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4권, 地理志 平安道

地理志 / 平安道


평안도(平安道)

본래 조선의 옛 땅이다. 삼국(三國) 시대에는 고구려의 소유(所有)이었는데, 보장왕(寶藏王) 27년 무진 【당나라 고종(高宗) 총장(摠章) 원년.】신라 문무왕(文武王)당나라 장수 이적(李勣)과 더불어 이를 멸(滅)하고 드디어 그 땅을 병합하였다. 효공왕(孝恭王) 9년 을축 【당나라 애제(哀帝) 천우(天祐) 2년.】궁예(弓裔)철원(鐵原)에 웅거하여 스스로 후고려왕(後高麗王)이라 일컫고 패서(浿西) 13진(鎭)으로 분정(分定)하였는데, 고려에서도 그대로 따라 패서도(浿西道), 또는 북계(北界)라고 칭하였다. 숙종(肅宗) 7년 임오 【송나라 건중정국(建中靖國) 2년.】서북면(西北面)이라 칭하고, 고려 말에 황주목(黃州牧)·안악군(安岳郡)·철화현(鐵和縣)·장명진(長命鎭)을 내속(來屬)시켰다가, 홍무(洪武) 무진년에 다시 서해도(西海道)에 붙이었다. 본조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평안도(平安道)로 고치고, 16년 병신에 영길도(永吉道)·갑산군(甲山郡)·서면(西面)·여연(閭延) 등의 땅이 본도(本道)와의 거리가 너무 멀므로, 소훈두(小薰頭) 이서(以西)를 떼어 여연군(閭延郡)으로 삼고 내속(來屬)시켰다.

동쪽으로 함길도 고원(高原)에, 서쪽으로 바다에, 남쪽으로 황해도 황주(黃州)에, 북쪽으로 압록강(鴨綠江)에 이르는데, 동서(東西)가 3백 23리, 남북(南北)이 4백 23리이다.

관할[所管]은 유수(留守)가 1, 대도호부(大都護府)가 1, 목(牧)이 3, 도호부(都護府)가 5, 군(郡)이 21, 현(縣)이 14이다.

명산(名山)은 대성산(大城山) 【평양(平壤). 】 ·묵방산(墨方山) 【개천(价川). 】 ·묘향산(妙香山) 【희천(熙川). 】 천마산(天磨山) 【정녕(定寧). 】 ·천성산(天聖山) 【은산(殷山). 】 향적산(香積山) 【태천(泰川). 】 이다.

대천(大川)은 대동강(大同江)이니, 곧 옛 패강(浿江)이다. 【《문헌통고(文獻通考)》에 이르기를, "평양성(平壤城) 동북쪽에 노양산(魯陽山)이 있고, 노성(魯城)이 그 위에 있으며, 서남쪽 20리에 위산(葦山)이 있는데, 남쪽으로 패수(浿水)에 임(臨)한다."고 하였다. 】왕성강(王城江) 【중사(中祀)에 실리어 있다. 】 그 근원이 둘이 있으니, 그 하나는 희천군(熙川郡) 가막동(加莫洞)에서 시작하여 묘향산(妙香山) 동쪽을 둘러서 덕천(德川)·개천(价川)·순천(順川)·은산(殷山)·성천(成川)·자산(慈山)을 지나 강동(江東)에 이르고, 그 하나는 양덕현(陽德縣) 북쪽 문음산(文音山)에서 시작하여 곡산(谷山)·수안(遂安)·상원(祥原)·삼등(三登)을 지나 강동(江東)에 이르러서, 두 갈래의 물이 합류(合流)하여 평양부(平壤府) 지경으로 들어가서 성(城) 동쪽을 안고 흘러 대동강(大同江)이 되고, 9리를 더 가서 마둔진(亇屯津)이 되었으니, 옛 이름은 구진 익수(九津溺水)이다. 【소사(小祀)에 실리어 있다. 】 모두 배가 있어서 사람을 건네준다. 강서(江西)를 지나 용강현(龍岡縣) 남쪽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청천강(淸川江)안주(安州)에 있는데, 살수(薩水)라고도 한다. 【곧 수나라 장수[隋將] 우문 술(宇文述) 등이 패(敗)한 곳이다. 】 그 근원은 희천군(熙川郡)영원진(寧遠鎭)으로부터 나와서 강계(江界) 적유현(狄踰峴)의 물과 합하여, 희천군 동쪽 묘향산을 둘러서 영변(寧邊) 동쪽을 지나, 주성(州城) 북쪽에 이르러 청천강이 되고, 안융(安戎)324) 노근강(老斤江)을 지나 바다로 들어간다. 【소사(小祀)에 실리어 있다. 】 박천강(博川江)박천(博川)에 있는데, 옛 이름은 대녕강(大寧江)이다. 그 근원은 삭주(朔州) 천마산(天磨山)으로부터 나와서 태천(泰川)·운산(雲山)·영변(寧邊)을 지나, 군(郡) 옛성[古城] 서쪽에 이르러 박천강이 되어 안주강(安州江) 하류로 들어간다. 압록강의주(義州) 서쪽에 있는데, 옛 이름은 청하(靑河), 또는 용만(龍灣)이라고도 한다. 그 근원은 백두산(白頭山)으로부터 나와서 수백여 리를 흘러 함길도 갑산군(甲山郡)을 지나고, 여연(閭延)·강계(江界)·이산(理山)을 거쳐서 독로강(禿魯江) 물과 합하여, 벽동(碧潼)·창성(昌城)·소삭주(小朔州)를 지나, 주(州)의 성(城) 서쪽에 이르러 압록강이 되고, 암림곶(暗林串)을 지나 바다로 들어간다. 【중사(中祀)에 실리어 있다. 신(臣)이 상고하건대, 《문헌통고(文獻通考)》에 이르기를, "한(漢)나라가 일어나자 멀리 지키기가 어려우므로, 다시 요동(遼東) 고새(故塞)를 수축하였는데, 패수(浿水)에 이르러 경계를 삼았다." 하였고, 또 이르기를, "위만(衛滿)이 패수를 건너 조선왕(朝鮮王) 준(準)을 격파(擊破)하였다." 하였으며, 또 상고하건대, 김부식(金富軾)이 말하기를, "《당서(唐書)》에 이르기를, 낙랑군(樂浪郡)은 산의 둘레를 따라 성바퀴를 삼았는데, 남쪽으로 패수 가에 임하였다." 하고, 또 이르기를, "등주(登州)에서 동북쪽으로 해행(海行)하여 남쪽으로 바닷가를 끼고 패강(浿江) 어귀의 초도(椒島)를 지나서 신라(新羅)의 서북(西北)을 얻었다." 하였고, 또 수(隋) 양제(煬帝)의 동정 조서(東征詔書)에 말하기를, "창해(滄海)를 배로 천리(千里)를 가서 패강을 가로 질러가면 평양에 이른다." 하였으니, 이것으로 말하면, 지금의 대동강이 패수가 됨이 명백하다. 그런데, 《문헌통고》에 패수로 경계를 삼았다는 것은 압록강을 가리키어 패수라 한 듯하니, 대개 전해 듣기를 잘못한 것이다. 】

호수가 4만 1천 1백 67호, 인구가 10만 5천 4백 44명이다.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2천 8백 78명, 익군(翼軍)이 1만 4천 53명, 선군(船軍)이 3천 4백 90명, 수성군(守城軍)이 7백 89명이다.

간전(墾田)은 30만 8천 7백 51결(結)이다.

구실[賦]은 살[稻米] 【조미(糙米). 】 ·핍쌀[稷米]·좁쌀[粟米]·기장쌀[黍米]·콩[豆] 【대두(大豆). 】 ·보리[麥] 【소맥(小麥). 】 ·지마(芝麻) 【향명(鄕名)은 참깨[眞荏子]이다. 】 이다.

공물은 쇠털·말털·개가죽·표범가죽·사슴가죽·노루가죽·여우가죽·삵가죽·수달피(水獺皮)·돈피가죽[貂皮]·날다람쥐가죽[靑鼠皮]·돼지가죽·건녹포(乾鹿脯)·건장포(乾獐脯)·건저포(乾猪脯)·정향포(丁香脯)·숭어·민어·상어·조기·가오리[加火魚]·준치[淮魚]·넙치[廣魚]·오징어·큰새우·굴·족제비털[黃毛]·산양이뿔[羚羊角]·돼지쓸개·고슴도치쓸개·옻[漆]·지마유(芝麻油) 【향명(鄕名)은 참기름[眞油]이다. 】 ·차조기기름[蘇子油]·석밀(石蜜)·꿀[蜂蜜]·밀[黃蠟]·지초(芝草)·오미자·개암열매[榛實]·잣·느타리[眞茸]·싸리버섯[鳥足茸]·잇[紅花]이다.

약재(藥材)는 곰쓸개[熊膽]·녹각교(鹿角膠)·사향(麝香)·범의 정강이뼈[虎脛骨]·소유(酥油)·녹용(鹿茸)·말벌집[露蜂房]·뱀허물[蛇脫皮]·자라껍데기[鱉甲]·죽대뿌리[黃精]·감출(甘朮)·승검초뿌리[當歸]·족도리풀뿌리[細辛]·삽주덩이뿌리[白朮]·바곳뿌리[草烏頭]·외나물뿌리[地楡]·구리때뿌리[白芷]·도라지[桔梗]·마[薯藇]·백부자(白附子)·멧무릅뿌리[獨活]·회초미뿌리[貫衆]·쪽[藍]·옻[漆]·두여머조자기뿌리[天南星]·창포(菖蒲)·여로(䕡蘆)·범부채뿌리[射干]·할미씨깨비[白頭翁]·쓴너삼[苦蔘]·함박꽃뿌리·끼무릇뿌리[半夏]·질경이씨[車前子]·소루쟁이뿌리[羊蹄根]·속새[木賊]·칡뿌리[葛根]·검화뿌리껍질[白鮮皮]·쥐방울[馬兜苓]·오독도기[茹]·버들옷[大戟]·꼭두서니뿌리[茜草根]·쇠귀나물[澤瀉]·탱알[紫莞]·생진주봉[生菴]·들쑥[蒿]·나마(蘿麻)·붓꽃[馬藺]·과남풀[龍膽]·삽주뿌리[蒼朮]·끼절가리뿌리[升麻]·현호색(玄胡索)·계소(鷄蘇)·꽈리[酸漿]·새삼씨[兎絲子]·겨우살이덩굴[忍冬草]·자리공뿌리[商陸]·쇠무릎지기[牛膝]·산해박[徐長卿]·더위지기[茵陳]·단너삼뿌리[黃耆]·나리[百合]·바디나물뿌리[前胡]·배암도랏씨[蛇床子]·벳미나리[小柴胡]·칡꽃[葛花]·대왕풀[白芨]·병풍나물뿌리[防風]·애기풀[遠志]·한삼덩굴[葎草]·감데뿌리[虎杖根]·암눈비앗씨[蔚子]·더덕[沙蔘]·제로기뿌리[薺苨]·수뤼나물[葳靈仙]·인삼·북나무진[安息香]·오갈피[五加皮]·황경나무껍질[黃蘗皮]·복령(茯苓)·삿갓나물[蚤休]·철쭉꽃[躑躅]·뽕나무뿌리껍질[桑白皮]·느릅나무껍질[楡皮]·엄나무껍질[海東皮]·가위톱[白歛]·아관석(鵝管石)·산이스랏씨[郁李仁]이다. 【이상의 잡공(雜貢) 및 약재는, 이제 토산(土産)의 희귀(稀貴)한 것은 각읍(各邑)의 밑에 적고, 그 매읍(每邑) 마다의 소산(所産)으로 여기에 적힌 보통의 것은 다시 적지 아니한다. 】

재배하는 약재는 궁궁이[芎藭]·장군풀[大黃]·삼씨[麻子]·정가이삭[荊芥穗]·참외꼭지[眞苽蔕]·새박뿌리[何首烏]·연밥[蓮實]·복숭아씨[桃仁]·살구씨[杏仁]이다. 【이상의 약재는 각읍(各邑)의 풍토(風土)에 맞는 것에 따라 의원(醫員)으로 하여금 심어 가꾸게 한다. 원래 산이나 들에서 나는 것이 아니므로, 다 적지 아니하였다. 무릇 한 물건인데도 전부(田賦)에 거듭 나오고, 토공(土貢)이나 약재(藥材) 같은 것도 자못 많으므로, 이제 그 중요한 것을 좇아서, 꿀[蜂蜜]·밀[黃蠟] 따위 같은 것은 다만 토공에 적고 인삼·오미자 따위는 다만 약재에만 적어서 다시 거듭 나오게 하지 아니하였다. 】

옛 장성[古長城] 【세속에서 전하기를, ‘만리장성(萬里長城)’이라 하는데, 인산군(麟山郡) 서쪽 진병곶강(鎭兵串江)으로부터 쌓기 시작하여 의주(義州) 남쪽을 지나서 삭주(朔州)·창성(昌城)·운산(雲山)·영변(寧邊)에 연하여 뻗치고, 희천(熙川) 동쪽의 옛 맹주(孟州) 지경에 이르며, 함길도 정평(定平) 지경에 닿았다. 】

창고(倉庫), 각 고을 조세(租稅)는 모두 본고을 창고에 수송하며, 오직 의주창(義州倉)만이 용천(龍川)·인산(麟山)의 조세를 거두어 저장한다.

관방비어(關防備禦), 평양도(平壤道)의 중(中)·좌(左)·우(右)의 삼익군(三翼軍)이 5천 6백 72명, 의주도(義州道)의 삼익군(三翼軍)이 1천 7백 68명, 영변도(寧邊道)의 삼익군(三翼軍)이 3천 3백 37명, 삭주도(朔州道)의 삼익군(三翼軍)이 1천 5백 35명, 강계도(江界道)의 삼익군(三翼軍)이 1천 7백 41명이다.

평양도 수군 첨절제사(平壤道水軍僉節制使)가 거느린 병선(兵船)이 11척, 군사가 1천 명인데, 삼화(三和) 범도포(凡島浦)에 있고, 안주도 첨절제사(安州道僉節制使)가 거느린 배가 15척, 군사가 1천 3백 80명인데, 안주(安州) 노근강(老斤江)에 있으며, 의주도 첨절제사(義州道僉節制使)가 거느린 배가 15척이요, 군사가 1천 1백 명인데, 선천(宣川) 선사포(仙槎浦)에 있다.

증산(甑山)차여현(車餘峴), 함종(咸從)차유구리(車踰仇里), 삼화(三和)대령산(大嶺山), 용강(龍岡)신덕산록(新德山麓), 숙천(肅川)대산(代山)여외립소(餘外立所), 안주(安州)입석(立石), 정주(定州)이석 팔래리(李石八來里), 곽산(郭山)능한성(凌漢城)우동(牛洞), 인산(麟山)숙랑천(宿狼遷)북산(北山), 수천(隨川)와요구(瓦窰丘), 용천(龍川)장안봉(長安峯) 【위의 13소(所)는 왜적의 변이 있으면 수어(守禦)한다. 】

이산 봉화대(理山烽火臺)·도을한(都乙漢)·앙토리(央土里)·산양회(山羊會)·통건(通巾)·벽동(碧潼)·호조리(胡照里)·군내 구자(郡內口子)·대파아(大波兒)·아이(阿耳) 【이상의 10구자(口子). 】 강계 읍성(江界邑城)·여연 읍성(閭延邑城) 【위의 처(處)는 겨울철 얼음이 얼 때에만 수어(守禦)하니, 한(漢)나라와 당(唐)나라의 방추(防秋)와 같다. 】

창성(昌城)실호리(失號里)·창주 구자(昌州口子)·갑암(甲岩)·운두리(雲頭里)·여연(閭延)소보이(小甫伊)·조명간동(趙明干洞) 【위의 6구자(口子)는 겨울철이면 규망군(窺望軍)이 있다. 】

요해처(要海處)는 압록강(鴨綠江)·박주강(博州江)·청천강(淸川江)·대동강(大同江), 여연(閭延)나이내동(羅伊乃洞)·감음동(甘音洞)·주사동(朱沙洞)·어용괴(於用怪), 강계(江界)만포(滿浦)·고산리(高山里)·지령괴(知寧怪), 벽동(碧潼)여시산(餘侍山)·채가동(蔡家洞)·창포(倉浦)·벽단 구자(碧團口子), 의주(義州)금동전(金洞田)·청수(靑水)·낙태탄(駱駄灘)·구령(仇寧)·검동도(檢洞島)·암림곶(暗林串)·미륵당(彌勒堂)·구룡연(九龍淵)·삼기이(三岐伊)·고동(庫洞)·중오강(中吾江)·수구(水口)·방산 구자(方山口子), 용천(龍川)진곶(辰串)·오도곶(吾道串)·소위포(少爲浦)·석곶입소(石串立所), 곽산(郭山)의 석포(石浦)이다.

목장(牧場)이 1이니, 목미도(牧美島)이다. 【선천(宣川). 】

관로(館路)는 찰방(察訪)이 1인이며, 관할 관[所管館]이 13이다. 【생양(生陽)·대동(大同)·안정(安定)·숙령(肅寧)·안흥(安興)·가평(嘉平)·신안(新安)·운흥(雲興)·임반(林畔)·차연(車輦)·양책(良策)·소곶(所串)·의순(義順). 】


  • 【태백산사고본】 58책 154권 1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82면


平安道: 本朝鮮故地, 在三國爲高句麗所有, 寶藏王二十七年戊辰, 【唐 高宗 摠章元年。】 新羅 文武王, 與李勣滅之, 遂倂其地。 孝恭王九年乙丑, 【唐 哀帝 天祐二年。】 弓裔鐵原, 自稱後高麗王, 分定浿西十三鎭。 高麗仍稱浿西道, 或云北界, 肅宗七年壬午, 【宋 建中靖國二年。】 稱西北面。 高麗之季, 以黃州牧 安岳郡 鐵和縣 長命鎭來屬, 洪武戊辰, 復屬西海道。 本朝太宗十三年癸巳, 改平安道, 十六年丙申, 以永吉道 甲山郡西面閭延等地距本道遼邈, 割小薰頭以西, 爲閭延郡來屬。 東至咸吉道 高原, 西際海, 南至黃海道 黃州, 北際鴨綠江。 東西三百二十三里, 南北四百二十三里。 所管留守一, 大都護府一, 牧三, 都護府五, 郡二十一, 縣十四。 名山曰大城山 【平壤。】墨方山 【价川。】妙香山 【熙川。】天磨山 【定寧。】天聖山 【殷山。】香積山 【泰川。】 ; 大川曰大同江, 卽古之浿江, 【《文獻通考》曰: "平壤城東北, 有魯陽山, 魯城在其上, 西南二十里, 有葦山, 南臨浿水。"】 又云王城江 【載中祀。】 其源有二, 其一出自熙川郡 加莫洞, 繞妙香山, 東歷德川价川順川殷山成川慈山, 至于江東。 其一, 出自陽德縣文音山, 經谷山遂安祥原三登, 至于江東, 至此二派合流, 入于平壤府抱流城東, 爲大同江。 行九里爲亇屯津, 古名九津溺水, 【載小祀。】 皆有舟楫濟人。 過江西龍岡縣南, 入海。 淸川江安州, 一云薩水 【卽隋將宇文述等敗師之地。】 其源出自熙川郡寧遠鎭, 與江界 狄踰峴水合, 繞熙川郡妙香山, 歷寧邊, 東至于州城北, 爲淸川江, 過安戎老斤江入海。 【載小祀。】 博川江博川, 古名大寧江。 其源出自朔州 天磨山, 歷泰川雲山寧邊, 至于郡之古城西, 爲(博州江)〔博川江〕, 入于安州江下流。 鴨綠江義州西, 古名靑河, 云龍灣。 其源出自白頭山, 行數百餘里, 過咸吉道 甲山郡, 歷閭延江界理山, 與禿魯江水合, 經碧潼昌城小朔州, 至于州之城西, 爲鴨綠江, 過暗林串入海。 【載中祀。 臣按《文獻通考》云: "漢興, 爲遠難守, 復修遼東故塞, 至浿水爲界。" 又云: "衞滿渡浿水, 擊破朝鮮王準。" 又按金富軾曰: "《唐書》云: ‘樂浪郡也隨山屈繞爲郛南涯浿水, 又云登州東北海行南傍海堧, 過浿江口椒島, 得新羅西北。' 又隋 煬帝東征, 詔曰: "滄海航千里橫絶浿江, 逞造平壤。' 以此言之, 今大同江爲浿水明矣。", 則《通考》以浿水爲界, 似指鴨綠江爲浿水, 蓋傳聞之誤。】 戶四萬一千一百六十七, 口十萬五千四百四十四。 軍丁, 侍衛軍二千八百七十八, 翼軍一萬四千五十三, 船軍三千四百九十, 守城軍七百八十九。 墾田三十萬八千七百五十一結。 厥賦, 稻米、 【糙米。】 稷米、粟米、黍米、豆、 【大豆。】 麥、 【小麥。】 芝麻。 【鄕名眞荏子。】 厥貢, 牛馬毛、狗皮、豹、鹿、獐、狐、狸、水獺、貂、靑鼠、猪皮、乾鹿、乾獐、乾猪、丁香脯、水魚、民魚、沙魚、石首魚、加火魚、準魚、廣魚、烏賊魚、大蝦、石花、黃毛、羚羊角、猪膽、猬膽、漆、芝、麻油、 【鄕名眞油】 蘇子油、石蜜、蜂蜜、黃蠟、芝草、五味子、榛實、松子、眞茸、石茸、鳥足茸、紅花。 藥材, 熊膽、鹿角膠、麝香、虎脛骨、酥油、鹿茸、露蜂房、䖳脫皮、鱉甲、黃精、甘朮、當歸、細辛、白朮、草烏頭、地楡、白芷、桔梗、薯藇、白附子、獨活、貫衆、藍漆、天南星、菖蒲、蘭蘆、射干、白頭翁、苦蔘、芍藥、半夏、車前子、羊蹄根、木賊、葛根、白鮮皮、馬兜苓、苓茹、大戟、茜草根、澤瀉、紫莞、生菴蘭蒿、蘿麻、馬藺膽、蒼朮、升麻、玄胡索、鷄蘇、酸漿、兔絲子、忍冬草、商陸、牛膝、徐長卿、茵陳、黃耆、百合、前胡、䖳床子、小紫胡、葛花、白芨、防風、遠志、葎草、虎杖根、茺蔚子、沙蔘、薺苨、葳靈仙、人蔘、安息香、五加皮、黃蘖皮、茯苓、蚤休、躑躅、桑白皮、楡皮、海東皮、白斂、鵝管石、郁李仁。 【已上雜貢及藥材, 今將土産稀貴者, 錄于各邑之下, 其每邑所産, 但存其凡于此, 不復錄云。】 種養藥材, 芎藭、大黃、麻子、荊芥穗、眞苽帶、何首烏、蓮實、桃仁、杏仁。 【已上藥材, 隨各邑風土所宜, 使醫員種養, 元非山野所産, 皆不錄云。 凡一物而疊出於田賦, 若土貢若藥材者頗多, 今從其重者若蜂蜜、黃蠟之類, 只書于土貢; 人蔘、五味子之類, 只書于藥材, 不復重出云。】 古長城。 【俗傳萬里長城, 自麟山郡西鎭兵串江始築, 歷義州南, 連延朔州、昌城、雲山、寧邊, 至于熙川東古孟州之境, 接于咸吉道 定平境。】 倉庫, 各官租稅, 皆輸于本官倉, 唯義州倉, 收貯龍川麟山之租。 關防備禦, 平壤道中左右三翼軍五千六百七十二, 義州道三翼軍一千七百六十八, 寧邊道三翼軍三千三百三十七, 朔州道三翼軍一千五百三十五, 江界道三翼軍一千七百四十一。

平壤道水軍僉節制使領兵船十一艘, 軍一千名, 泊三和 凡島浦安州道僉節制使領船十五艘, 軍一千三百八十名, 泊安州 老斤江義州道僉節制使領船十五艘, 軍一千一百名, 泊宣川 仙槎浦甑山 車餘峴咸從 車踰仇里三和 大嶺山龍岡 新德山麓、肅川 代山餘外立所安州 立石定州 李石八來里郭山 淩漢城牛洞麟山宿狼遷北山隨川 瓦窰丘龍川 長安峯 【共十三所, 有倭變則守禦。】 理山烽火臺、都乙漢央土里山羊會通巾碧潼胡照里郡內口子大波兒阿耳 【等十口子。】 江界邑城、閭延邑城。 【共十二處, 冬節氷合時守禦, 猶漢、唐之防秋也。】 昌城 失號里昌州口子甲岩雲頭里 閭延小甫伊 趙明干洞 【右六口子, 冬節有窺望軍。】 要害, 鴨綠江博州江淸川江大同江閭延羅伊乃洞甘音洞朱沙洞於用恠江界滿浦高山里知寧恠碧潼餘侍山蔡家洞倉浦碧團口子、義州 金洞田 靑水駱駄灘仇寧檢洞島暗林串彌勒堂九龍淵三歧伊庫洞中吾江 水口方山口子、龍川辰串吾道串少爲浦石串立所、郭山石浦。 牧場一, 牧美島 【宣川。】 館路察訪一人, 所管館十三。 【生陽、大同、安定、肅寧、安興、嘉平、新安、雲興、林畔、車輦、良策、所串、義順。】


  • 【태백산사고본】 58책 154권 1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8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