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45권, 영조 13년 9월
-
- 광유에 참여하지 않은 자를 파직하고 이조 판서 이덕수를 체직하라 명하다
- 조현명·김시형·이덕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영상이 절약과 원경하의 호남 별견 어사 제수를 청하다. 이병상이 실언하다
- 송인명이 이병상의 실언을 변론하다. 까닭없이 광유에 빠진 자는 파직케 하다
- 비변사에서 호서 감사·육진 강변의 수령은 전조에서 차출해야 한다고 하다
-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여 이병상의 일 등을 논하다
- 김유경·김상로·심성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소대를 행하다
- 왕세자가 사부와 상견례를 행하다
- 서제(書題)로 차출한 일을 변명하지 않겠다는 호군 이덕수의 상소
- 영상이 동궁의 덕성 함양을 청하다. 박필부·조귀명·유숙기 등을 논하다
- 석강을 행하다
- 공판 이병상이 상소하여 일전의 일로 감죄를 청하니 소를 돌려주라 명하다
- 윤혜교·박필부·정이검·민익수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부호군 이목이 군역 보충의 계책을 상소하니 비국에 내려 처리하게 하다
- 주강을 행하다
- 밤에 금성이 헌원성으로 들어가다
- 주강을 행하다. 민우수·조귀명·서명순·유숙기를 외읍에 시험하라 명하다
- 대전의 탄일이라 2품 이상이 문안했으나 임금이 하례를 받지 않다
- 성균관에서 구일제를 설행하고 수석한 진사 박춘보에게 직부 전시를 명하다
- 송인명이 이덕수는 문장이 뛰어나니 하향하게 해서는 안되다 하다
- 군포 받는 방법 개선과 황당선 횡포 저지 방편을 적은 우윤 이진순의 상소
- 수어사 윤순·이조 참판 김유경의 파직 등을 청하는 대사헌 김시형의 상소
- 주강을 행하다
- 친히 도정을 행하여 이덕수·이양신·이석표·정익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친정을 행하여 민응수·이진순·정이검·정익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좌상 김재로가 사직하니 윤허하지 않는다고 비답하다
- 헌부에서 효종 잠저의 하마비 건립과 병판 김성응의 승진 개차를 청하다
- 오늘날의 급선무를 5가지로 적어 올린 대사간 오광운의 상소
- 윤득화·김정윤·김상구·이석표에게 관직 제수하다
- 장령 이우하가 연안 부사 김호의 파직과 군문 대장들의 가속을 위해 집 마련을 청하다
- 석강을 행하다
- 밤에 달이 필성을 범하다
- 민생이 참혹하니 군역·신포를 반감하자는 공홍도 어사 박사창의 장계를 따르다
- 영상 이광좌가 차자를 올려 병을 끌어대니 사직하지 말라고 비답하다
- 밤에 유성이 여성 아래에서 나와 남방으로 들어가다
- 패악한 예판 김취로의 삭적·병출을 청하는 장령 이우하의 상소
- 대신·비국 당상을 인견하고 이우하의 소를 보이면서 김취로에 대해 묻다
- 이진순·오언주·정희보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우상의 차자에 김취로의 일은 해당 서리만을 조사하자 하다.
- 장령 이우하를 체직하고 김취로의 일은 사핵하겠다 하다
- 소대를 행하고 우상 송인명의 입시를 명해 김취로의 일을 논하다
- 이병상을 극변으로 찬축하다
- 곡물을 모은 양에 따라 각도 수령의 상벌을 정하다. 이병상의 일을 논하다
- 창녕 여자 문옥이의 정려를 명하다
- 좌상 김재로가 4번 정사하니 승지에게 돈유하라고 명하다
- 오광운·박문수·송징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김취로를 비난한 이우하의 소를 반한하시라는 정언 김상구의 상소
- 소대를 행하다. 공씨(孔氏)의 후손을 각도에서 찾아 조용하라고 명하다
- 밤에 유성이 삼태성 아래에서 나와 손방으로 들어가다
- 대신·비국 당상을 인견하다. 오언주가 전계를 아뢰고 김성탁 사건은 정계하다
- 석강을 행하다
- 밤에 유성이 천원성 아래에서 나와 손방으로 들어가다
- 이석표·이유신·김시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향유의 별정시 방에 뺀 자를 급제시키자는 장령 이행민의 상소에 따르지 않다
- 간원에서 이행민·유업기·윤사도·박종성의 파직을 청하다
- 밤에 천둥과 번개가 치다
- 주강을 행하다. 영부사 이광좌가 이병상을 용서하라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 태복시 주원의 낭관은 김취로와 인척이므로 다시 조사하자는 이우하의 상소
- 승지 윤득화가 상소하여 김취로·주원의 낭관과 인척간이라 사직을 청하다
- 천둥과 번개가 치며 우박이 내리다
- 간원에서 황당선의 일로 수사 이우 감사 이성룡의 죄를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 대각이 자신을 과장되이 비난해 벌을 받았다는 공조 참판 홍경보의 상소
- 초저녁에 번개가 치다
- 이병상의 찬축과 김취로를 문책하지 않는 것에 대한 대사간 김상성의 상소
- 조상명을 장령, 남취명을 동돈녕, 정준일을 사서로 삼다
- 희정당에서 성균관 유생을 친강하고 유생 이성운·조처로·문봉수를 급제시키다
- 이병상의 반한·중비로 제수한 호판 윤양래의 체자를 청한 정언 홍정명의 상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