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조실록46권, 인조 23년 1월
-
- 이형익을 특명으로 서용하다
- 낮이 캄캄하다
- 이식이 성균관 관원들을 거느리고 유생들에게 과시를 보이다
- 다시 사섬시를 설치하다
- 세자와 빈궁이 연경으로부터 심양에 도착하다
- 심액·홍호·남이웅·조석윤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서울의 아문 등에 청나라 사신 접대 비용을 보조토록 하다
- 달무리가 지다
- 달이 동정성으로 들어가다
- 호조가 난리로 인하여 견감시킨 공물의 조항들을 다시 설치할 것을 청하다
- 우의정 서경우가 차자를 올려 사직하다
- 태백성이 나타나다
- 월식이 있다
- 조전소·남노성·목행성·심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번왕이 남경에서 즉위하고 연호를 고쳐 홍광이라고 하다
- 비국이 영원위에 쌀 운반하는 일에 대처할 것을 청하다
- 개성부 유수가 봄가을 석전제 등의 제를 서울과 일체로 거행할 것을 청하다
- 예조가 경상도로 하여금 신경직·성경창 등을 치죄시킬 것을 청하다
- 달이 저성 북쪽의 별을 범하다
- 성균관 유생에게 황감을 하사하고 제술 시험을 보이게 하다
- 병사 민진익이 황해도 여러 고을의 도망한 군졸 등에 관해 보고하다
- 이응구태의 부락에서 소의 전염병으로 온성에 시장을 열 것을 청해 오다
- 용골대가 구왕의 뜻으로 봉림 대군에게 귀국을 허락한다는 말을 전하다
- 녹훈 도감이 임박한 칙사의 행차를 이유로 회맹제를 미룰 것을 청하다
- 나이를 속이고 입사하는 경우, 당해 당상과 낭청이 죄를 받도록 하다
- 청나라 사신 일행 중에 정명수가 김육이 원접사가 된 것에 대해 화를 내다
- 다음 인조 23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