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조실록3권, 세조 2년 4월
-
- 햇무리가 지다
- 노산군과 낙천정에서 매 사냥을 구경하다
- 경서의 대의를 통달한 거평정 이복의 원에 따라 가자를 명하다
- 대역 죄를 범한 박수량·이수정 등을 참형에 처하다
- 번개가 치고 우박이 내리다
- 중추원 사 이승평 등을 보내어 명나라 황후의 붕서를 위문하는 표문과 제문
- 순성군 이개 등이 전 박사 정자영·최지를 박사로 차임할 것을 청하다
- 황주 둔전을 잘 관리한 감고 전 사정 안숭무 등에게 상을 내리다
- 형조에 명하여 제도의 형옥 계본에 고신한 근본 원인을 기록하도록 하다
- 서연관이 동궁의 잠실을 옮길 것을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다
- 우사제에 쓸 향과 축문을 친히 전하다
- 예조 참의 홍윤성이 변장을 잘 가려서 남방의 수어에 유념할 것을 청하다
- 햇무리가 지다
- 박평년·이영견·송석동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햇무리가 지다
- 사헌부에서 관부에서의 술 사용을 금하도록 청하다
- 하향 대제에 쓸 향과 축문을 친히 전하다
- 예조에서 연소한 문신과 의관 자제를 선정하여 한어를 익힐 것을 청하다
- 경회루에서 종묘 하향제 음복연을 베풀다
- 종부시에서 풍산령 이외 등의 죄를 청하다
- 의금부에서 의창의 면포를 사용한 전 공주 목사 이종효 등의 죄를 청하다
- 노산군과 동교에 거둥하다. 말을 실수한 판중추원사 이징석을 벌주다
- 장령 김서진이 황보공·이종효의 죄를 청하다
- 충훈부에서 잔치를 베풀어 신숙주·권남을 위로하다
- 상참할 때 사관을 중계에서 전내로 들이도록 명하다
- 형조에서 어보를 위조하고 왕패를 만든 이윤경·허의의 죄를 청하다
- 일본국 상송포 호자 원고 등이 토산물을 바치다
- 중국인 동호진이 대마주에서 도망해 오다
- 좌승지 구치관을 개성부에 보내어 명나라 사신을 공궤하다
- 경회루에서 진법과 사서 오경을 강하게 하다. 이징석의 활솜씨를 칭찬하다
- 신석조를 동지중추원사로 삼다
- 광평 대군 이여의 집에 거둥하여 정의 공주을 영위하다
- 햇무리가 지다
- 도승지 박원형을 벽제역에 보내어 명나라 사신을 영위하다. 중궁의 고명 친수에 관하여 의논하다
- 사헌부에서 체아직을 받은 전 현감 유소의 핵문을 청하다
- 중국 사신을 연향할 때 세자는 청산만을 쓰도록 명하다
- 일본국 대마주 종성직·오도 우구수 원승·왜 호군 아마두가 토산물을 바치다
- 형조에서 주인을 모살한 사노 동삼·두함·석을이 등의 참형을 청하다
- 예조에 명하여 행행할 때 사령이 사람을 구축하지 못하도록 엄금하다
- 햇무리가 지다
- 중국 황제의 조칙과 고명을 받고, 중국 사신에게 하마연을 베풀다
- 도승지 박원형에게 명하여 중국 사신에게 옷 1습을 보내다
- 햇무리가 지다. 중국 사신에게 익일연을 베풀다
- 하마연에서 술주정한 민발을 유배하다
- 일본국 대마주 호군 평성수·풍주 태수 원지직이 토산물을 바치다
- 의정부 우의정 이사철·도승지 박원형을 보내어 중국 사신에게 문안하다
- 장령 김서진이 민발의 죄를 청하다
- 일본국 대마주 호군 정대랑의 아들 사정 정가문수계 등이 토산물을 바치다
- 사간원 우헌납 이시원이 민발의 죄를 청하다
- 왕세자와 세자빈이 사은사 좌의정 한확의 집에 가서 전송하다
- 좌부승지 성삼문에게 명하여 환동들을 윤봉 등에게 보이고 10인을 가려 내다
- 고 선천 군사 김숙보의 처 서씨가 아들 김관의 사로를 열어줄 것을 청하다
- 우박이 내리다
- 세자가 태평관에서 중국 사신에게 잔치를 베풀다
- 예조에서 경상도 관찰사의 첩정에 의거하여 기우제를 청하다
- 명나라에 고명·관복·채단의 흠사를 사례하고 세자 책봉을 주청하는 표문
- 통사 김신을 차견하여 도망 온 중국 사람 동호진을 요동으로 풀어 보내다
- 햇무리가 지다
- 흠차 태감 윤봉의 청에 따라 서흥을 윤씨 향관으로 삼다
- 흠차 태감 윤봉·우감승 김흥에게 노비를 하사하다
- 《문종실록》을 수찬할 때의 급사 서원의 대우에 관하여 전지하다
- 평안도 관찰사에게 명하여 평양의 단군·기자·고구려 시조의 사우를 수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