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지 / 강원도 / 회양 도호부 / 금성현
◎ 금성현(金城縣)
영(令) 1인.
본래 고구려의 모성군(母城郡)인데, 신라에서 익성군(益城郡)으로 고쳤고,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에 금성현으로 고쳐서 교주(交州) 임내로 하였다가, 예종(睿宗) 원년 병술에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고, 뒤에 현령으로 하였는데, 본조에서 그대로 따랐다. 별호는 금양(金壤)이다. 속현(屬縣)이 2이니, 통구현(通溝縣)은 본래 고구려의 수입현(水入縣)인데,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기성군(岐城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 현종 9년에 교주(交州)의 임내로 옮겨 붙이었다가, 뒤에 내속(來屬)시켰다. 기성현(岐城縣)은 본래 고구려의 동사홀군(冬斯忽郡)인데, 신라에서 기성군으로 고쳤고, 고려에서도 그대로 따랐다가, 뒤에 현(縣)이 패망(敗亡)하게 되매, 지금 직촌(直村)으로 하였다.
경파산(慶把山) 【현(縣)의 북쪽에 있는데, 현의 사람들이 진산(鎭山)으로 삼는다. 】 보제진(菩提津) 【기성현 북쪽에 있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낭천(狼川)에 이르기 40리, 서·남쪽으로 김화(金化)에 이르는데, 서쪽이 28리, 남쪽이 13리이며, 북쪽으로 회양(淮陽)에 이르기 49리이다.
호수가 3백 40호요, 인구가 7백 59명이며, 통구현의 호수가 72호요, 인구가 96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백 19명이다.
토성(土姓)이 3이니, 손(孫)·노(盧)·유(劉)요, 망성(亡姓)이 2이니, 소(蘇)·신(申)이요, 속성(續姓)이 5이니, 최(崔) 【원주(原州)에서 왔다. 】 ·송(宋) 【경주에서 왔다. 】 ·이(李) 【영주(寧州)에서 왔다. 】 ·황(黃) 【평해(平海)에서 왔다. 】 ·정(鄭)이요, 【양양(襄陽)에서 왔는데, 모두 향리이다. 】 통구의 성이 2이니, 이(李)·박(朴)이요, 망성이 4이니, 전(田)·임(林)·윤(尹)·박(朴)이요, 속성(續姓)이 2이니, 김(金)·서(徐)이다. 기성의 망성(亡姓)이 3이니, 박(朴)·고(高)·문(文)이요, 속성이 1이니, 김(金)이요, 망내성(亡來姓)이 2이니, 박(朴) 【통구에서 왔다. 】 ·허(許)이다. 【 평강에서 왔다. 】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차다. 간전(墾田)이 3천 9백 38결이요, 【논이 겨우 12결이다. 】 토의(土宜)는 기장·피·조·콩·보리·뽕나무·삼·닥·칠·밤이다. 토공은 꿀·밀[黃蠟]·시우쇠·잣·오배자·주토·지초·느타리·석이·사슴포·여우가죽·삵괭이가죽·노루가죽·돼지가죽·곰의 털이요, 약재는 인삼·복령·바디나물뿌리·승검초뿌리·쥐꼬리망초뿌리·대왕풀·백교향(白膠香)·오미자이다. 토산(土産)은 금(金)이 임내인 기성 북쪽 45리 보제진(菩提津) 가에서 나고, 연철(鉛鐵)이 현의 북쪽 15리 단정동(端正洞)·회양동(會陽洞) 및 기성 서쪽 27리 금야동(金也洞) 안의 작은 냇가에서 나며, 노감석철(爐甘石鐵)이 현의 북쪽 15리 단정동·회양동에서 나고, 【쓰지 못함. 】 석철(石鐵)이 기성 동쪽 45리 부암(釜嵓) 야음포(也音浦)의 작은 내에서 난다.
역(驛)이 3이니, 직목(直木)·서운(瑞雲) 【옛 이름은 간파(看波)인데, 본조 태종 14년에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 ·창도(昌道)이다. 【통구에 있는데, 금상(今上) 7년에 통도(通道)와 능창(能昌)을 병합하여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 봉화가 3곳이니, 아현(阿峴)이 현의 남쪽에 있고, 【서쪽으로 김화(金化) 소이산(所伊山)에, 북쪽으로 구을파(仇乙破)에 응한다. 】 구을파(仇乙破) 【북쪽으로 임내인 기성(岐城) 성북(城北)에 응한다. 】 ·성북(城北)이다. 【북쪽으로 회양 개탄(个呑)에 응한다. 】
- 【태백산사고본】 57책 153권 8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8면
◎ 金城: 縣令一人。 本高句麗 母城郡, 新羅改益城郡。 高麗 顯宗戊午, 改金城縣, 爲交州任內, 睿宗元年丙戌, 始置監務, 後爲縣令, 本朝因之。 別號金壤。 屬縣二。 通溝縣, 本高句麗 水入縣, 新羅改今名, 爲岐城郡領縣。 高麗 顯宗戊午, 移屬交州任內, 後來屬。 岐城縣, 本高句麗 冬斯忽郡, 新羅改岐城郡, 高麗因之, 後爲縣, 敗亡, 今爲直村。 慶把山 【在縣北, 縣人以爲鎭山。】 菩提津。 【在岐城縣北。】 四境, 東距狼川四十里, 西南距金化西二十八里, 南十三里, 北距淮陽四十九里。 戶三百四十, 口七百五十九。 通溝縣戶七十二, 口九十六。 軍丁, 侍衛軍一百十九。 土姓三, 孫、盧、劉; 亡姓二, 蘇、申; 續姓五, 崔、 【原州來。】 宋、 【慶州來。】 李、 【寧州來。】 黃、 【平海來。】 鄭。 【襄陽來, 皆鄕吏。】 通溝姓二, 李、朴; 亡姓四, 田、林、尹、朴; 續姓二, 金、徐; 亡岐城亡姓三, 朴、高、文; 續姓一, 金; 亡來姓二, 朴、 【通溝來。】 許。 【平康來。】 厥土塉, 風氣寒, 墾田三千九百三十八結。 【水田止十二結。】 土宜, 黍、稷、粟、豆、麥、桑、麻、楮、漆、栗。 土貢, 蜂蜜、黃蠟、正鐵、松子、五倍子、朱土、芝草、眞茸、石茸、鹿脯、狐皮、狸皮、獐皮、猪皮、熊毛。 藥材, 人蔘、茯苓、前胡、當歸、蓁艽、白芨、白膠香、五味子。 土産, 金産任內歧城北四十五里菩提津邊, 鉛鐵産縣北十五里端正洞 會陽洞及歧城西二十七里金也洞內小川。 爐甘石鐵産縣北十五里端正洞 會陽洞。 【不用。】 石鐵産歧城東四十五里釜嵓也音浦小川。 驛三, 直木、瑞雲、 【古名看波, 本朝太宗十四年甲午, 改今名。】 昌道。 【在通溝, 今上七年乙巳, 幷通道 能昌, 改今名。】 烽火三處, 阿峴在縣南, 【西準金化 所山伊, 北準仇乙破。】 仇乙破、 【北準任內歧城城北。】 城北。 【北準淮 陽个呑。】
- 【태백산사고본】 57책 153권 8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