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산군일기14권, 연산 2년 4월
-
- 승지 등이 출모의 제사에 대하여 논하다
- 평안도 관찰사 이극균이 진대에 대하여 상서하다
- 영의정 신승선이 재변으로 인해 사면을 청하다
- 윤필상·어세겸 등이 폐비의 제문에 대하여 의논하다
- 윤필상·노사신 등이 진대에 대하여 의논하다
- 사헌부 지평 이자견이 대비가 선릉에 거둥하는 것을 아뢰다
- 햇무리하다
- 윤필상·노사신 등이 대비의 선릉 참여를 의논하다
- 성현·신종호·조숙기가 폐비 묘소 제문에 대하여 아뢰다
- 지평 이자견이 대비의 능소 참배를 금하도록 아뢰다
- 윤필상·노사신 등이 묘소 제문에 대하여 아뢰다
- 이자견이 대비의 능소 참배와 윤탕로의 녹안 등을 금하도록 아뢰다
- 윤필상·신승선 등이 부묘시 의장에 대하여 의논하다
- 지평 이자견이 대비의 산릉 참배와 윤탕로의 일을 논계하다
- 사간원 이감 등이 경연·간쟁 등을 상언하다
- 달무리하다
- 이자견·권균이 윤탕로의 직첩을 도로 준 것을 논계하다
- 달무리가 있었다
- 인정전에서 책시하다
- 승지 권경우 등이 기우제를 지내자고 아뢰다
- 왕대비의 산릉 참배를 정지하다
- 이자견·권균 등이 윤탕로의 일에 대하여 아뢰다
- 영돈녕 윤호의 졸기
- 문과 김천령 등 33명을 뽑다
- 햇무리와 달무리하다
- 승정원에 공자의 도를 일으키고 불교를 쇠하게 하라는 어서를 내리다
- 예조 판서 성현 등이 대비의 상복을 의논하다
- 달무리하다
- 어세겸·정문형 등이 대비의 상복을 의논하다
- 병조에서 야인 김시을거에게 상을 주지 말라고 아뢰다
- 대비의 상복을 전교하다
- 사헌부가 한치례를 국문하도록 아뢰다
- 달무리 하다
- 인정전에서 문무과의 방을 내다
- 사감으로 논박하지 말도록 사헌부에 전지하다
- 이자견·권균이 윤탕로의 직첩을 다시 돌려 주는 것이 부당함을 아뢰다
- 햇무리하다
- 이자견·권균이 윤탕로·한치례·원각사의 조라치 등에 대하여 아뢰다
- 경연에서 윤탕로의 일에 대하여 논의하다
- 이자견·권균이 윤탕로·한치례와 원각사의 조라치에 대한 일을 논계하다
- 최한원·이의손이 윤탕로의 일에 대하여 논하다
- 이세인·권균이 윤탕로의 일에 대하여 논계하다
- 윤필상·노사신 등이 한치례의 죄를 논계하다
- 서산보·권균이 윤탕로의 일에 대하여 논하다
- 승정원에 전교가 누설되는 폐단에 대하여 전교하다
- 이자견·유세침이 윤탕로의 일에 대하여 논계하다
- 여종 및 첩의 딸들을 시녀로 뽑도록 하다
- 강형·유세침이 윤탕로·원각사의 조라치에 관한 일을 논하다
- 원각사 조라치 10명을 감하도록 하다
- 이자견 등에게 대방 부인의 송씨의 상언 내용을 묻다
- 이자견이 대방 부인의 일을 아뢰다
- 이자견·이의손이 윤탕로의 일을 논계하다
- 봉보 부인의 작첩 등을 거두도록 승정원에 전교하다
- 양첩 딸의 시녀 간택에 대하여 승정원이 아뢰다
- 이자견·권균이 윤탕로의 일에 대하여 논계하다
- 종친들의 재주를 시험 보였는데 영천수 이심 등 네 사람이 입격하다
- 이자견·권균이 윤탕로의 일에 대하여 논계하다
- 봉보 부인의 직첩 문제를 승정원에 전교하다
- 이자견·권균이 윤탕로의 일을 논계하다
- 승정원이 가뭄이 심하니 민원 및 어진이를 천거케 하자고 아뢰다
- 지중추부사 이칙의 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