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실록 37권, 정조 17년 6월 1일 임술 1번째기사
1793년 청 건륭(乾隆) 58년
- 정조실록37권, 정조 17년 6월
-
- 윤대하다
- 경상도 관찰사 조진택을 불러 보다
- 전 훈련 대장 이주국을 서용하다
- 좌의정 김종수가 영의정 채제공을 비난하고 사직 상소를 올리다
- 영남의 진휼 정사가 끝나다
- 사신의 녹봉으로 진휼한 도신 권엄을 승진하고 구례 현감 등은 정사를 잘못한 이유로 파직되다
- 삼도 수군 통제사 신대현을 불러 보다
- 영의정 채제공과 좌의정 김종수를 파직하다
- 이면응을 참의로 삼다
- 이신회를 한성부 우윤으로 삼다
- 전 무산 부사였던 승지 김이성의 건의에 따라 북관에 짝을 지어 활쏘기를 하게 하다
- 배에 곡식 싣는 것을 지연하여 배를 파선한 이최원을 유배보내다
- 윤대하다
- 거조에 관해 전교하다
- 호서 암행 어사 윤노동의 복명에 의해 여러 지방관을 처분하고, 송치 샛길을 엄히 단속하게 하다
- 자기 담당 외의 지역을 사찰한 호서 어사 윤노동을 파직하다
- 도신 정대용의 보고로 선산 부사 박유원·양산 군수 성종인·창원 부사 이여절을 승진 발탁하고, 울산 부사 이민영을 파출하다
- 호서 안핵 어사 홍대협이 올린 구순 사건의 진상을 듣고 구순·이광섭을 유배하고, 이형원을 파직하다
- 조종현을 대사헌에 신광리를 대사간에 임명하다
- 영남 암행 어사 이상황의 보고에 따라 여러 수령들을 조처하고, 진휼의 폐단을 엄히 단속하고, 이우방에게 정문을 세워 주다
- 이문원을 이조 판서, 이재학을 이조 참판, 이면응을 이조 참의로 삼다
- 병조 판서 서유방이 이문원과 처남 매부 사이라 피혐하고 사직하나 허락하지 않다
- 홍수보를 의정부 좌참찬으로 삼다
- 인척간에 피혐하는 풍조를 꾸짖고, 병조 판서 서유방의 과실을 기록하여 분간하게 하다
- 채제공·김종수를 판중추부사로 삼고, 전 충청도 관찰사 이형원을 유임하다
- 정배한 이조원 맹지대 김이익 박재순을 방면하다
- 서유방을 다시 병조 판서를 맡게 하고 이갑을 이조 판서로 삼다
- 일차 유생에게 반궁에서 제술 시험을 보이고, 엄기를 홍문과 수찬을 제수하다
- 판중추부사 김종수가 구전 정사로 직함을 내렸다고 차자를 올리자 그의 오해를 풀어 주다
- 신대승을 대사헌으로, 이병정을 공조 판서로 삼다
- 수원 유수 이명식이 공도회의 개정을 청하니 윤허하다
- 서정수를 이조 참판에, 정대용을 이조 참의에, 조윤래를 대사헌에 임명하다
- 빈대에 참석치 않은 비변사 제조 김사목 민종현 이병정 이득신을 파직하다
- 호서 암행 어사 이조원이 해미·홍주 진영의 폐단을 알리고 해미 진영 혁파를 청하나 불허하다
- 호조 판서 심이지가 금은 광산의 설치와 영선 소속 군계의 원공을 이전과 같이 시행할 것을 청하니 허락하다
- 공명첩을 단속치 않은 전 총융사 이방일을 파직하다
- 이문원을 예조 판서로, 윤사국을 형조 판서로, 이치중을 공조 판서로 삼다
- 우의정 김이소에게 삼공의 적임자를 추천케 하고 함경 감사를 정승에 삼다
- 홍낙성을 영의정에, 김희를 우의정으로 삼다
- 영의정 홍낙성에게 하유하다
- 우의정 김희에게 하유하다
- 김화진을 함경도 관찰사로 삼다
- 유언호를 영돈녕부사로, 이재학을 이조 참판으로 삼다
- 도정에 임하여 벼슬길이 막힌 자의 소통과 인재 등용에 편중됨이 없이 할 것을 당부하다
- 전 훈련 대장 서유대의 고신 2등을 삭탈하다
- 종묘 서쪽 월랑의 계단이 일부 무너져 보수하고 위안재를 지내다
- 이문원을 판의금부사로 삼다
- 윤행임을 이조 참의로 삼다
- 도정을 행하여 삼반 가운데 산관된 자들을 등용케 하다
- 채제공을 동지 겸 사은 정사로, 이홍재를 부사로, 정동간을 서장관으로 삼다
- 영의정 홍낙성이 사직하나 받아들이지 않다
- 훈령 대장에 조심태를, 어영 대장에 이경무, 총융사에 정민시를 제수하다
- 이문원에 보관한 공자의 영정을 화성 궐리사로 옮기다
- 경모궁에 전배하다
- 함경도 관찰사 김화진을 불러보다
- 정대용을 이조 참의로 삼다
- 호남 암행 어사 정동간의 보고에 따라 각 지방 수령들을 공과에 따라 조처하다
- 자기 지역 이외를 염찰한 호남 암행 어사 정동간을 파직하다
- 제주도 문신 강봉서·변경우에게 장령을 제수하다
- 김문순·김이희·이철모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벼슬길을 넓히고 죄를 씻어준 정사를 크게 펴다
- 영변 부사 민태혁의 건의에 따라 영변부의 약산 동대에 봉화대를 설치하다
- 부교리 이석하가 윤응렬의 등용을 반대하여 전관 승지의 처분을 청하나 허락치 않다
- 장용영에서 장기 근무자를 별무사에 소속시키도록 청하다
- 영의정 홍낙성이 사직하나 허락치 않다
- 대사간 이철모가 윤응렬의 등용 철회를 청하니 이철모를 체직하고 서유성으로 대신케 하다
- 어린 아이와 죽은 사람에게 베를 징수한 청주 목사 이낙배를 유배하고 영동 현감 김이석을 충군시키다
- 이주국을 서용하는 명의 철회를 청한 지평 정인을 체직하다
- 대간의 비평을 받은 이갑·이재학·서유방을 체직하다
- 이문원을 이조 판서로, 정호인을 병조 판서로 삼다
- 윤사국을 강화 유수로 삼자, 형조 참판 이가환이 이의를 제기하다
- 심환지·김상집·조종현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호서·호남·영남에 전염병이 돌아 많은 사람이 죽다
김인후(金麟厚)
- 성명김인후(金麟厚)
- 신분문반
- 자후지(厚之)
- 호하서(河西)
- 본관울산(蔚山)
- 생년1510
- 몰년1560
- 국가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