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실록123권, 세종 31년 3월
-
- 이현로·윤배가 권기를 무고한 것으로 드러나 권기를 석방하다
- 사헌부 집의 박중손이 이계린을 별시위 절제사에 제수한 것의 부당성을 논하다
- 안숭선을 직산현으로 양이하고 그 아들 훈·의를 충의위에 환속시키다
- 춘추관에서 사관으로서 사초를 훔치거나 누설한 자의 과죄에 대해 아뢰다
- 동인경·맥경 각 1건을 함길도에 반사하다
- 사헌부 집의 박중손이 안숭선·이계린 처리의 부당성을 논하나 윤허하지 않다
- 지예천군사 이희신을 파면하다
- 사헌 집의 박중손이 안숭선의 일을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 세자가 서울로 돌아오다
- 평안·함길도 도체찰사 황보인이 연강의 제군에서 남도의 부방 군사를 감하고, 봉화대 여둔 만호를 혁파하기를 청하다
- 이조 판서 정인지가 감사 본영에 공억하는 폐단에 대해 논하다
- 경기 지역에 동궁이 대행할 강무장을 세울 것을 의논하다
- 의정부에서 저화를 흥용시킬 방법에 대해 아뢰다
- 영변 죄수 강도 양거구지와 상원 죄수 정유생 등 5명을 참하다
- 황해도의 전지 진황수·기경수를 직접 계달토록 황해도 감사에게 유시하다
- 평안·함길도 도체찰사 황보인이 여연부의 하무로·훈두 등의 보에 사는 백성들을 입보케 하지 말도록 청하다
- 황보인이 동서 양계의 부방 갑사들로 거관하는 자에게는 가자하여 그대로 부방케 할 것을 청하다
- 향화인을 궐내에 숙직하지 말게 하고, 예조에서 근만과 선악을 살펴 그 직의 출척을 정하도록 하다
- 눈이 내리다
- 이명신·김신민·정지하·정차공·이교연·김계우·유효련·신후갑·홍심·민후생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세자가 우화문 밖 막차에서 조회를 받다
- 사헌 집의 박중손이 정수충을 겸경창부 승으로 삼은 부당성을 논하다
- 고양군 이질의 졸기
- 당상관으로 제조를 천망할 때에 이전에 죄를 지은 자는 반드시 죄명을 쓰도록 하다
- 판중추원사 남지의 사직을 청하는 상서문
- 경흥 부사 김약회가 5진의 부방책을 아뢰는 상서문
- 영응 대군의 배우자 선택문제를 의논하다
- 의정부에서 강계·삭주·의주 군관을 감하는 것과 급주 노비 등의 일을 아뢰다
- 당상관으로 제조를 천망할 때에 불충·불효를 범한 자 등은 계문해서 취지토록 하다
- 사판에 오른 자로서 개명하는 자는 이조에 올려 의정부에 아뢴 후 예문관으로 이문하여 첩을 주어 개명토록 하다
- 이현로·김세민·강희를 정배에 처하고, 조순생·김조는 고신을 회수하다
- 사헌부에서 병조 관리들을 율에 의해 과죄할 것을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 사간원에서 안지의 국문을 청하고 안숭선의 양이가 잘못되었음을 논하다
- 햇무리하다
- 사간원에서 박자오를 합배 찰방에 제수한 것의 부당성을 논하므로 고쳐 제수하다
- 대간에서 병조 관리의 죄를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 대간에서 병조 관리의 죄를 다시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 사간원에서 병조 관리를 율에 의해 과죄할 것을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 사헌부에서 병조 관리를 율에 의해 과죄할 것을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 왜호군 평무영이 내조하므로 의복 등을 하사하다
- 세자가 헌릉·영릉에 별제를 대행하다
- 대간에서 연명으로 병조 관리의 죄를 청하고, 다시 합사하여 청하므로 김세민·이현로·강희 등을 옮겨 부처시키다
- 정분·허후·민신·이사철 등이 장의사 수보사목을 의논하여 아뢰다
- 삭천 부사 박호문이 사람을 매질해 죽였는지의 여부 조사와 윤배에게 형장을 가할 것인지를 의논하다
- 백 세 된 노인을 혜양토록 예조에 전지하다
- 사헌부에서 윤배와 이현로를 양계로 유배시키기를 청하다
- 호군 박숭경의 불효죄를 상핵하다
- 박숭경의 아들 효원·천령인 최언 등 19인이 박숭경의 무고함을 상서하다
- 박숭경의 옥사에 대해 논의하다
- 윤배를 함길도 북청으로 유배시키다
- 의정부에서 사냥하여 잡은 것을 종묘에 체천하는 것에 대해 아뢰다
- 이현로·윤배의 일로 사헌부 해당 관리들을 의금부에 내려 추핵하다
- 대간에서 윤배·이현로·김세민·강희를 극변으로 옮겨 유배시키기를 청하다
- 박숭경의 옥사로 의금부 관원을 천령현에 파견하여 자세히 심문케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