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의 수리, 안주의 풍수를 유 원외에게 물을 것 등을 전교하다
상이 정원에 전교하였다.
"내가 어리석은 뜻이 있어 경에게 유시한다. 내가 피난올 즈음에 일로(一路)의 산천 형세를 유심히 살펴보았는데 평양 이서(以西)는 모두 적병이 승승 장구할 수 있는 땅인데 성지(城池)가 있는 고을은 안주·정주·의주 셋이 있을 뿐이다. 정주·의주는 성이 험준하지 않고, 몇 척의 낮은 성첩은 한번 뛰어 오르면 넘을 수 있으며 정주는 성첩의 제도까지 상실하였으니 모두 믿을 만한 성이 못된다. 오직 안주만은 앞에 큰 강이 흐르고 성터가 자못 높고 험하니, 고구려 때에 성첩이 비록 낮았더라도 옛날 수나라 군사가 여기에서 혼쭐이 났었던 일195) 을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이곳은 동으로 평양과 더불어 서로 순치(唇齒)의 형세를 이루고 있고, 북으로는 영변과 더불어 의각지세를 이루고 있는데, 내가 보기에는 영변도 또한 극히 험고한 요새이지만, 안주는 진시로 형승(形勝)한 요충지이다. 국가는 반드시 그 고을의 백성을 위무하고 길러 하나의 보장(保障)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만 동서에서 변란이 불시에 일어나더라도 시기에 임해 책응하여 거의 근심을 덜 수가 있을 것이다. 다만 본주(本州)의 형편을 보건대 마을이 쓸쓸하고 거주하는 백성이 많지 않아 위급한 기세만 있을 뿐, 당당한 기상은 보이지 않으니, 이것은 비록 부역이 많고 정사를 잘못한 소치에서 연유된 것이나 반드시 그럴 만한 까닭이 있을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안주는 예전부터 이러하였으니 이는 풍기(風氣)의 탓이요, 인력으로서는 어찌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요절하는 자가 많고 심지어는 병향(病鄕)이라고까지 부른다. 전 수령 모(某)가 대로(大路)를 막으려다가 이루지 못했는데 이는 지형이 아래로 성안을 진압하기 때문이다.’고 하나, 나는 이러한 것은 육안으로서는 알 수 없다고 생각한다. 경은 유 원외와 함께 지금 본주에 있으니 그와 더불어 한담할 기회가 있으면 틈을 타서 ‘이 고을은 일로에서 긴요한 곳인데, 예로부터 생민이 번성하지 못하고 요절하는 사람이 많아 국가에서 비록 무휼책을 지극히 하였어도 부유하고 인구가 증가하는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혹자는 풍수(風水)에 맞추지 못한 탓이라고 말하는 자도 있다. 대인은 학문이 천인(天人)을 관철하고, 묘술이 감여술(堪輿術)에 통달한 분으로서, 이 고을에 오시게 된 것은 천재 일우의 행운이다. 원컨대 분명하게 가르쳐 주신다면 어찌 우리 나라의 행운이 아니겠는가.’라고 말하여 그의 뜻을 은근히 탐지하여 이 뜻을 보이라. 경이 사세를 잘 살펴서 참작하여 하되, 만일 그가 무슨 말을 하거든 즉시 치계하라고 김수(金睟)에게 하서(下書)하라."
- 【태백산사고본】 21책 39권 15장 B면【국편영인본】 22책 8면
- 【분류】과학-지학(地學) / 군사-병참(兵站) / 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
- [註 195]고구려 때에 성첩이 비록 낮았더라도 옛날 수나라 군사가 여기에서 혼쭐이 났었던 일 : 살수 대첩(薩水大捷)을 말함.
○上敎政院曰: "予有愚意, 玆諭于卿。 予跋涉之際, 一路山川形勢, 靡不有意諦視。 平壤以西, 敲兵皆可長驅, 而有城池之邑有三, 曰安州, 曰定州, 曰義州而已。 定州、義州城非據險, 數尺殘堞, 一趯可(倒)〔到〕 ; 定州則竝失其制, 皆不足恃也。 唯安州, 前臨大江, 城基亦頗高險。 麗堞雖殘, 隋魂可想。 此地, 東與平壤, 相爲唇齒; 北與寧邊, 互相掎角。 予觀寧邊亦極險固, 安州眞形勝要衝處也。 國家必須撫養其民, 作一保障, 然後東警、西變, 雖出於倉卒, 臨機策應, 庶幾無虞。 第觀本州, 閭里蕭條, 生齒不繁, 有奄奄之勢, 無堂堂之形。 此雖由於役煩失政之致, 而必有其所以也。 或者曰: ‘安州自來如此, 風氣使然, 非人之所能爲也。 故人多夭札, 甚者至以病鄕目之。 是以前守臣某, 欲塞其大路而不得, 以其俯壓城中故也。’ 予以爲此非肉眼所知。 卿陪劉員外, 方在本州, 宜於閑談之際, 乘便語之曰: ‘此州爲一路緊處, 而自昔生齒不繁, 人多夭札, 國家雖極撫恤, 而未見富庶之効。 或言: 「風水失善」 大人學貫天人, 妙達堪輿之術。 來臨此邑, 千載之幸。 願明以指授, 豈非東方之幸’ 云云, 微探其意以示之。 卿其觀勢, 斟酌爲之, 如有所言, 卽馳啓事, 下書于金睟。"
- 【태백산사고본】 21책 39권 15장 B면【국편영인본】 22책 8면
- 【분류】과학-지학(地學) / 군사-병참(兵站) / 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