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22권, 영조 5년 4월
-
- 이진순·오광운·신치운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과거의 시행 문제 등에 대해 부사직 장붕익이 소장을 올리다
- 유성이 고루성 아래에서 나와 남방으로 들어가다
- 서명빈·김상성·조적명·윤광익·윤휘정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전라도 관찰사 이광덕을 추고하게 하고, 전주부 건지산의 토지 절수 등을 거행하게 하다
- 당습의 폐단에 대해 우부승지 오광운이 소장을 올리다
- 유명응·서명빈·강필경·박필기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태묘에 나아가 행례를 행하고 향사가 성실하지 못했다는 등으로 신칙하다
- 태묘에서 하향 대제를 행하다. 우승지 조석명이 늦게 온 아현관 등을 벌주기를 청하다
- 대신과 비당을 인견하고 《서정록》을 올리라고 명하다. 이태좌가 군공의 별단을 올리다
- 전라도 관찰사 이광덕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고쳐서 내리다
- 김계환·이진망·이현모·김상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신축년의 연차에 승락한 이유로 죄받기를 우부승지 이유가 청하다
- 비변사에서 총융청의 군사와 무신 이복휴에 대해 아뢰다
- 호조에서 좌수참의 배의 수부에게 보인을 주고 복호시킨 것에 대해 아뢰다
- 정미년 이후 정사 때마다 검거된 이유를 말한 부수찬 한현모의 소장
- 의금부에서 이탄에 관한 연좌와 적몰을 거행토록 계청했으나, 윤허하지 않다
- 분무 녹훈 도감에서 별군직 안취장 등을 원종 공신에 추가하도록 아뢰다
- 이양신의 참소를 통촉해 조처할 것을 요구한 경상도 관찰사 박문수의 소장
- 우의정 이태좌 등이 입시하여 외방의 군공 단자를 진품해 시상하다
- 정수기·김시환·임수적·김호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태인현의 파총으로서 기를 휘둘러 군사를 궤산시킨 자를 포상하게 명하다
- 훈련 주부 김시형에게 가자하도록 명하다
- 이제·송인명·윤휘정·윤동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광좌의 소장에 답하고 도승지 이진순을 보내어 함께 오게 하다
- 선정전에 나아가 전경 문신에게 강독 시험을 보다
- 창원 부사 구간 등에게 가자하다
- 주강을 행하다. 무신 이행검이 봉수가 역변을 보고하지 않은 점을 아뢰다
- 간원에서 역적 이탄에 대한 연좌 등을 거행토록 청했으나, 윤허하지 않다
- 대축을 파직하고 주서·중사를 추고하라는 명을 정지시키게 하다. 관리들의 나태함을 대사헌 이정제가 상소하다
- 주강을 행하다. 동지사 송인명이 궁방에 절수를 금지한 것에 대해 아뢰다
- 반시를 설행하여 생원 심명열을 직부 전시하도록 명하다
- 소대를 행하다
- 목성이 정성으로 들어가고 달이 별을 범하다
- 선정전에 나아가 거재 유생들에게 강경 시험을 보다
- 각도의 관찰사는 과만이 되기 전에 경관에 의망하지 말라고 명하다
- 함경도 관찰사 송진명이 이수해의 소장으로 인하여 상소하여 변해하다
- 간원에서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 전 판서 윤헌주가 졸하다
- 햇무리가 지고 양이가 있었으며 햇무리 위에 관이 있다
- 소대를 행하다. 참찬관 권익순이 관사의 초기의 폐단에 대해 아뢰다
- 장태소·양성규·김호·윤순·성덕윤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주강을 행하다
- 각사 구임 인원의 근만에 관한 초기를 신칙하도록 명하다
- 전 집의 박필주가 소장에서 스스로 인책하다
- 대신을 인견하다. 우의정 이태좌 등이 비당 관원의 묘유법 등에 대해 청하다
- 죽전이 있는 고을의 전죽 경감에 대한 전라도 관찰사 이광덕의 장계
- 주강을 행하다. 특진관 이진삼이 화차 수리를 청하다
- 유명응·정우주·이현모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국청에서 남편을 시해한 죄인 유영을 벌하도록 아뢰다
- 동지사 윤순 등이 복명하다. 윤순이 조세·잠상의 폐해 등에 대해 아뢰다
- 여천군 이증·송성명·박사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양사에서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 포청의 죄인 김연단 등은 정배하고 주신휘 등은 석방시키라고 명하다
- 경상도 의성·함창 등에 서리가 내리다
- 양사에서 아뢰었으나, 윤허하지 않다
- 헌부에서 역적 임서호 등을 노적하도록 아뢰다
- 윤광익·박사정·서명균·임수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거두어 들인 돈과 포목의 수입·지출에 대해 호조 판서 권이진이 소를 올리다
- 우의정 이태좌 등이 평안도 감영의 돈을 진휼청으로 수송해 오는 일 등에 대해 아뢰다
- 무신년의 역적들을 노적하고, 나머지는 논하지 말게 하다. 먼저 역옥에 참여한 사람을 수쇄하다
- 의금부에서 외방에 연좌된 죄인은 지방관이 안동하여 처형하도록 아뢰다
- 전 판서 유명홍이 졸하다
- 병조 판서 조문명이 청대하여 각도의 친기위의 별무사 시상에 대해 아뢰다
- 역적들에게 부과된 형벌이 시행되지 않음을 지적한 장령 박내우의 소장
- 정미년에 내린 비망기의 사문에 대한 지평 정형복의 소장
- 대사헌 이정제가 파직시킨 유생들을 서용할 것을 청하다
- 경기도 관찰사가 장계하여 계자를 혼동해 찍은 내시를 파직하도록 요구하다
- 부수찬 권혁에게 삭출시키는 법전을 시행하라고 명하다. 이양신·이수해를 영구하여 비호한 권혁의 소장
- 대신과 비당을 인견하다. 우의정 이태좌 등이 대언 때문에 찬배된 자의 처분 등에 대해 아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