交州團練使)로 고쳤고, 현종(顯宗) 9년에 방어사(防禦使)로 고쳤다가, 충렬왕(忠烈王) 34년 무신에 철령 구자(鐵嶺口子)의 파절(把截)로써 공이 있으므로 회주목(淮州牧)으로 승격시켰고, 【원나라 무종(武宗) 지대(至大) 원년. 】 충선왕(忠宣王) 2년 경술에 회양부(淮陽府)로 강등하였다. 본조에서 그대로 따르다가,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예(例)에 의하여 도호부(都護府)로 하였다. 별호(別號)는 연성(蓮城), 혹은 연성(連城)이라 한다. 【순화(淳化) 때에 정한 것이다. 】 속현(屬縣)이 5이니, 화천현(和川縣)은 본래 고구려수생천현(數狌川縣)인데, 신라에서 수천(藪川)으로 고쳐서 대양군(大陽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에서 화천현(和川縣)으로 고쳐서 교주(交州) 임내로 하였는데, 본조(本朝)에서 그대로 하였다. 수입현(水入縣) 【매이현(買伊縣)이라고도 한다. 】 금성현(金城縣)의 보(報)에 의거하면, 본시 통구현(通溝縣)의 땅인데, 갈라 붙인 연대는 미상(未詳)하다. 문등현(文登縣)은 본래 고구려문현현(文現縣)인데, 【근시파혜(斤尸波兮)라고도 한다. 】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대양군(大陽郡)의 영현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에 춘주(春州) 임내에 옮겨 붙이었다가, 뒤에 다시 교주(交州)에 붙였는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남곡현(嵐谷縣)은 본래 고구려적목진(赤木鎭)인데, 신라에서 단송현(丹松縣)으로 고쳐서 연성군(連城郡)의 영현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 9년에 남곡으로 고쳐서 교주 임내로 하였으며, 본조에서 그대로 따랐다. 장양현(長楊縣)은 본래 고구려대양관군(大陽管郡)인데, 【마근압(馬斤押)이라고도 한다. 】 신라에서 대양군(大陽郡)으로 고쳤고, 고려에서 장양현으로 고쳐 교주 임내로 한 것을, 본조에서 그대로 따랐다.

진산(鎭山)은 의관령(義館嶺)이다. 【부의 북쪽에 있다. 】 덕진명소(德津溟所) 【의관령 아래에 있다. 봄·가을에 향(香)을 내려 제사지내는데, 모두 소사(小祀)로써 한다. 】 금강산(金剛山) 【장양현의 동쪽 30리쯤에 있다. 풍악(楓岳)이라고도 하고, 개골(皆骨)이라고도 한다. 우리 나라의 산수(山水)가 천하(天下)에 이름났는데, 이 산의 천만 봉우리는 눈처럼 서서, 높고 절묘함이 으뜸이며, 또 불서(佛書)에 담무갈보살(曇無竭普薩)이 머무르던 곳이란 말이 있어서, 인간의 정토(淨土)라 이른다. 민간에서 전하기를, "중국(中國) 사람들이 또한 이르기를, ‘고려국에 나서 친히 〈금강산〉 보기를 원한다.’ 하였다." 한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통천(通川)에 이르기 52리, 서쪽으로 평강(平康)에 이르기 71리, 남쪽으로 금성(金城)에 이르기 38리, 북쪽으로 함길도(咸吉道) 안변(安邊)에 이르기 30리이다.

호수가 2백 22호요, 인구가 5백 92명이다. 화천현의 호수가 19호요, 인구가 39명이며, 수입현의 호수가 41호요, 인구가 1백 55명이며, 문등현의 호수가 14호요, 인구가 28명이며, 남곡현의 호수가 11호요, 인구가 46명이며, 장양현의 호수가 1백 단(單) 4호요, 인구가 2백 18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백 58명이요, 선군이 10명이다.

토성(土姓)이 5이니, 송(宋)·방(房)·고(高)·이(李)·현(玄)이요, 속성(續姓)이 4이니, 김(金) 【청도(淸道)에서 왔다. 】 ·채(蔡) 【평강에서 왔다. 】 ·전(全) 【정선(旌善)에서 왔다. 】 ·정(鄭) 【무안(務安)에서 왔는데, 모두 향리이다. 】 ·채(蔡) 【평강(平康)에서 왔다. 】 망성(亡姓)이 1이니, 방(房)이다. 【웅림(熊林)에서 왔다. 】 화천의 성이 1이니, 김(金)이요, 망성이 1이니, 은(殷)이며, 수입(水入)의 속성(續姓)이 2이니, 김(金) 【삼척(三陟)에서 왔는데, 향리이다. 】 ·윤(尹)이며, 【현(縣)과 성씨가 옛 문적에는 없다. 】 문등의 성이 1이니, 수(壽)요, 망성이 4이니, 신(辛)·양(楊)·형(邢)·신(信)이며, 남곡의 성이 1이니, 박(朴)이요, 망성이 3이니, 전(田)·노(盧)·현(玄)이며, 장양의 성이 1이니, 맹(孟)이요, 망성이 3이니, 경(敬)·화(華)·전(田)이다.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차다. 간전(墾田)이 4천 5백 86결이요, 【논이 7결 뿐이다. 】 토의(土宜)는 기장·피·조·콩·메밀·뽕나무·삼·밤이다. 토공은 꿀·밀[黃蠟]·칠·잣·오배자·시우쇠·지초·느타리·석이·여우가죽·삵괭이가죽·수달피·노루가죽·표범꼬리·돼지꼬리·곰의 털이요, 약재는 오미자·복령·승검초뿌리[當歸]·쥐꼬리망초뿌리[秦]·바디나물뿌리[前胡]·궁궁이·나팔꽃씨[牽牛子]·대왕풀[白芨]·백교향(白膠香)·북나무진[安息香]·속새[木賊]·지남철[磁石]·곰의 쓸개·산양이뿔[羚羊角]·소유(酥油)·공청(空靑)·인삼이다. 토산(土産)은 금(金)이 부(部)의 동쪽 30리 보제진(菩堤津) 냇가와 부(部)의 북쪽 5리 임계사(臨溪寺) 아래 냇가에서 난다.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부(郡)의 동쪽 옹리(甕里)에 있다. 【하품이다. 】

천불산 석성(天佛山石城)이 부의 남쪽에 있다. 【둘레 6백 71보(步) 1척이며, 안에 샘 하나가 있는데, 가물면 마른다. 】 역(驛)이 2이니, 은계(銀溪)·신안(新安)이요, 【본래 동안역(東安驛)인데, 금상(今上) 7년 을사에 임내 장양현의 신양약(新楊驛)을 동안(東安)에 합쳐 신안(新安)으로 고쳤다. 】 화천의 역이 1이니, 화친(和親)이다. 【본조 태종 2년 임자에 비로소 두었다. 】 요해(要害)는 철령(鐵嶺)이 부의 북쪽 30리에 있고, 추지령(楸池嶺)화천 동쪽에 14리에 있으며, 세령현(洒嶺峴)장양 북쪽 30리에 있다. 봉화가 6곳이니, 개탄(个呑)이 부의 남쪽에 있고, 【남쪽으로 금성(金城) 임내 기성(岐城)의 성산(城山)에, 동쪽으로 임내 화천의 여이파에 응한다. 】 여이파(餘伊破) 【동쪽으로 추지에 응한다. 】 ·추지(楸池) 【동쪽으로 통천(通川) 금란(金蘭)에 응한다. 】 ·소산(所山)이 부의 서쪽에 있고, 【북쪽으로 함길도 안변(安邊) 철령(鐵嶺)에 응한다. 】 남곡 성북(嵐谷城北) 【동쪽으로 부지(府地) 소산(所山)에, 남쪽으로 쌍령에 응한다. 】 ·쌍령(雙嶺) 【남쪽으로 평강 송현(松峴)에 응한다. 】 이 있다. 표훈사(表訓寺) 【교종(敎宗)에 붙이고, 전지 3백 결(結)을 주었다. 】 ·정양사(正陽寺) 【교종에 붙이고, 전지 1백 50결을 주었다. 】 ·장안사(長安寺) 【선종(禪宗)에 붙이고, 전지 3백 결(結)을 주었다. 위의 세 절은 모두 금강산에 있다. 】

관할[所領]이 4이니, 금성(金城)·김화(金化)·평강(平康)·이천(伊川)이다.


  • 【태백산사고본】 57책 153권 7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8면


淮陽: 都護府使一人, 儒學敎授官一人。 本高句麗 各連城郡, 【各, 一作客, 一云加兮牙。】 新羅連城郡, 高麗時, 又稱伊勿城 【見《太祖記》。】 成宗十四年丙申, 改交州團練使, 顯宗戊午, 改爲防禦使, 忠烈王三十四年戊申, 以鐵嶺口子把截有功, 陞淮州牧。 【元 武宗 至大元年。】 忠宣王二年庚戌, 降爲淮陽府, 本朝因之。 太宗十三年癸巳, 例爲都護府。 別號蓮城, 或連城 【淳化所定。】 屬縣五, 和川縣, 本高句麗 數狌川縣, 新羅改名藪川, 爲大陽郡領縣。 高麗和川縣, 爲交州任內, 本朝因之。 水入縣, 【一云買伊縣。】金城縣報, 本是通溝縣地, 分屬年代未詳。 文登縣, 本高句麗 文現縣, 【一云斤尸波兮】 新羅改今名, 爲大陽郡領縣。 高麗 顯宗戊午, 移屬春州任內, 後復屬交州, 本朝因之。 嵐谷縣, 本高句麗 赤木鎭, 新羅改名丹松縣, 爲連城郡領縣。 高麗 顯宗戊午, 改嵐谷, 爲交州任內, 本朝因之。 長楊縣, 本高句麗 大陽管郡, 【一云馬斤押。】 新羅大陽郡, 高麗長楊縣, 爲交州任內, 本朝因之。 鎭山, 義館嶺 【在府北】 德津溟所 【在義館嶺下, 春秋降香致祭, 皆小祀。】 金剛山 【在長楊縣東三十里許, 一云楓岳, 或稱皆骨, 海東山水名於天下, 此山千峯雪立, 高竣奇絶, 又爲之冠。 且以佛書有曇無竭菩薩所住之說, 世遂謂人間淨土, 諺傳中國人亦云: "願生高麗國, 親見之。"】 四境, 東距通川五十二里, 西距平康七十一里, 南距金城三十八里, 北距咸吉道 安邊三十里。 戶二百二十二, 口五百九十二。 和川縣戶十九, 口三十九, 水入縣戶四十一, 口一百五十五。 文登縣戶十四, 口二十八。 風谷縣戶十一, 口四十六。 長楊縣戶一百單四, 口二百十八。 軍丁, 侍衛軍, 一百五十八, 舡軍十。 土姓五, ; 續姓四, 【淸道來。】 【平康來。】 【旌善來。】 【務安來。 皆鄕吏】 ; 【平康來。】 亡姓一, 【熊林來。】 和川姓一, ; 亡姓一, 水入續姓二, 【三陟來, 鄕吏。】 【縣及姓氏, 古籍無。】 文登姓一, ; 亡姓四, 嵐谷姓一, ; 亡姓三, 長楊姓一, 孟; 亡姓三, 。 厥土塉, 風氣寒, 墾田四千五百八十六結。 【水田止七結。】 土宜, 黍、稷、粟、豆、蕎麥、桑、麻、栗。 土貢, 蜂蜜、黃蠟、漆、松子、五倍子、正鐵、芝草、眞茸、石茸、狐皮、狸皮、水獺皮、麞皮、豹尾、猪尾、熊毛。 藥材, 五味子、茯苓、當歸、蓁艽、前胡、芎藭、牽牛子、白芨、白膠香、安息香、木賊、磁石、熊膽、羚羊角、酥油、空靑、人蔘。 土産, 金産府東三十里菩堤津川邊及府北五里臨溪寺下川邊。 陶器所一, 在府東瓮里 【下品】 天佛山石城, 在府南。 【周回六百七十一步一尺, 內有一泉, 旱則渴。】 驛二, 銀溪新安 【本東安驛, 今上七年乙巳, 以任內長楊縣 新楊驛合于東安, 改稱新安。】 和川驛一, 和親 【本朝太宗二年壬子, 始置。】 要害, 鐵嶺在府北三十里, 楸池嶺和川東十四里, 洒嶺峴長楊北三十里。 烽火六處, 个呑在府南, 【南準金城任內歧城城山, 東準任內和川 餘伊破。】 餘伊破 【東準楸池。】 楸池 【東準通川 金蘭。】 所山在府西, 【北準咸吉道 安邊 鐵嶺。】 嵐谷城北、 【東準府地所山, 南準雙嶺。】 雙嶺 【南準平康 松峴。】 表訓寺 【屬敎宗, 給田三百結。】 正陽寺 【屬敎宗, 給田一百五十結。】 長安寺 【屬禪宗, 給田三百結。 右三寺, 皆在金剛山。】 所嶺縣四, 金城金化平康伊川


  • 【태백산사고본】 57책 153권 7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