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종실록35권, 숙종 27년 10월 1일 甲寅 1번째기사
1701년 청 강희(康熙) 40년
- 숙종실록35권, 숙종 27년 10월
-
- 밤에 혜성이 익수의 도수 안에 나타나다
- 인정문에 나아가 친히 국문하다. 영의정 최석정을 진천현에 부처시키다
- 허지를 승지로 삼다
- 세자의 처지를 헤아리자는 공조 판서 엄집의 상소문
- 유성이 실성 윗쪽에서 나와 북방으로 들어가다
- 자연 재해와 천문 변화 등 나라의 재앙에 대해 비망기를 내리다
- 최석정을 중도 부처하라는 명령을 거두자는 정언 유명응의 청을 따르지 않다
- 최석정을 용서하라는 부교리 권상유·부수찬 이관명의 상소문
- 왕명을 받들어 좌의정 이세백 등이 정국을 내병조에 설치하고, 숙정 등을 국문하다
- 최석정의 중도 부처를 둘러싸고 지평 박휘등 장령·윤홍리 등이 서로 인피하다
- 세자의 어머니인 장 희빈에게 인정과 법률을 참작하자는 판부사 유상운의 상소문
- 세자를 극진히 보호하는 방도에 대한 보덕 유명웅·사서 이태좌 등의 상소문
- 최석정을 용서하자는 승지 심평의 상소문
- 궁녀 숙정·숙영·축생 등을 모두 결안 취초하고 군기시 앞길에서 참형시키다
- 모역한 죄를 실토한 숙정의 결안 내용
- 모역한 죄를 실토한 축생의 결안 내용
- 모역한 죄를 실토한 오례의 결안 내용
- 모역한 죄를 실토한 자근례의 결안 내용
- 모역한 죄를 실토한 철생의 결안 내용
- 세자를 보전하는 방안으로 장 희빈을 용서하자는 판부사 서문중의 상소문
- 장희재를 직접 범한 죄로 토죄해야 한다는 대사간 윤덕준의 상소문
- 세자를 극진히 보전하는 방도에 대한 우의정 신완의 상소문
- 나인 정영을 먼 변방으로 정배하라고 하교하다
- 서문중을 호위 대장으로 삼다
- 번개가 번쩍이고 혜성이 익수의 도내에 나타나다
- 이상영을 도승지로, 이야를 승지로 삼다
- 밤에 혜성이 익수의 도내에 나타나다
- 중도 부처 당한 최석정을 용서해 달라는 사서 이태좌의 상소문
- 세자를 위로하고 보호하는 방도를 다하라는 우부승지 허지의 상소문
- 세자를 위하여 국청을 다스림에 신중하게 처리하라는 행 사직 강현의 상소문
- 빈어가 후비의 자리에 오를 수 없게 하라고 하교하다
- 국청 죄인 숙정·숙영 등이 흉물을 궁전에 파묻은 사실에 대해 하교하다
- 밤에 혜성이 익수의 도내에 나타나다
- 심평·서종헌·이민영·유명웅·민진후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 사서 이태좌의 상소로 인해 장령 윤홍리가 면직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 최석정을 두둔하고 윤홍리를 배척하는 정언 유명응이 면직을 청하니 허락하다
- 정언 황일하가 윤홍리를 논핵함이 부당하다면서 면직을 청하니 허락하지 않다
- 공의와 은의, 천리와 인정의 기미를 자세히 살피라는 지평 이동언의 상소문
- 침전을 이어하라는 우의정 신완의 상소에 인산 후에 이어하겠다고 유시하다
- 희빈 장씨를 내전을 질투하여 모해하려 한 죄로 자진하게 하라고 하교하다
- 승정원과 옥당에서 청대하였으나 허락하지 않다
- 부교리 권상유 등이 세자 보안을 위해 장 희빈의 구명을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 판중추부사 서문중 등이 청대하여 장 희빈의 구명을 논의했으나 허락하지 않다
- 행 사직 이인엽이 은혜를 온전히 하라는 뜻으로 상소를 올리다
- 혜성이 장수의 안에 나타나다
- 지평 이동언의 청에 의거, 전 사서 이태좌를 유배시키다
- 형조 판서 조상우·참판 이국화가 은혜를 온전히 하라는 뜻으로 상소를 올리다
- 혜성이 장수 안에 나타나다.
- 예조로 하여금 자진한 장 희빈의 상장의 제수를 참작하여 거행하라고 하교하다
- 왕세자와 빈궁의 거애 절차에 대해 논의하다
- 장씨의 상장에 제수를 주라고 호조에게 하교하다
- 장씨의 상을 선인문으로 나가게 하다
- 김치룡·이의현·김재·김상직·이야·김진규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 최석정을 중도 부처하라는 명을 도로 거두라는 장령 윤헌주의 청을 허락하지 않다
- 전일 이태좌의 유배 건으로 인해 사직을 청하니 허락하지 않다
- 업동을 속히 국문하고 일렬은 정배시키자는 헌납 어사휘 등의 청을 허락하지 않다
- 좌·우 의정 이세백·신완 등이 국청을 잘못 다스린 죄로 인죄를 청하니 안심시키다
- 업동을 잡아와서 의금부에 가두게 하다
- 혜성이 장수의 안에 나타났으나, 어제에 비해 형체가 더욱 희미해지다
- 장씨의 상례에 왕세자와 빈궁의 복제를 대신들에게 의논하여 시행하게 하다
- 업동의 국청을 본부에서 하게 하다
- 사직 이익수가 상소하여 세자를 보호할 방도를 아뢰다
- 강선을 대신하여 이광적을 동의금으로 삼다
- 국모를 모해한 사건에 대한 유학 박규서의 상소문
- 장령 윤헌주·지평 이동언의 청에 의거, 유학 박규서를 정배시키다
- 연서역 묘지의 산에다 흉물을 묻은 정황을 토죄한 업동의 공초 내용
- 왕세자 빈궁의 복제를 시마복으로 하고 3일 후에 공제하자는 예조의 청을 허락하다
- 윤세기·이익수·어사휘·최계옹·조태일·윤홍리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 장령 윤헌주와 지평 이동언이 동평군 이항을 유배하라고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다
- 국청 죄인 작은아기·윤정석·김지중 등의 공초 내용
- 천둥이 치고 우박이 내리다
- 왕세자와 빈궁의 복제에 대해 판부사 서문중·좌의정 이세백 등이 헌의하다
- 국청 죄인 업동·무일 등의 공초 내용
- 천둥하다
- 임순원을 승지로 삼다
- 국청 죄인 업동의 공초 내용
- 국청 죄인 작은아기의 공초 내용
- 국청 계사에 관계되는 인적 사항에 대해서 의금부에서 아뢰다
- 달이 필성으로 들어가다
- 국청의 대신 이하가 청대하니 인견하여, 죄인의 공초에 나온 이들을 잡아오게 하다
- 이인화·이태좌의 유배 찬적이 부당하다고 정언 김재가 상소하다
- 해질 때 영두성이 하늘 가운데에서 나와 손방으로 들어가다
- 신양·강현·이의현·이탄·최창대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 국청 죄인 윤순명·윤정석·애정·이항·안여익·김태윤·무일 등의 공초 내용
- 천둥이 치고 번개가 번쩍이다. 달이 동정성으로 들어가다
- 서문중을 판돈녕부사로 삼다
- 헌부에서 장천한·장성유 등을 잡아와 국문하자고 하니 허락하다
- 정명 공주의 아들 무주 부사 홍만회 등이 최석정의 상소가 부당함을 상소하다
- 국청 죄인 정빈·작은아기·이항 등의 공초 내용
- 승지 김진규·이민영의 진계에 따라 주모를 시해하려 한 인례를 엄히 형문하게 하다
- 국청 죄인 장천한·장성유의 공초 내용과 윤정석·정빈, 윤보명·조시경의 면질 내용
- 전 보덕 박만정·전 교리 박정을 중도 부처시키라는 집의 유명웅 등의 청을 허락하다
- 승지 신양이 올린 춘궁을 보호하고 궁위를 숙청하라는 뜻의 상소문
- 승지 임순원이 춘궁을 보호하는 뜻의 상소를 올리다
- 집의 유명웅 등이 남구만·유상운을 파직시키라고 상소했으나 윤허하지 않다
- 사간원의 방귀 전리한 죄인 목내선·이현일을 위리 안치하라는 청을 허락치 않다
- 국청 죄인 안세정·김태윤·장천한·이항 등의 공초 내용
- 달이 헌원 대성을 범하다
- 희빈 장씨를 자진하게 한 일에 대해 호군 강세귀가 올린 상소문
- 충청도 은진·연산·홍산·부여 등에서 천둥이 울리고 새알 만한 우박이 내리다
- 국청 죄인 장천한·조시경 등의 공초 내용
- 대간들이 남구만·유상운을 논핵한 상소의 부당함을 논한 대사간 이익수의 상소문
- 이익수의 상소로 인해 지평 이동언 등이 상소를 올려 면직을 청하니 허락하지 않다
- 국청 죄인 안세정·안여익·민언량·오시복 등의 공초 내용
- 함경도 함흥 등과 강원도 고성 등에 우박이 쏟아지고 천둥과 번개가 치다
- 달이 태미의 단문 안에 들어가다
- 이익수의 상소로 인해 집의 유명웅 등의 대간들이 인피하고 물론을 기다리다
- 대사간 이익수를 파직하라고 교리 권상유가 상소하자 윤허하지 않다
- 국청 죄인 안세정·민언량의 면질 내용과 조시경·박명겸·순복 등의 공초 내용
- 사간원에서 강세귀의 상소 내용이 불경하다고 해서 귀양보내라고 청하니 허락하다
- 장령 윤헌주 등이 이익수의 파직을 청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국청에서 죄인 장희재를 추문할 방법에 대해 청하니 허락하다
- 인산 뒤에 이어할 세세한 방안에 대해 승정원에 하교하다
- 국청 죄인 작은아기·민언량·장희재·오시복 등의 공초 내용
- 동지사 강현·이선부와 서장관 박필명이 청나라로 가다
- 이야·홍수헌·박봉령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 지평 이동언이 사직할 것을 청하니 허락하지 않다
- 정언 황일하 등의 대간들이 이동언의 피사로 인해 인피하고 물론을 기다리다
- 국청 죄인 작은아기·민언량·장희재 등의 공초 내용
- 추안 중 긴요한 말을 뽑아 첨록해서 장희재를 취초하자고 국청에서 청하니 허락하다
- 장성유는 귀양, 윤정석·박명겸은 방송, 이항은 절도에 위리 안치하게 하다
- 국청 죄인 장희재를 결안 취초하고 군기시의 앞길에서 복주시키다
김인후(金麟厚)
- 성명김인후(金麟厚)
- 신분문반
- 자후지(厚之)
- 호하서(河西)
- 본관울산(蔚山)
- 생년1510
- 몰년1560
- 국가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