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 양주 도호부

지리지 / 경기 / 양주 도호부


양주 도호부(楊州都護府)

본래 고구려남평양성(南平壤城)인데, 【또는 북한산(北漢山)이라 한다. 】 백제 근초고왕(近肖古王)이 취하여, 그 25년 신미에 【곧 동진(東晉) 간문제(簡文帝) 함안(咸安) 원년. 】 남한산(南漢山)으로부터 도읍을 옮기어 1백 5년을 지나, 개로왕(蓋鹵王) 20년 을묘에 【곧 송나라 폐제(廢帝) 원휘(元徽) 3년. 】 고구려 장수왕(長壽王)이 와서 한성(漢城)을 에워싸니, 개로왕이 달아나다가 고구려 군사에게 살해되매, 이 해에 그 아들 문주왕(文周王)이 도읍을 웅진(熊津)으로 옮기었다. 그 뒤 79년, 신라 진흥왕(眞興王) 13년 계유에 〈신라가〉 백제의 동북쪽 변방을 취하고, 15년 을해에 왕(王)이 북한산성(北漢山城)에 이르러 국경[封彊]을 정하였며, 17년 정축에 【곧 진(陳)나라 고조(高祖) 영정(永貞) 원년. 】 북한산주(北漢山州)를 두었고, 경덕왕(景德王) 14년 병신에 한양군(漢陽郡)으로 고쳤다. 고려양주(楊州)로 고치어, 성종(成宗) 14년 을미에 12주(州)의 절도사(節度使)를 두었는데, 양주 좌신책군(楊州左神策軍)이라 하여, 해주 우신책군 절도사(海州右神策軍節度使)와 더불어 이보(二輔)를 삼았다. 현종(顯宗) 3년 임자에 이보(二輔)와 십이절도사(十二節度使)를 폐하여 안무사(安撫使)로 고치고, 9년 무오에 지양주사(知楊州事)로 강등시켰다가, 숙종(肅宗) 9년 갑신에 【곧 송나라 휘종(徽宗) 숭녕(崇寧) 3년. 】 남경 유수관(南京留守官)으로 승격시켰으며, 충렬왕(忠烈王) 34년 무신에 【곧 원나라 무종(武宗) 지대(至大) 원년. 】 한양부(漢陽府)로 고쳤다. 본조(本朝) 태조(太祖) 3년 갑술에 도읍을 한양에 정하고 부치(府治)를 동촌(東村) 한골[大洞里]065) 에 옮겨, 다시 지양주사(知楊州事)로 강등시켰다가, 4년 을해에 부(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었고, 정축066) 에 또 부치(府治)를 견주(見州) 옛터로 옮겼으며,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예(例)에 의하여 도호부(都護府)로 하였다. 속현(屬縣)이 3이다. 견주(見州)는 본래 고구려매초현(賣肖縣)인데, 신라내소군(來蘇郡)으로 고쳤고, 고려에서 견주(見州)로 고치어, 현종(顯宗)무오067)양주(楊州)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별호(別號)는 창화(昌化)이니, 순화(淳化) 때에 정한 것이다. 】 사천현(沙川縣)은 본래 고구려내을매현(內乙買縣)인데, 신라가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견성군(堅城郡)의 영현(領縣)을 삼았으며, 고려 현종(顯宗)무오068)양주(楊州) 임내(任內)에 붙였다. 농양현(農壤縣)은 본래 고구려골의노현(骨衣奴縣)인데, 신라황양(荒壤)으로 고쳐서 한양군(漢陽郡)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에서 풍양현(豐壤縣)으로 고쳐, 현종(顯宗)무오069)양주(楊州)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뒤에 포주(抱州)에 옮겨 붙였으며, 금상(今上) 원년(元年) 기해에 다시 본부(本府)에 붙였다.

삼각산(三角山) 【부(府) 남쪽에 있다. 일명(一名)은 화산(華山)이니, 3봉우리가 우뚝 빼어나서 높이 하늘에 들어가 있다. 】 오봉산(五峯山) 【부(府) 남쪽에 있다. 】 천보산(天寶山) 【부(府) 동쪽에 있다. 】 소요산(逍遙山) 【부(府) 북쪽에 있다. 】 양진(楊津) 【부(府) 남쪽에 있으니, 곧 한강[漢水]의 북쪽이다. 단(壇)을 쌓고 용왕(龍王)에게 제사지내는데, 봄·가을의 가운뎃달[仲月]에 〈나라에서〉 향(香)·축(祝)을 내리어 제사지낸다. 신라 때에는 북독 한산하(北瀆漢山河)라 칭하고 중사(中祀)에 올렸으나, 지금은 소사(小祀)에 실려 있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포천에 이르기 18리, 서쪽으로 원평(原平)에 이르기 22리, 남쪽으로 광주에 이르기 47리, 북쪽으로 적성(積城)에 이르기 83리이다.

건원릉(健元陵)은 우리 태조 강헌 지인 계운 성문 신무 대왕(太祖康獻至仁啓運聖文神武大王)을 장사지냈다. 【부(府) 남쪽 검암산(儉岩山)의 기슭에 있으니, 자룡[坎山]에 계좌 정향(癸坐丁向)이다. 능 남쪽에 신도비(神道碑)가 있고, 능지기[陵直]·권무(權務) 2인과 수호군(守護軍) 1백 호(戶)를 두고, 매호(每戶)마다 밭 2결(結)을 주었으며, 동리에 재궁(齋宮)을 짓고 개경사(開慶寺)라 하여 선종(禪宗)에 붙이고, 밭 4백 결을 주었다. 】 낙천정(樂天亭) 【부(府) 남쪽 황대산(皇臺山) 언덕에 있으니, 남쪽으로 한강에 임하였다. 우리 태종(太宗)이 거둥하여 계시던 곳이다. 】 풍양 이궁(豐壤離宮) 【부(府) 동남쪽에 있으니, 곧 풍양현(豐壤縣)의 옛터이며, 또한 태종이 거둥하여 계시던 곳이다. 】

호수(戶數)가 1천 4백 81호, 인구가 2천 7백 26명이요,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백 33명, 선군(船軍)이 1백 32명이다.

본부(本府)의 토성(土姓)이 4이니, 한(韓)·조(趙)·민(閔)·신(申)이요, 내성(來姓)이 5이니, 함(咸) 【양근(楊根)에서 왔다. 】 ·박(朴) 【춘천(春川)에서 왔다. 】 ·홍(洪) 【남양(南陽)에서 왔다. 】 ·최(崔) 【수원(水原)에서 왔다. 】 ·부(夫) 【과천(果川)에서 왔다. 】 요, 망성(亡姓)이 2이니, 정(鄭)·예(艾)이다. 견주(見州)의 토성(土姓)이 7이니, 이(李)·김(金)·송(宋)·신(申)·백(白)·윤(尹)·피(皮)요, 사천현(沙川縣)의 토성(土姓)이 1이니, 경(耿)이며, 망성(亡姓)이 4이니, 이(李)·임(任)·송(宋)·허(許)이다. 풍양현(豐壤縣)의 토성(土姓)이 1이니, 조(趙)요, 망성(亡姓)이 4이니, 이(李)·강(姜)·윤(尹)·유(劉)이다. 인물(人物)은 중추원 사(中樞院使) 한산군(漢山君) 충정공(忠靖公) 조인옥(趙仁沃)이다. 【본조(本朝)의 개국 공신(開國功臣)으로 태조 묘정(太祖廟庭)에 배향되었다. 】

땅이 기름지고, 간전(墾田)이 1만 5천 1백 90결(結)이다. 【논이 10분의 3이 좀 넘는다. 】 토의(土宜)는 오곡(五穀)과 조·메밀·뽕나무요, 토공(土貢)은 느타리[眞茸]와 지초(芝草)이며, 토산(土産)은 송이[松茸]와 잣[松子]이다. 자기소(磁器所)가 1이요, 【부 북쪽 사천현(沙川縣) 한탄리[大灘里]에 있으니, 하품(下品)이다. 】 도기소(陶器所)가 2이니, 하나는 부(府) 북쪽 소요산(逍遙山) 아래에 있고, 【중품이다. 】 하나는 부(府) 동쪽 도혈리(陶穴里)에 있다. 【하품이다. 】

역(驛)이 6이니, 청파(靑坡)·노원(蘆原)·영서(迎曙)·평구(平丘)·구곡(仇谷)·쌍수(雙樹)요, 목장(牧場)이 2이니, 하나는 살고지들[箭串坪]070) 이요, 【부(府) 남쪽에 있으니, 동서가 7리요, 남북이 15리이다. 나라의 말을 놓아 먹인다. 】 둘째는 녹양벌[綠楊坪]071) 이다. 【부(府) 남쪽에 있으니, 동서가 5리요, 남북이 12리이다. 중군(中軍)과 좌군(左軍)의 말을 함께 놓아 먹인다. 】 봉화(烽火)가 2곳이니, 대이산(大伊山) 【부(府) 동남쪽에 있으니, 북쪽으로 포천(抱川) 잉읍점(仍邑岾)에 응하고, 남쪽으로 가구산(加仇山)에 응한다. 】 가구산(加仇山)이다. 【부(府) 남쪽에 있으니, 북쪽으로 대이산(大伊山)에 응하고, 서쪽으로 서울 목멱산에 응한다. 】 회암사(檜巖寺) 【천보산(天寶山) 아래에 있다. 불전(佛殿)과 승료(僧寮)가 수백 기둥이 되며, 승도(僧徒)들이 가리어 대가람(大迦藍)을 삼았다. 선종(禪宗)에 붙이고 밭 5백 결(結)을 주었다. 절에다 서번(西蕃)의 지공 화상(指空和尙)의 부도(浮屠)를 안치(安置)하였고, 비(碑)가 있다. 】 소요사(逍遙寺) 【소요산(逍遙山) 허리에 있다. 태종(太宗) 3년 임오에 태조(太祖)가 절 남쪽 행전(行殿)에 머물러, 여러 달을 두고 〈절의〉 온갖 그림을 새롭게 하였으며, 금상(今上) 6년 갑진에 태조(太祖)의 원당(願堂)으로 하여 교종(敎宗)에 붙이고, 밭 1백 50결(結)을 주었다. 】 진관사(眞觀寺) 【삼각산(三角山) 서남쪽에 있다. 나라에서 수륙재(水陸祭)를 지내며, 선종(禪宗)에 붙이고 밭 2백 50결(結)을 주었다. 】 승가사(僧伽寺) 【삼각산(三角山) 남쪽에 있다. 선종(禪宗)에 붙이고 밭 1백 45결(結)을 주었다. 】 중흥사(重興寺) 【삼각산(三角山) 아래에 있다. 선종(禪宗)에 붙이고 밭 2백 결(結)을 주었다. 】

관할[所領]은 도호부(都護府)가 1이니, 원평(原平)이요, 현(縣)이 6이니, 고양(高陽)·교하(交河)·임진(臨津)·적성(積城)·포천(抱川)·가평(加平)이다.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17면


楊州: 都護府, 本高句麗 南平壤城, 【一云北漢山。】 百濟 近肖古王取之, 二十五年辛未, 【卽東晋 簡文帝 咸安元年】南漢山移都之, 歷一百五年。 至盖鹵王二十年乙卯, 【卽宋 廢帝 光徽三年】 高句麗 慈悲王來圍漢城, 盖鹵出走, 爲兵所害。 是歲, 子文周王移都熊津。 後七十九年新羅 眞興王十三年癸酉, 取百濟東北鄙, 十五年乙亥, 王至北漢山城, 定封疆, 十七年丁丑, 【卽陳 高祖 永貞元年】北漢山州景德王十四年丙申, 改爲漢陽郡, 高麗改爲楊州成宗十四年乙未, 置十二州節度使, 號楊州左神策軍, 與海州右神策軍, 卽節度使爲二輔。 顯宗三年壬子, 廢二輔十二節度使, 改爲按撫使。 九年戊午, 降爲知楊州事。 肅宗九年甲申, 【卽宋 徽宗 崇寧三年。】 陞爲南京留守官。 忠烈王三十四年戊申, 【卽元 武宗 至大元年。】 改爲漢陽府。 本朝太祖三年甲戊, 定都于漢陽, 移府治于東村 大洞里, 復降爲知楊州事。 四年乙亥, 陞爲府, 置府使。 丁丑, 又移府治于見州右基。 太宗十三年癸巳, 例改爲都護府, 屬縣三。 見州, 本高句麗 賣肖縣, 新羅改爲來蘇郡, 高麗改爲見州顯宗戊午, 屬楊州任內, 後置監務。 【別號昌化, 淳化所定。】 沙川縣, 本高句麗 內乙買縣, 新羅改今名, 爲堅城郡領縣。 高麗 顯宗戊午, 屬楊州任內。 農壤縣, 本高句麗 骨衣奴縣, 新羅改名爲荒壤, 爲漢陽郡領縣。 高麗改爲豐壤縣顯宗戊午, 仍屬楊州任內, 後移屬抱州。 今上元年己亥, 復屬本府。 三角山 【在府南, 一名華山, 三峯突兀秀發, 高入靑空。】 五峯山 【在府南。】 天寶山 【在府本東。】 逍遙山 【在府北。】 楊津 【在府南, 直漢水之陽。 築壇祭龍王, 春秋仲月, 降香祝行祭。 新羅時, 稱北瀆漢山河濟。 中祀, 今載小祀。】 四境, 東距抱川十八里, 西距原平二十二里, 南距廣州四十七里, 北距積城八十三里。 健元陵, 葬我太祖康獻至仁啓運聖文神武大王 【在府南儉岩之麓坎山, 癸坐丁向。 卽陵南, 建神道碑。 置陵直權務二人、守護軍百戶。 每一戶, 給田二結。 洞裏創齊宮, 號開慶寺, 屬禪宗, 給田四百結。】 樂天亭 【在府南於皇臺山之原, 南臨漢水, 我太宗所御幸也。】 豐壤離宮。 【在府東南, 直豐壤縣古基, 亦太宗所御幸也。】 戶一千四百八十一, 口二千七百二十六。 軍丁, 侍衛軍一百三十三, 船軍一百三十二。 本府土姓四, 。 來姓五, 【楊根來。】 【春川來。】 【南陽來。】 【水原來。】 【果川來。】 亡姓二, 見州土姓七, 沙川縣土姓一, 。 亡姓四, 豐壤縣土姓一, 。 亡姓四, 。 人物, 中樞院使漢山君 忠靖公 趙仁沃 【以本朝開國功臣, 配享太祖廟庭。】 厥土肥, 墾田一萬五千一百九十結。 【水田居十分之三强】 土宜五穀, 粟、蕎麥、桑。 土貢, 眞茸、芝草。 土産, 松茸、松子。 磁器所一。 【在府北沙川縣大灘里, 下品。】 陶器所二, 一在府北逍遙山下, 【中品】 一在府東陶穴里 【下品】 驛六, 靑坡蘆原迎曙平丘仇谷雙樹。 牧場二, 一曰箭串坪, 【在府南, 東西七里, 南北十五里, 放國馬。】 二曰綠楊坪 【在府南, 東西五里, 南北十二里, 合放中軍左軍之馬。】 烽火二處, 大伊山 【在府東南, 北準抱川仍邑站, 南準加 仇山。】 加仇山 【在府南, 北準大伊山, 西準都城木覓。】 檜巖寺 【在天寶山下, 佛殿僧寮摠數百楹, 僧徒推爲大迦藍, 屬禪宗, 給田五百結。 寺安西蕃指空和尙浮屠, 有碑。】逍遙寺 【在逍遙山腰。 太宗三年壬午, 太祖駐駕于寺南行殿數月, 重新繪畫。 今上六年甲辰, 以太祖願堂屬敎宗, 給田百五十結。】眞觀寺 【在三角山西南, 以國行水陸社屬禪宗, 給田二百五十結。】僧伽寺 【在三角山南, 屬禪宗, 給田百四十五結。】重興寺 【在三角山下, 屬敎宗, 給田二百結。】 所領都護府一, 原平; 縣六, 高陽交河臨津積城抱川加平


  • 【태백산사고본】 52책 148권 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