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조실록10권, 정조 4년 11월
-
- 천둥하자 윤음을 내려 조언을 구하다
- 주강과 차대를 행하다
- 서장관 조정진이 열하의 실정을 보고하다
- 충주인 이술조가 역적의 명단을 올리자 안핵 어사로 조사케 하다
- 김종수를 공조 판서로, 홍낙명을 한성부 판윤으로 삼다
- 육상궁에서 작헌례를 행하다
- 경모궁의 겨울 제사에 쓸 축문에 서명하다
- 경모궁 겨울 제사에 쓸 희생과 제기를 살피고 재숙하다
- 태학 유생 등이 청에서 금불상 받은 것을 비난하다
- 경모궁에서 겨울 제사를 거행하다
- 승지 심염조가 고 이확, 나덕헌에게 시호 내릴 것을 청하자 허락하다
- 김희를 성균관 대사성으로 삼다
- 헌납 심덕조가 역적의 엄격한 처벌, 인재 등용, 재용의 절약 등을 논하다
- 주강하다
- 윤대하다
- 장령 권평이 액례의 폐단을 아뢰자 엄히 단속케 하다
- 호조 참판 정원시가 금불상을 받은 일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치 않다
- 이득제를 홍충도 병마 절도사로 삼다
- 도감 중조 김상옥의 사위 이동찬이 여인을 구타하고 액례에 촉탁하자 논죄하다
- 행 사직 권도가 건강을 이유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치 않다
- 권도를 한성부 판윤으로 삼다
- 이갑·이경양·박우원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성원·김상철 등이 장산 8고을에서 소미를 돈으로 대납할 때의 폐단을 논하다
- 홍낙성·김상철 등이 등급과 신분에 따라 심문받는 부서를 달리하도록 청하다
- 사간원에서 홍주익에 관한 계사를 중지하다
- 활인서의 인장을 자의로 사용한 황경원을 사적에서 삭제하다
- 병신년의 일을 다시 인책한 윤광소의 상소를 올린 관리를 추고하다
- 주강하다
- 봉상시 주부 차언보가 우례가 난 일로 인재 등용, 재용 절약, 성실한 정사에 관한 책자 올리다
- 김상철·이휘지가 대관령의 축성을 논의하자 그만두기로 하다
- 김노진·이연상·이복원·이성원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주강하다
- 정3품만으로 능침의 헌관을 차출한 이조 당상을 종중 추고하다
- 홍주익을 정의현에 안치하자 대간의 계사가 그치다
- 송영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번개치고 주강하다
- 정언 정익조가 홍주익에 대한 계사를 중지한 양사의 처벌을 청하다
- 이조와 병조 당상에게 역서의 초계를 수정하여 초기를 올리게 하다
- 청나라 갔다가 돌아온 부사 정원시가 청국 사정을 아뢰다
- 정지검을 이조 참의로 삼다
- 주강하다
- 공조 판서 김종수가 부모 봉양을 이유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치 않다
- 채제공이 금대로 관대를 착용하자 추고한 후 관직 삭제하다
- 차대하다
- 정일상·김익·김하재에게 관직 제수하다
- 다음 정조 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