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실록37권, 영조 10년 3월 1일 정축 1번째기사
1734년 청 옹정(雍正) 12년
- 영조실록37권, 영조 10년 3월
-
- 《근사록》을 강(講)하다
- 별이 북두성 아래로 지나가다
- 소대를 행하다
- 서명균이 면직소를 올렸으나 윤허하지 않다
- 심수현이 사직소를 올렸으나 윤허하지 않다
- 판의금 김시환을 파직하다
- 서명균을 돈유(敦諭)하다
- 김시형·심택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사헌부에서 전계를 올리다. 죄인 윤연의 석방의 부당함과 황음수 등의 파직소를 건의하다
- 김약로가 박필균 등이 받은 판부를 환수하라고 건의하다
- 이이제가 이훈좌의 관직 임명의 부당성을 상소하다
- 약득중이 대신들이 관직의 일을 다하지 않는 것에 대해 상소하다
- 이중협이 흉년에 백성의 조세를 탕감해줄 것을 건의하다
- 조명리가 성학 호오(好惡)·민생 규휼에 대해 건의하다
- 국청 죄인 남극이 도망가다
- 포도청 군관 유식이 남극을 체포하여 바치다
- 황단에서 친제(親祭)하다. 양경리의 사당에 제사지낼 것을 명하다
- 여광헌·송인명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조현명이 전주의 축성을 계속할 것을 건의하다
- 추국을 행하여 남극을 형신하다
- 추국을 행하여 남극과 민원귀를 형신하다
- 추국을 행하여 남극과 민원귀를 면질시키다
- 관원을 보내어 제사지내게 하는 절차를 논하다
- 윤대(輪對)를 행하다
- 소대를 행하다
- 안상휘가 대가(大駕)가 사묘(私廟)에 거둥하였을 때 불법한 행동을 한 관리에 대한 처벌을 건의하다
- 윤유가 겸직인 경연직을 사퇴하다
- 김재로가 이훈좌 탄핵에 대한 이이제의 상소에 대해 해명하다
- 황단(皇壇)에 제사지내다
- 청에서 자문을 보내와 월경한 범죄인에 대한 처벌을 요구하다
- 월경한 범죄인의 처벌과 청의 자문에 대한 대처를 논의하다
- 평안 병사 이수량·강계 부사 김준을 파직시키다
- 밀양 부사 이중협의 처리, 직산 현감 이위보의 지나친 정범 비호에 대한 처리, 한정 수괄에 대한 문제 등에 대한 사간원의 상소
- 심수현이 이중협에 대한 처분이 심했음을 상소하다
- 장단 부사 성덕윤을 상관을 능멸한 형율로 다스릴 것을 명하다
- 서명균·박문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남극·민원귀 등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정수기·이기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전 참의 이광보의 국안 누설, 강원 감사 조최수의 불성실한 장계 등에 관한 사간원의 상소
- 소대를 행하다
- 평안도 봉천에 지진이 발생하다
- 민원귀·박신명 등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밤에 달이 좌각성을 범하다
- 서명균이 정승직의 사퇴를 청하였으나 불허하다
- 주강과 석강을 행하다
- 남극·권각·황도중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조강을 행하다
- 이철보가 양국에서 조사한 월경죄인 수와 지명의 불일치에 대한 문제를 건의하다
- 이석표·정우량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국청 죄인 민원귀가 죽다
- 전 고산리 첨사 이태상을 진졸을 검속하지 못한 죄로 유배보내고, 국청 입직 도사를 죄인 민원귀의 죽음과 관련하여 추문하다
- 심수현이 박문수의 직인 진주 부사를 교체하기를 청하다
- 이종성을 비국의 부제조로 삼다
- 남극 등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의금부에서 민원귀의 시체를 살펴 보고하다
- 안상휘가 죄인 남극의 탈옥과 민원귀의 갑작스런 죽음에 관련된 자들의 처리를 건의하다
- 남극·황도중 등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사헌부에서 전계하고, 남태적의 처벌에 대해 상소하다
- 김시혁·어유룡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사간원에서 전계하였으나 윤허하지 않다
- 남극·남운기 등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서명균의 사직을 윤허하다
- 김성응·서명빈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의금부에서 전 평안 감사 권이진의 파직을 청하다
- 이양제·감덕 등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서명균·심악 등에 관직을 제수하다
- 서명균이 이수해의 상소에 대한 처벌이 무거웠음을 상소하다
- 이양제·감덕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서명균이 사행(使行) 때 은화로써 주선(周旋)시의 비용으로 충당해 줄 것을 청했으나 윤허하지 않다
- 금법을 어기고 월경한 죄인을 고발할 경우에 대한 포상을 더욱 후하게 하다
- 고 청평위 심익현과 공주의 천장(遷葬)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해 주다
- 사헌부에서 국청 죄수의 체포에 가도사를 파견하는 문제를 상소하고, 사간원에서 이석표의 처벌을 건의하다
- 정제두·이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윤대관을 불러서 보다
- 사간원·사헌부에서 전계하고, 불법으로 월경한 지역의 수령과 변장을 처벌할 것을 건의하다
- 이양제·남격 등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소대를 행하다
- 이양제·남격 등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신중태·윤상갑 등에 대한 추국을 행하다
- 국청 죄인 이양제·감덕 등에 대한 형율을 정하게 하다
- 국청 죄인 남격·남태적·윤정현을 신문하다
- 집의 최명상·정언 홍계유가 죄인 이양제·감덕·남태적의 작처(酌處)를 중지하고 엄중히 신문할 것을 청하다
- 참찬관 이성룡이 전결의 등수가 너무 높아 진폐지가 많이 생기므로 등수를 낮추자고 건의하다
- 주강에 나가니 지사 윤유가 정제두를 천거하다
- 《심경》·《근사록》을 관서에 반포하여 유교를 권장하다
- 심성희·신만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주강에 나가니 특진관 홍현보가 동몽 교관의 활용을 건의하다
- 윤유의 말에 따라 각 군문의 활쏘기에서 1차에서 만점 받은 사람만 별단에 써서 들이게 하다
- 무고한 죄인 남극이 복주(伏誅)되고, 가산이 적몰되다
- 윤정현·남격의 처벌을 하교하다
- 감옥을 깨끗이 청소하라고 하교하다
- 의금부에서 해당 당상관 정형익·이춘제·조명익에 대한 처벌을 건의하다
- 사헌부가 남태적 등을 다시 신문할 것을, 사간원이 윤정현의 처리를, 아뢰다
- 밤1경에 별이 문창성 위로 지나갔다가 5경에 북두성 아래로 지나가다
- 김흥경·송인명 등에게 의금부의 뇌물 받은 이졸에 대한 처벌을 하문하다
- 교리 김약로가, 송인명·윤유가 옥당의 문학하는 선비를 별천할 때 자기 이름이 없다고 사직을 청하다
- 경상 감사 유복명이 면직되다
- 관서 안핵 어사 이철보와 평안 감사 박사수가 불법으로 월경한 죄인을 신문하다
- 박문수가 불법으로 월경한 것에 대한 사칙과 사신의 왕래에 대해 건의하다
- 치재(致齋)와 산재(散齋)의 기일을 정하다
김인후(金麟厚)
- 성명김인후(金麟厚)
- 신분문반
- 자후지(厚之)
- 호하서(河西)
- 본관울산(蔚山)
- 생년1510
- 몰년1560
- 국가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