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1권, 地理志 全羅道

地理志 / 全羅道


전라도(全羅道)

본래 백제의 땅이다. 의자왕(義慈王) 19년 경신에 【당나라 고종(高宗) 현경(顯慶) 5년. 】 신라 태종왕(太宗王)당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과 더불어 백제를 멸하고 드디어 그 땅을 합쳤는데, 경덕왕(景德王)전주(全州)·무주(武州) 두 도독부(都督府)로 나누었다. 진성왕(眞聖王) 5년 임자 【당나라 소종(昭宗) 경복(景福) 원년.】 에 서면 도통(西面都統) 견훤(甄萱)백제의 옛 땅을 모두 차지하여 후백제왕(後百濟王)이라 하였다. 고려 태조(太祖) 19년 병신 【후진(後晉) 고조(高祖) 천복(天福) 원년.】 에 친히 후백제를 쳐서 이기고, 성종(成宗) 14년 을미 【송나라 태종(太宗) 지도(至道) 원년.】전주(全州)·영주(瀛州)214) ·순주(淳州)215) ·마주(馬州)216) 등 고을을 강남도(江南道)로 하고, 나주(羅州)·광주(光州)·정주(靜州)217) ·승주(昇州)218) ·패주(貝州)219) ·담주(潭州)220) ·낭주(朗州)221) 등 고을을 해양도(海陽道)로 하였다가, 현종(顯宗) 9년 무오 【송나라 진종(眞宗) 천희(天禧) 2년.】전라도로 고쳤다. 지금도 그대로 따르고 있으며, 도관찰사(都觀察使)의 관청을 사(司)를 전주(全州)에 두고 있다.

동쪽은 경상도(慶尙道) 함양군(咸陽郡)에 이르고, 서·남쪽은 바다에 닿으며, 북쪽은 충청도(忠淸道) 은진현(恩津縣)에 이르는데, 동·서가 2백 33리요, 남·북이 4백 5리이었다.

관할은 유수(留守)가 1이요, 목(牧)이 2이요, 도호부(都護府)가 4이요, 군(郡)이 12이요, 현(縣)이 39이며, 계수관(界首官)이 4이니, 전주(全州)·나주(羅州)·남원(南原)·장흥(長興)이다.

명산(名山)은 지리산(智異山) 【일명 지리(地理), 또는 방장(方丈), 또는 두류(頭流)라 한다. 】 인데 남원(南原)에 있으니, 그 동쪽은 진주(晉州)·곤남(昆南)222) 이요, 북쪽은 함양(咸陽)·산음(山陰)223) 이요, 서쪽은 구례(求禮)요, 남쪽은 광양(光陽)이다. 웅장하게 높이 하늘에 우뚝 치솟아, 산허리에 간혹 구름이 머물고, 비가 오고 천둥과 번개가 치는데, 그 위는 맑게 개어 평상시와 같으며, 가을철 서늘하면 매떼[鷹]가 모여들므로 잡아다가 나라에 바친다. 속설에 전하기를, "태을(太乙)224) 이 그 위에 살고, 여러 신선(神仙)이 모이며, 여러 용(龍)이 살고 있다." 고 한다. 두보(杜甫)의 시에 소위 "방장은 삼한 밖이라.[方丈三韓外]" 한 주(註)와 《통감집람(通鑑輯覽)》에 이르기를,

"방장(方丈)대방군(帶方郡) 남쪽에 있다." 한 것은 이 산을 말하는 것이다. 신라에서 남악(南嶽), 중사(中祀)로 하였고, 고려와 본조(本朝)에서도 모두 그대로 따라 중사(中祀)로 하여서, 봄·가을에 향·축(香祝)을 내리어 관찰사(觀察使)로 하여금 제사지내게 한다. 금성산(錦城山)나주(羅州)에 있는데, 제례(祭例)는 지리산과 같다. 무등산(無等山) 【일명 무진악(武珍岳), 또는 서석산(瑞石山)이라 한다. 】 무진(武珍)225) 에 있는데, 풍후하고 높고 커서, 신라에서는 소사(小祀)로 하였고, 고려에서는 나라 제사[國祭]를 지냈고, 본조(本朝)에서는 주(州)의 관원으로 하여금 제사지내게 한다. 천관산(天冠山)장흥(長興)에 있는데, 높고 험하고 풍후하여, 가끔 서기(瑞氣)가 흰 연기같이 하늘을 찔러서, 사람들이 자못 이상히 여기며, 제례는 무등산과 같다. 월출산(月出山) 【일명 월내악(月柰岳)이라 한다. 】 영암(靈岩)에 있는데, 바위 봉우리가 층층이 치솟아 섰고, 그 가장 높은 봉우리 꼭대기에 바위가 우뚝 솟아 있어, 높이가 두 길이 넘으며, 곁에 한 구멍이 있는데, 겨우 한 사람이 들어갈 만하며, 그 구멍을 따라 그 꼭대기에 올라가면 20명이 앉을 만하고, 그 평평한 곳에 오목하게 패어서 물이 담기기를 동이같이 된 것이 아홉이므로, 구정봉(九井峯)이라 하며, 아무리 가물어도 마르지 아니하므로, 속설에 전하기를,

"아홉 용[九龍]이 살고 있다."고 한다. 그 아래에 움직이는 돌이 있는데, 홀로 층바위 위에 서서 높이가 한 길이 넘고, 둘레가 열 아름이나 되며, 서쪽으로는 산골에 연하고, 동쪽으로는 밑없는 구렁에 임하였는데, 한 사람이 흔들면 무너질 듯하면서도 무너지지 아니하며, 이 같은 바위가 또 둘이 있었다. 상산(裳山)무주(茂朱)에 있는데, 사면(四面)이 벽처럼 서서 층층히 끊어져 사람의 치마처럼 되었으므로, 상산이라 한다. 옛사람이 험한 것을 이용하여 성을 만들었는데, 겨우 두 길이 있어서 올라 다니며, 그 가운데는 평탄하고 넓으며, 샘물이 사방에서 나와 합하여 큰 내가 되어 동쪽 구렁으로 흘러 들어간다. 변산(邊山) 【일명 영주산(瀛洲山)이라 한다. 】 부안(扶安)에 있는데, 여러 겹으로 높고 크며, 바위로 된 골짜기가 깊고 으늑하며, 전함(戰艦)의 재목이 많이 이곳에서 난다. 마이산(馬耳山)진안(鎭安)에 있는데, 두 봉우리가 우뚝 솟아 동서로 마주 서서 모양이 깎아 세운 듯하며, 높이가 천 길이나 되고, 그 꼭대기에 나무가 울창하며, 속설에 전하기를, "동쪽산 꼭대기에 작은 못이 있다." 하나, 바라만 보일 뿐이요, 올라갈 수는 없다. 우리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임금이 산 아래에 행차(行次)하여 관원을 보내어 제사를 지냈다.

대천(大川)은 남포진(南浦津)226)나주(羅州)에 있는데, 그 수원이 3이 있으니, 그 하나는 담양(潭陽) 추월산(秋月山)의 물이 창평현(昌平縣)을 지나 무진(茂珍)227) 의 북쪽으로 들어가 창평현(昌平縣)의 남쪽 물과 합하고, 또 무진성(茂珍城) 서쪽 물과 어울려 서쪽으로 흐르고, 그 하나는 장성(長城) 위령(葦嶺)의 물이 진원현(珍原縣)228) 서쪽과 나주 북쪽 경계를 지나 옛 내상성(內廂城) 남쪽을 거쳐서 생압진(生鴨津)에 이르러 무진 북쪽 경계의 물과 합하여 나주의 동쪽을 지나고, 그 하나는 능성(綾城)229) 쌍봉(雙峯)의 물이 남평현(南平縣) 북쪽을 지나 또 나주의 동쪽 경계의 물과 합하여 남쪽으로 돌아 서쪽으로 흘러서 남포진(南浦津)이 되어 나룻배로 사람을 건너게 되고, 무안현(務安縣) 동쪽에 이르러 대굴포(大堀浦)가 되고, 또 서쪽으로 흘러서 영암군(靈岩郡) 운적산(雲積山)의 기슭을 지나 목포(木浦)가 되어 바다로 들어간다. 하도(下道)의 조운(漕運)이 이곳을 경유하여 서울에 이른다. 잔수진(潺水津)230)구례(求禮)에 있는데, 그 수원이 2가 있으니, 그 하나는 진안(鎭安) 중대산(中臺山)의 물이 서남쪽으로 흘러 임실(任實)·순창(淳昌)을 지나 돌아서 동쪽으로 흘러 남원 남쪽 경계에 이르러 순자진(鶉子津)이 되며, 그 하나는 지리산 서북쪽 여러 골짜기의 물이 남원을 지나 순자진으로 들어가서, 그 하류가 압록진(鴨綠津)이 되며, 또 보성(寶城) 정자천(亭子川)231) 의 물이 복성(福城)232) 옛 현(縣)을 지나 북쪽으로 흘러서 낙수진(洛水津)이 되고, 동북쪽으로 흘러 옛 곡성(谷城)을 지나 압록진으로 들어가서 합하여 동쪽으로 흘러, 구례현 남쪽과 순천(順天) 북쪽 경계에 이르러 잔수진이 되고, 지리산 남쪽 기슭을 지나서 경상도 진주(晉州)의 옛 임내(任內) 화개현(花開縣) 서쪽에 이르러 용왕연(龍王淵)이 되는데, 조수가 이르며, 동남쪽으로 흘러 광양현(光陽縣)의 남쪽을 지나 섬진(蟾津)이 되어 바다로 들어간다. 신창진(新倉津)233)전주(全州)에 있는데, 그 수원이 3이 있으니, 그 하나는 부(府)의 남쪽 여현(礪峴)의 물이 성(城) 남서쪽을 돌아서 북쪽으로 흘러 부(府)의 서남쪽 모산(母山) 여러 골짜기의 물을 합하고, 삼례역(蔘禮驛) 남쪽에 이르러 또 고산(高山)운제(雲梯)의 물과 어울려서 서쪽으로 흘러 회포(回浦)가 되고, 비간장진(飛艮藏津)이 되는데, 조수가 이르며, 이성(利城)234) 의 옛 성(城) 북쪽에 이르러 신창진(新倉津)이 되는데, 나룻배가 있으며, 서쪽으로 흘러 만경(萬頃)임피(臨陂)를 지나 옥구(沃溝)에 이르러 고사포(古沙浦)가 되어 바다로 들어간다. 동진(東津)235)부안현(扶安縣)에 있는데, 태인(泰仁)정읍(井邑) 두 현(縣)의 물이 김제(金堤) 벽골(碧骨)의 물과 합하여 서쪽으로 흘러서 흥덕(興德) 동쪽에 이르러 고부(古阜) 눌제(訥堤)의 물과 어울려 동진이 되는데, 조수가 이르므로 다리를 놓아 행인을 다니게 하고, 만경현 서남쪽을 지나 바다에 들어간다.

호수[戶]는 2만 4천 73호요, 인구[口]는 9만 4천 2백 48명이다.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천 1백 67명이요, 영진군(營鎭軍)이 2천 4백 24명이요, 기선군(騎船軍)이 1만 1천 7백 93명이다.

간전(墾田)이 27만 7천 5백 88결(結)이다. 【논이 10분의 4이다. 】

그 부세(賦稅)는 볍쌀 【찹쌀·멥쌀. 】 ·콩 【누렁콩·팥·녹두. 】 ·밀[小麥]·참깨[芝麻]·차조기씨[蘇子]·모시[苧布]요, 그 공물(貢物)은 꿀·밀[黃蠟]·범가죽[虎皮]·표범가죽[豹皮]·곰가죽·쇠가죽·말가죽·이긴 사슴가죽[熟鹿皮]·이긴 노루가죽[熟獐皮]·여우가죽·삵괭이가죽·잘[山獺皮]·수달가죽[水獺皮]·활줄[弓絃]·표범꼬리[豹尾]·여우꼬리[狐尾]·족제비털[黃毛]·사슴·돼지·토끼·산돼지·말린 사슴·말린 노루·말린 돼지·정향(丁香)·포(脯)·사슴꼬리[鹿尾]·돼지털·쇠뿔·녹각(鹿角)·갖풀[阿膠]·힘줄[筋]·잡깃[雜羽]·가뢰[斑猫]·대모(玳瑁)·고니[天鵝]·상어·말린 숭어·전복·생복[生鮑]·말린 홍합·낙지·굴·감합(甘蛤)·대합조개·은어·붉은 큰새우·인포(引鮑)·조포(條鮑)·오징어·옥둥어[玉頭魚]·다시마·부레·칠(漆)·겨자·황밤[黃栗]·대추·곶감·연감[紅柿子]·모과·석류·배[梨]·개암·가시연밥[芡仁]·유자(柚子)·감자나무열매·비자[榧子]·유감(乳柑)·동정귤(洞庭橘)·금귤(金橘)·푸른귤[靑橘]·산귤(山橘)·마름[菱仁]·분곽(粉藿)·상곽(常藿)·올멱[早藿]·해모(海毛)·우무·해각(海角)·황각(黃角)·매산이(莓山伊)·김[海衣]·감태(甘笞)·오해자(烏海子)·송이·석이·느타리·표고·새앙·고사리·지초·회화나무꽃·치자·작설차[雀舌茶]·송화(松花)·소나무그을음[松煙]·송진[松脂]·목화·모시·삼[麻]·삼노·각색 종이 【표전지(表箋紙)·자문지(咨文紙)·부본단자지(副本單子紙)·주본지(奏本紙)·피봉지(皮封紙)·서계지(書契紙)·축문지(祝文紙)·표지(表紙)·도련지(擣鍊紙)·중폭지(中幅紙)·상표지(常表紙)·갑의지(甲衣紙)·안지(眼紙)·세화지(歲畫紙)·백주지(白奏紙)·화약지(火藥紙)·장지(狀紙)·상주지(常奏紙)·유둔지(油芚紙)·유둔(油芚). 】 ·자리[席] 【별무늬돗자리[別紋踏席]·보통무늬돗자리[常紋踏席]·흰무늬돗자리[白紋席]·왕골 자리[草席]. 】 ·대껍질방석[竹皮方席]·가는 대[篠]·오죽(烏竹)·화살대[箭竹]·바닷대[海竹]·등상자[土藤箱子]·대껍질[竹皮]·말린 죽순[乾筍]·자기(磁器)·나무그릇[木器]·버들고리[柳器]이다.

약재(藥材)는 우황(牛黃)·쇠쓸개[牛膽]·범의 뼈[虎骨]·고슴도치가죽[蝟皮]·곰쓸개[熊膽]·녹용·녹각상(鹿角霜)·토끼머리[兎頭]·녹각(鹿角)·담비쓸개[獺膽]·산양이뿔[羚羊角]·도아조기름[島阿鳥油]·두꺼비[蟾蛛]·뽕나무벌레[桑螵蛸]·자라껍데기[鼈甲]·오징어뼈[烏魚骨]·말린잉어[乾鯉]·잉어쓸개[鯉膽]·지네[蜈蚣]·등에[蝱蟲]·매미허물[蟬脫皮]·거북껍데기[龜甲]·결명초[石決明]·인삼(人蔘)·영릉향(零陵香)·곽향(藿香)·박상(舶上)·회향(茴香)·가시연밥[鷄頭實]·연꽃[蓮花蘂]·겨우살이꽃[金銀花]·궁궁이[芎藭]·나팔꽃씨·으름덩굴[木通]·호라비좆뿌리[天門冬]·겨우살이풀뿌리[麥門冬]·패랭이꽃이삭[瞿麥穗]·수자해좆뿌리[天麻]·택사(澤瀉)·새삼씨[免綠子]·탱알[紫莞]·탱알뿌리·연밥[蓮子]·회초미뿌리[貫衆]·파고지(破古紙)·삽주뿌리[蒼朮]·쪽[藍]·칠[漆]·감제뿌리[虎杖根]·당귀(當歸)·하국[旋覆花]·하눌타리[括婁]·작약(芍藥)·끼무릇뿌리[半夏]·부들꽃[蒲黃]·끼절가리뿌리[升麻]·도라지[桔梗]·꽃창포[馬藺花]·족두리풀뿌리[細辛]·칡꽃[葛花]·버들옷[大戟]·검화뿌리껍질[白蘇皮]·두여머조자기[天南星]·쇠무릎지기[牛膝]·범부채[射干]·쓴너삼뿌리[苦蔘]·구리때뿌리[白芷]·사양채뿌리[前胡]·바곳[草烏頭]·계소(鷄蘇)·병풍나물뿌리[防風]·숭나물[蒿本]·자리공뿌리[商陸]·다시마[昆布]·흰띠[芧香]·겨우살이덩굴[忍冬草]·아기풀[遠志]·갈뿌리[蘆根]·박새[莒蘆]·암눈바앗씨[蔚子]·진득찰[稀簽]·꽈리[酸醬]·검산풀뿌리[續斷]·할미씨깨비[白頭翁]·향부자(香附子)·심황[鬱金]·수자해좆씨[赤前子]·난향[蘭香]·지치[紫草]·현삼(玄蔘)·멧미나리[柴胡]·매자기뿌리[京三稜]·흰바곳[白附子]·등대풀싹[澤漆]·가위톱[白歛]·대왕풀[白芨]·오미자(五味子)·창이(蒼耳)·외나물뿌리[地楡]·창포(菖蒲)·자주연꽃[紫荷蕖]·개구리밥[水萍]·감국화(甘菊花)·더위지기[茵陳]·절국대[漏蘆]·수뤼나물[葳靈仙]·영생이[薄荷]·속수자[續隨子]·꼭두서니뿌리[茜草根]·두루미냉이씨[葶子]·단너삼[黃耆]·순비기나무열매[蔓荊子]·쥐방울[馬兜苓]·게로기뿌리[薺苨]·항가새[大薊草]·조방가새[小薊草]·사하(蓑荷)·파초·산해박[徐長卿]·익관초(益貫草)·초결명씨[決明子]·백작약(白芍藥)·모시잎[苧葉]·석골풀[石]·골풀[草]·말오줌나무[蒴藋]·마뿌리[山藥]·두룹뿌리[獨活]·속수자[蜀有子]·소태나무열매[川練子]·석류껍질[石榴皮]·흰매화[白梅]·매화열매[烏梅]·탱자껍데기[枳殼]·괴좆나무열매[枸杞子]·흰매화열매[鹽梅實]·복령(茯苓)·모란껍데기[牧丹皮]·닥나무열매[楮實]·솜대속껍질[竹茹]·괴좆나무뿌리껍질[地骨皮]·죽력(竹瀝)·황경나무껍데기[黃蘗皮]·조피나무열매[川椒]·백복령(白茯苓)·호도(胡桃)·오갈피[五加皮]·솜대잎[淡竹葉]·철쭉꽃[躑躅花]·쥐엄나무열매[皂莢]·쥐엄나무가시[皂角刺]·산이스랏씨[郁李仁]·말린 모과[乾木瓜]·살구씨[杏仁]·오배자(五倍子)·복숭아씨[桃仁]·삿갓나물[蚤休]·측백나무잎[側栢葉]·아가위[棠]·배[梨]·잣[松子仁]·묵은 귤껍질[陳皮]·엄나무껍질[海桐皮]·푸른 귤껍질[靑皮]·후박(厚朴)·두충(杜沖)·솔씨[松實]·팔각[八角]·복신(茯神)이다.

심는 약[種藥]은 생지황(生地黃)·장군풀[大黃]·건강(乾薑)·백변두(白萹豆)·검은 변두[黑萹豆]·우엉[惡實]·심황(深黃)·소야기[香薷]이었다.

조운창[漕倉]이 2이니, 영산창(榮山倉)나주(羅州) 목포(木浦)에 있고, 【나주·순천(順天)·장흥(長興)·담양(潭陽)·낙안(樂安)·보성(寶城)·해진(海珍)·영암(靈岩)·영광(靈光)·무진(茂珍)·강진(康津)·고흥(高興)·광양(光陽)·능성(綾城)·남평(南平)·화순(和順)·동복(同福)·곡성(谷城)·옥과(玉菓)·창평(昌平)·진원(珍原)·장성(長城)·고창(高敞)·흥덕(興德)·무장(茂長)·함평(咸平)·무안(務安) 등의 조세를 이곳에 바친다. 】 덕성창(德成倉)함열현(咸悅縣) 서쪽 피포(皮浦)에 있다. 【함열·전주(全州)·남원(南原)·익산(益山)·고부(古阜)·김제(金堤)·금산(錦山)·진산(珍山)·순창(淳昌)·임피(臨陂)·옥구(沃溝)·만경(萬頃)·부안(扶安)·정읍(井邑)·금구(金溝)·태인(泰仁)·임실(任實)·구례(求禮)·운봉(雲峯)·장수(長水)·진안(鎭安)·용담(龍潭)·무주(茂朱)·고산(高山)·여산(礪山)·용안(龍安) 등의 조세를 이곳에 바친다. 】

관방(關防)의 수어(守禦)는 병마 도절제사 영(兵馬都節制使營)이 강진현(康津縣)에 있고, 【정군(正軍)이 4백 98명, 수성군(守城軍)이 51명, 조역군(助役軍)이 1백 63명, 장인(匠人)이 1백 41명이다. 】 진(鎭)이 4이니, 옥구(沃溝)·부안(扶安)·무장(茂長)·조양(兆陽)236) 이요, 【정군이 각각 3백명이다. 】 수군 처치사 영(水軍處置使營)이 무안현(務安縣) 대굴포(大堀浦)에 있고, 【대선(大船) 8척, 중선(中船) 16척, 군사 1천 8백 95명, 뱃사공[梢工] 21명을 거느린다. 】 좌도 도만호 선박처(左道都萬戶船泊處)가 보성군(寶城郡) 동쪽 여도량(呂島梁)에 있는데, 【중선 6척, 맹선(孟船) 12척과 군사 1천 12명과 뱃사공 19명을 거느린다. 】 관내의 만호(萬戶)가 8이니, 내례(內禮)순천부(順天府) 남쪽 며포(旀浦)에 있으며, 【중선 6척, 별선(別船) 6척과 군사 7백 66명과 뱃사공 6명을 거느린다. 】 돌산(突山)순천부 남쪽 용문포(龍門浦)에 있으며, 【중선 8척과 군사 5백 18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축두(築頭)고흥현(高興縣) 남쪽 고흥포(高興浦)에 있으며, 【중선 6척, 별선 2척과 군사 5백 12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녹도(鹿島)장흥부(長興府) 북쪽 녹도량(鹿島梁)에 있으며, 【중선 6척, 별선 2척과 군사 4백 83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회령포(會寧浦)장흥부 남쪽 주포(周浦)에 있으며, 【중선 4척, 별선 4척과 군사 4백 72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마도(馬島)강진현(康津縣) 남쪽 원포(垣浦)에 있으며, 【중선 8척과 군사 5백 10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달량(達梁)영암군(靈岩郡) 남쪽에 있으며, 【중선 7척, 맹선(孟船) 2척과 군사 5백 19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어란(於蘭)해진군(海珍郡)237) 남쪽 삼촌포(三寸浦)에 있다. 【중선 4척과 군사 4백 80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우도 도만호 선박처(右道都萬戶船泊處)는 함평현(咸平縣) 서쪽 원관(垣串)에 있는데, 【중선 8척, 별선 10척과 군사 1천 55명과 뱃사공 9명을 거느린다. 】 관내 만호(萬戶)가 5이니, 목포(木浦)무안현(務安縣) 남쪽에 있으며, 【중선 6척, 별선 2척과 군사 4백 98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다경포(多慶浦)무안현 서쪽 와포(瓦浦)에 있으며, 【중선 4척, 별선 4척과 군사 4백79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법성포(法聖浦)영광군(靈光郡) 북쪽에 있으며, 【중선 6척, 별선 2척과 군사 4백 93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금모포(黔毛浦)부안현(扶安縣) 남쪽 웅연(熊淵)에 있으며, 【중선 4척, 별선 4척과 군사 4백 55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군산(群山)옥구현(沃溝縣) 북쪽 진포(鎭浦)에 있다. 【중선 4척, 별선 4척과 군사 4백 61명과 뱃사공 4명을 거느린다. 】 감목관(監牧官)이 3인이요, 【도(道)안에 1인이요, 제주(濟州)에 2인이다. 】 역승(驛丞)이 7인이니, 창활도(昌活道)의 관할 역(驛)이 11이요, 【잔수(潺水)·갈담(葛潭)·오수(獒樹)·은령(銀嶺)·통도(通道)·인월(引月)·익신(益申)·섬거(蟾居)·양률(良栗)·낙수(洛水)·지신(知申). 】 앵곡도(鶯谷道)의 관할 역이 5이요, 【거산(居山)·천원(川原)·부흥(扶興)·내재(內才)·영원(瀛原). 】 제원도(濟原道)의 관할 역이 2이요, 【달계(達溪)·소천(所川). 】 벽사도(碧沙道)의 관할역이 9이요, 【파청(波淸)·진원(鎭原)·통로(通路)·낙신(樂新)·영보(永保)·별진(別珍)·녹산(祿山)·양강(陽江)·가신(可申). 】 삼례도(參禮道)의 관할 역이 6이요, 【반석(半石)·양재(良才)·오원(烏原)·재곡(才谷)·소안(蘇安)·옥포(玉包). 】 청엄도(靑嚴道)의 관할 역이 9이요, 【단엄(丹嚴)·선엄(仙嚴)·신안(新安)·녹사(祿沙)·청송(靑松)·영신(永申)·청연(淸淵)·경신(慶新)·가리(街里). 】 경양도(景陽道)의 관할 역이 8이다. 【덕기(德基)·가림(加林)·인물(人物)·창신(昌新)·대부(大富)·금부(黔富)·오림(烏林)·광리(廣里). 】


  • 【태백산사고본】 55책 151권 1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54면


全羅道: 本百濟之地, 至義慈王十九年庚申, 【唐 高宗 顯慶五年。】 新羅 太宗王, 與蘇定方百濟, 遂倂其地, 景德王分爲二州都督府。 眞聖王五年壬子, 【唐 昭宗 景福元年】 西面都統甄萱悉據舊地, 稱爲後百濟王高麗 太祖十九年丙申, 【後晋 高祖 天福元年。】 親征百濟, 克之。 成宗十四年乙未, 【宋 太宗 至道元年。】全州瀛州淳州馬州等州縣爲江南道, 羅州光州靜州昇州貝州潭州朗州等州縣爲海陽道, 顯宗九年戊午, 【宋 眞宗 天禧二年。】全羅道, 今因之, 都觀察使, 置司全州。 東至慶尙道 咸陽郡, 西南際海, 北至忠淸道 恩津縣, 東西二百三十三里, 南北四百五里。 所管留守一, 牧二, 都護府四, 郡十二, 縣三十九。 界首官四, 全州羅州南原長興。 名山, 曰智異山, 【一云地理, 一云方丈, 一云頭流。】南原, 其東晋州昆南, 北咸陽山陰, 西求禮、南光陽。 穹隆高大, 峻極于天, 山腰或有雲雨雷電, 其上晴朗如常。 秋涼, 鷹隼集, 羅取而貢進。 諺傳太乙居其上, 群仙之所會, 衆龍之所居也。 杜甫詩所謂方丈三韓外註及《通鑑輯覽》云: "方丈帶方郡之南。", 是也。 新羅爲南嶽, 中祀, 高麗及本朝, 皆仍爲中祀, 春秋降香祝, 令觀察使致祭。 錦城山羅州, 祭例與智異山同。 無等山 【一云武珍岳。 一云瑞石山。】武珍, 豐厚高大。 新羅爲小祀, 高麗致國祭, 本朝令州官行祭。 天冠山長興, 高險豐厚, 往往瑞氣觸天如白烟, 人頗異之, 祭例與無等山同。 月出山 【一云月柰岳。】靈岩,石峯峻層竦立, 其最高峯上, 有岩屹立, 高可二丈餘。 旁有一穴, 僅容一人, 從其穴而上, 其巓可坐二十人。 其平處, 有凹而貯水如盆者九, 號九井峯, 雖旱不渴, 諺傳九龍所在也。 其下有動石獨立層岩之上, 高可丈餘, 周可十圍, 西連山骨, 東臨無底之壑, 一人搖之, 則欲崩不崩。 如此石者, 又有二焉。 裳山, 在茂朱, 四面壁立, 層層峻截, 如人之裳故, 稱裳山, 古人因嶮爲城, 僅有二路可上, 其中平坦寬曠, 泉水四出, 合爲大川, 流注東壑。 邊山 【一云瀛洲山。】扶安, 重疊高大, 岩谷深邃, 戰艦之材, 多出於此。 馬耳山鎭安, 兩峯竦立, 東西相對, 形如削成, 高可千仞, 其頂樹木森蔚。 諺傳東山之頂有小池, 然可望不可到。 我太宗十三年癸巳, 次于山下, 遣官致祭。 大川, 曰南浦津, 在羅州, 其源有三。 其一潭陽 秋月山之水, 過昌平縣, 入于茂珍之北, 與昌平縣南水合, 又與茂珍城西水交, 轉西而流。 其一, 長城 葦嶺之水, 過珍原縣西、羅州北境, 歷古內廂城, 南至生鴨津, 與茂珍北境水合, 經羅州之東。 其一, 綾城雙峯之水, 過南平縣北, 又合于羅州東境水, 南轉而西流, 爲南浦津, 置船渡人。 至務安縣東, 爲大堀浦, 又西流過靈岩郡 雲積山之麓, 爲木浦, 入于海。 下道漕運, 由此達于京。 潺水津求禮, 其源有二。 其一, 鎭安 中臺山之水, 西南流過任實淳昌, 轉而東流至南原南境, 爲鶉子津。 其一, 智異山西北諸壑之水, 過南原入于鶉子津, 其下爲鴨綠津。 又寶城 亭子川水福城古縣, 北流爲洛水津, 東北流過古谷城, 入于鴨綠津, 合而東流至求禮縣南、順天北境, 是爲潺水津。 過智異山南麓, 至慶尙道 晋州古任內花開縣西, 爲龍王淵, 潮水至焉。 東南流過光陽縣之南, 爲蟾津, 入于海。 新倉津全州, 其源有三。 其一, 府南礪峴之水, 繞城南西轉而北流, 與府西南母山諸壑之水合, 至于蔘禮驛之南。 又與高山 雲梯之水交, 西流爲回浦飛艮 藏津, 潮水至焉。 至利城古城北, 爲新倉津, 有舟子焉。 西流萬頃臨陂, 至沃溝古沙浦, 入海。 東津扶安縣, 泰仁井邑兩縣之水, 合于金堤 碧骨水, 西流至興德東, 與古阜 訥堤水交, 爲東津, 潮水至焉, 作橋以通行人。 過萬頃縣, 西南入于海。 戶二萬四千七十三, 口九萬四千二百四十八, 軍丁侍衛軍一千一百六十七, 營鎭軍二千四百二十四, 騎船軍一萬一千七百九十三, 墾田二十七萬七千五百八十八結。 【水田十分之四。】 厥賦, 稻米、 【粳米、糙米。】 豆、 【黃豆、小豆、菉豆。】 小麥、芝麻、蘇子、苧布。 厥貢, 蜂蜜、黃蠟、虎皮、豹皮、熊皮、牛皮、馬皮、熟鹿皮、熟獐皮、狐皮、狸皮、山獺皮、水獺皮、弓絃、豹尾、狐尾、黃毛、鹿猪兔、鄕猪、乾鹿、乾獐、乾猪、丁香、脯、鹿尾、猪毛、牛角、鹿角、阿膠、筋、雜羽、班猫、玳瑁、天鵝、沙魚、乾水魚、全鮑、生鮑、乾紅蛤、落地、石花、甘蛤、生蛤、銀口魚、紅大蝦、引鮑、條鮑、烏賊魚、玉頭魚、昆鮑、魚膠、漆、芥子、黃栗、棗、乾柿子、紅柿子、木瓜、石榴、梨、榛實、芡仁、柚子、柑子、榧子、乳柑、洞庭橘、金橘、靑橘、山橘、夌仁、粉藿、常藿、早藿、海毛、牛毛、海角、黃角、莓山伊、海衣、甘笞、烏海子、松茸、石茸、眞茸、蔈膏、薑、蕨、芝草、槐花、梔子、雀舌茶、松花、松烟、松脂、緜花、苧、麻、麻索、各色紙箚、 【表箋紙、咨文紙、副本單子紙、奏本紙、皮封紙、書契紙、祝文紙、祝文紙、表紙、擣鍊紙、中幅紙、常表紙、甲衣紙、眠紙、歲畫紙、白奏紙、火藥紙、狀紙、常奏紙、油芚紙、油芚。】 席、 【別紋踏席、常紋踏席、白紋席、草席。】 竹皮、方席、篠、烏竹、箭竹、海竹、土藤箱子、竹皮、乾筍、磁器、木器、柳器。 藥材, 牛黃、牛膽、虎骨、蝟皮、熊膽、鹿茸、鹿角霜、鹿角膠、兔頭、鹿角、獺膽、羚羊角、島阿鳥油、蟾蚨、桑螵蛸、鼈甲、烏魚骨、乾鯉、鯉膽、蜈蚣、蝱蟲、蟬脫皮、龜甲、石決明、人蔘、零陵香、藿香、舶上、茴香、鷄頭實、蓮花蘂、金銀花、芎藭、牽牛子、木通、天門冬、麥門冬、瞿麥穗、天麻、澤瀉、兔絲子、紫莞、紫莞根、蓮子、貫衆、破古紙、蒼朮、藍、漆、虎杖根、當歸、旋覆花、括婁、芍藥、半夏、蒲黃、升麻、桔梗、馬蘭花、細辛、葛花、大戟、白鮮皮、天南星、牛膝、射干、苦蔘、白芷、前胡、草烏頭、鷄蘇、防風、蒿本、商陸、昆布、茅香、忍冬草、遠志、蘆根、莒蘆、茺蔚子、稀簽、酸醬、續斷、白頭翁、香附子、鬱金、赤前子、蘭香、紫草、玄蔘、紫胡、京三稜、白附子、澤漆、白斂、白芨、五味子、蒼耳、地楡、菖蒲、紫荷蕖、水萍、甘菊花、茵陳、漏蘆、葳靈仙、薄荷、續隨子、茜草根、葶藶子、黃耆、蔓荊子、馬兜苓、薺苨、大小薊草、蓑荷、芭蕉、徐長卿、益貫草、決明子、白芍藥、苧葉、石蔛、草蔛、蒴藋、山藥、獨活、蜀有子、川練子、石榴皮、白梅、烏梅、枳殼、枸杞子、鹽梅實、茯苓、牧丹皮、楮實、竹茹、地骨皮、竹瀝、黃蘗皮、川椒、白茯苓、胡桃、五加皮、淡竹葉、躑躅花、皂莢、皂角刺、郁李仁、乾木瓜、杏仁、五倍子、桃仁、蚤休、側栢葉、棠、梨、松子仁、陳皮、海桐皮、靑皮、厚朴、杜仲、松實、八角、茯神。 種藥, 生地黃、大黃、乾薑、白萹豆、黑萹豆、惡實、深黃、香薷。 漕倉二, 榮山倉羅州 木浦,【羅州、順天、長興、潭陽、樂安、寶城、海珍、靈岩、靈光、茂珍、康津、高興、光陽、綾城、南平、和順、同福、谷城、玉(菓) 〔果〕 昌平珍原長城高敞興德茂長咸平務安租稅納于此。】 德成倉咸悅縣西皮浦 【咸悅、全州、南原、益山、古阜、金堤、錦山、珍山、淳昌、臨陂、沃溝、萬頃、扶安、井邑、金溝、泰仁、任實、求禮、雲峯、長水鎭、安龍潭、茂朱、高山、礪山、龍安租稅納于此。】 關防, 守禦兵馬都節制使營, 在康津縣 【正軍四百九十八名, 守城軍五十一, 助役軍一百六十三, 匠人一百四十一名。】 鎭四, 沃溝扶安茂長兆陽 【正軍各三百名。】 水軍處置使營, 在務安縣 大堀浦 【領大船八艘, 中船十六艘。 軍一千八百九十五名, 梢工二十一名。】 左道都萬戶船泊處, 在寶城郡呂島梁 【領中船六艘, 孟船十二艘。 軍一千十二名, 梢工十九名。】 掌內萬戶八。 內禮順天府彌浦, 【領中船六艘, 別船六艘。 軍七百六十六名, 梢工六名。】 突山順天府龍門浦, 【領中船八艘, 軍五百十八名, 梢工四名。】 築頭高興縣高興浦, 【領中船六艘, 別船二艘。 軍五百十二名, 梢工四名。】 鹿鳥長興府鹿島梁, 【領中船六, 艘別船二。 艘軍四百八十三名, 梢工四名。】 會寧浦長興府周浦, 【領中船四艘, 別船四艘。 軍四百七十二名, 梢工四名。】 馬島康津縣垣浦, 【領中船八艘, 軍五百十名, 梢工四名。】 達梁靈岩郡南, 【領中船七艘, 孟船二艘, 軍五百十九名, 梢工四名。】 於蘭海珍郡三寸浦 【領中船四艘, 軍四百八十名, 梢工四名。】 右道都萬戶船泊處, 在咸平縣西垣串, 【領中船八艘, 別船十艘, 軍一千五十五名, 梢工九名。】 掌內萬戶五。 木浦務安縣南, 【領中船六艘, 別船二艘, 軍四百九十名。 梢工四名。】 多慶浦務安縣西瓦浦, 【領中船四艘, 別船四艘, 軍四百七十九名, 梢工四名。】 法聖浦靈光郡北, 【領中船六艘, 別船二艘, 軍四百九十三名, 梢工四名。】 黔毛浦扶安縣熊淵, 【領中船四艘, 別船四艘, 軍四百五十五名, 梢工四名。】 群山沃溝縣鎭浦 【領中船四艘, 別船四艘, 軍四百六十一名, 梢工四名。】 監牧官三人, 【道內一, 濟州二。】 驛丞七人。 昌活道所管驛十一, 【潺水、葛潭、獒樹、銀嶺、通道、引月、益申、蟾居、良栗、洛水、知申。】 鶯谷道? 所管驛五 【居山、川原、扶興、內才、瀛原。】 濟原道所管驛二, 【達溪、所川。】 碧沙道所管驛九, 【波淸、鎭原、通路、樂新、永保、別珍、祿山、陽江、可申。】 參禮道所管驛六, 【半石、良才、烏原、才谷、蘇安、玉包。】 靑嚴道所管驛九, 【丹嚴、仙嚴、新安、祿沙、靑松、永申、淸淵、慶新、街里。】 景陽道所管驛八。 【德基、加林、人物、昌新、大富、黔富、烏林、廣里。】


  • 【태백산사고본】 55책 151권 1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5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