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3권, 地理志 江原道 原州牧

地理志 / 江原道 / 原州牧


원주목(原州牧)

사(使) 1인, 판관(判官) 1인, 유학 교수관(儒學敎授官) 1인.

본래 고구려평원군(平原郡)인데, 신라 문무왕(文武王)북원 소경(北原小京)을 두었고, 고려 태조(太祖) 23년 경자에 【진(晉)나라 고조(高祖) 천복(天福) 4년. 】 원주로 고쳤다. 현종(顯宗) 9년 무오에는 【송나라 진종(眞宗) 천희(天禧) 2년. 】 지주사(知州事)를 두었고, 고종(高宗) 45년 무오에는 【남송 이종(理宗) 보우(寶祐) 6년. 】 원주에서 왕명을 거역한 일로 인하여 일신현(一新縣)으로 강등했는데, 원종(元宗) 원년 경신에 【남송 이종(理宗) 경정(景定) 원년. 】 지원주사(知原州事)로 회복하였다. 10년 기사에 【남송 도종(度宗) 함순(咸淳) 5년. 】 위사 공신(衛社功臣) 임유무(林惟茂)의 외향(外鄕)이라 하여 정원 도호부(靖原都護府)로 승격하였고, 충렬왕(忠烈王) 17년 신묘에는 【원나라 세조 지원 28년. 】 합단(哈丹)의 난리를 당하여 굳게 지켰으므로, 익흥 도호부(益興都護府)로 고쳤다. 충렬왕 34년 무신에 원주목(原州牧)으로 승격하였고, 【원나라 무종(武宗) 지대(至大) 원년. 】 충선왕(忠宣王) 2년 경신에는 강등하여 성안부(成安府)로 하였다. 【지대(至大) 4년. 】 공민왕(恭愍王) 2년 계사에 태(胎)를 주의 땅 치악산(雉岳山)에 안치하고, 다시 원주목으로 회복하였는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별호는 평연경(平演京), 또은 평량(平涼)이라 한다. 【순화(淳化) 때 정한 것이다. 】 속현(屬縣)이 1이니, 주천(酒泉)은 본래 고구려주연현(酒淵縣)인데, 신라 때에 지금 이름으로 고쳐서 내성군(柰城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顯宗) 9년 무오에 원주 임내에 이속(移屬)하였고,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는데, 별호는 학성(鶴城)이라 한다.

명산(名山)은 치악(雉岳) 【주(州) 동쪽에 있는데, 봄·가을에 향축(香祝)을 내려 제사지내기를 소사(小祀)로 한다. 】 ·거슬갑산(琚瑟岬山) 【주천현 북쪽에 있는데, 그 고을 관원이 제사지낸다. 】 ·사자산(師子山)이다. 【주천현 동북쪽에 있다. 】 대천(大川)섬강(蟾江)이다. 【주(州) 서남쪽에 있는데, 흥원창(興原倉)이 있는 곳이다. 】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평창군(平昌郡)에 이르기 84리, 서쪽으로 경기도 여흥(驪興)에 이르기 64리, 남쪽으로 충청도 충주(忠州)에 이르기 20리, 북쪽으로 횡성(橫城)에 이르기 24리이다.

호수가 1천 1백 48호요, 인구가 3천 2백 33명이다. 주천현의 호수가 1백 63호요, 인구가 2백 80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2백 84명이요, 선군이 82명이다.

토성(土姓)이 6이니, 원(元)·이(李)·안(安)·신(申)·김(金)·석(石)이요, 망래성(亡來姓)이 1이니, 최(崔)요, 속성(續姓)이 1이니, 조(趙)이다. 【횡성에서 왔는데, 향리(鄕吏)이다. 】 주천의 성이 3이니, 조(趙)·윤(尹)·노(盧)요, 망래성(亡來姓)이 2이니, 왕(王)·동(童)이요, 속성(續姓)이 1이니, 강(康)이다. 【진주(晉州)에서 왔는데, 향리(鄕吏)이다. 】 없어진 우도곡 부곡(又刀谷部曲)의 망성(亡姓)이 2이니, 채(蔡)·윤(尹)이요, 없어진 소을탄소(所乙呑所)의 성이 1이니, 지(池)이다. 인물은 응양군 상호군(鷹揚軍上護軍) 원충갑(元沖甲)이다. 【충렬왕 때 사람이다. 】

땅이 메마르며, 간전(墾田)이 7천 5백 56결이요, 【논이 5분의 1이 넘는다. 】 토의(土宜)는 오곡·뽕나무·삼·배·닥나무·칠이다. 토공(土貢)은 꿀·밀[黃蠟]·잣·지초·시우쇠·느타리·북나무충영·사슴포·여우가죽·삵괭이가죽·노루가죽·수달피·표범꼬리요, 약재는 오미자(五味子)·바디나물뿌리[前胡]·궁궁이[芎藭]·승검초뿌리[當歸]·모란뿌리껍질[牧丹皮]·나팔꽃씨[牽牛子]·측백나무열매[栢子仁]·복령(茯苓)·복신(茯神)·대왕풀[白芨]·쥐꼬리망초뿌리[蓁]·다린송진[白膠香]·북나무진[安息香]·인삼(人蔘)이다.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주(州) 서쪽 50리 탑전리(塔前里)에 있다. 【하품이다. 】

영원산 석성(靈原山石城)이 주(州) 동쪽 30리에 있다. 【둘레가 6백 46보(步)이며, 샘이 2가 있는데, 사시(四時)에 마르지 아니하며, 또 창고 9간이 있다. 】 역(驛)이 5이니, 단구(丹丘)·신림(神林)·안창(安昌) 【본래 안양(安壤). 】 ·유원(由原) 【본래 유원(幽原). 】 ·신흥(神興) 【주천현에 있다. 】 이다. 각림사(覺林寺) 【치악산 동쪽에 있는데, 고을에 가기 40리이다. 선종(禪宗)에 붙이었고, 전지 3백 결(結)을 주었다. 우리 태종(太宗)이 잠저(潛邸) 때 글을 읽던 곳이다. 일찍이 횡성에서 무예를 연습하다가, 이 절에다 연(輦)을 머무르고, 옛 늙은이들을 불러서 위로하고, 절에 밭과 민호를 주고, 주의 관원으로 하여금 도와주게 하였다. 】 흥법사(興法寺) 【주(州) 서쪽 30리에 있다. 절에 비가 있는데, 고려 태조(太祖)가 친히 그 글을 짓고, 최광윤(崔光胤)이 당나라 태종 황제의 글씨를 모아서 돌에 새기었다.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이 일찍이 말하기를, "글뜻이 웅장하고 깊고 크고 고와서, 검은 홀[玄圭]과 붉은 신[赤舃]으로 낭묘(廊廟)에서 읍양(揖讓)하는 것 같고, 글자의 크고 작은 줄이 서로 맞아서, 난새가 까맣게 뜨고 봉황이 깃들이어, 기운이 우주를 삼키는 듯하니, 참으로 천하의 보배라." 하였다. 】

월경처(越境處)는 충청도 제천현(堤川縣)의 서쪽 가질문촌(加叱文村)원은촌(原犾村) 등 2촌이 15리쯤 주(州)의 남쪽 지경에 들어와 있고, 경기 지평현(砥平縣)의 동쪽 죽장촌(竹杖村)북평촌(北坪村)·거질단(居叱丹)·송현(松峴) 등 4촌이 15리쯤 주(州)의 서쪽 지경에 들어와 있다.

관할[所領]은 지군사(知郡事)가 1이니, 영월(寧越)이요, 현(縣)이 2이니, 횡성(橫城)홍천(洪川)이다.


  • 【태백산사고본】 57책 153권 5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7면


    原州: 牧使一人, 判官一人, 儒學敎授官一人。 本高句麗 平原郡, 新羅 文武王北原小京, 高麗 太祖二十三年庚子, 改原州 【晋 高祖 天福四年】 顯宗九年戊午, 定置知州事, 【宋 眞宗 天禧二年。】 高宗四十五年戊午, 以原州逆命, 降爲一新縣, 【南宋 理宗 寶祐六年。】 元宗元年庚申, 復知原州事, 【南宋 理宗 景定元年。】 十年己巳, 以衛祀功臣林惟茂外鄕, 陞爲靖原都護府。 【南宋 度宗 咸淳五年。】 忠烈王十七年辛卯, 以當哈丹之亂, 堅壁固守, 改爲益興都護府。 【元 世祖 至元二十八年。】 忠烈王三十四年戊申, 陞原州牧。 【元 武宗 至大元年。】 忠宣王二年庚戌, 降爲成安府, 【至大四年。】 恭愍王二年癸巳, 安胎于州地雉岳山, 復原州牧, 本朝因之。 別號平演京, 又平涼 【淳化所定。】 屬縣一, 酒泉, 本高句麗 酒淵縣, 新羅改今名, 爲柰城郡領縣。 高麗 顯宗戊午, 移屬原州任內, 本朝因之。 別號鶴城。 名山曰雉岳, 【在州東, 春秋降香祝致祭, 小祀。】 琚瑟岬山 【在酒泉縣北, 其官行祭。】 師子山 【在酒泉縣東北】 大川, 蟾江 【在州西南, 興原倉所在也。】 四境, 東距平昌郡八十四里, 西距京畿 驪興六十四里, 南距忠淸道 忠州三十里, 北距橫城二十四里。 戶一千一百四十八, 口三千二百三十三。 酒泉縣戶一百六十三, 口二百八十。 軍丁, 侍衛軍二百八十四, 舡軍八十二。 土姓六; 亡來姓一, ; 續姓一, 【橫城來, 鄕吏。】 酒泉姓三, ; 亡來姓二, ; 續姓一, 【晋州來, 鄕吏。】又刀谷部曲亡姓二, ; 亡所乙呑所姓一, 。 人物, 鷹揚軍上護軍元冲甲 【忠烈王時人。】 厥土塉, 墾田七千五百五十六結。 【水田五分之一强。】 土宜五穀, 桑、麻、梨、栗、楮、漆。 土貢, 蜂蜜、黃蠟、松子、芝草、正鐵、眞茸、五倍子、鹿脯、狐皮、狸皮、獐皮、水獺皮、豹尾。 藥材, 五味子、前胡、芎藭、當歸、牧丹皮、牽牛子、栢子仁、茯苓、茯神、白芨、蓁艽、白膠香、安息香、人蔘。 陶器所一, 在州西五十里塔前里 【下品。】 靈原山石城, 在州東三十里。 【周回六百四十六步, 有二泉, 四時不渴, 又有倉九間。】 驛五, 丹丘神林安昌 【本安壤。】 由原 【本幽原】 神興 【在酒泉縣。】 覺林寺 【在雉岳山東, 去州四十里。 屬禪宗, 給田三百結, 我太宗潛邸時讀書之地。 嘗講武于橫城, 駐輦于是寺, 召慰古老, 賜寺田民, 令州官蠲恤。】 興法寺 【在州西三十里, 寺有碑, 高麗 太祖親製其文, 而崔光胤集唐 太宗皇帝書, 模刻于石。 益齋 李齋賢嘗曰: "辭義雄深偉麗, 如玄圭赤舃, 揖讓廊廟, 而字大小眞, 行相間鸞漂鳳泊, 氣呑象外, 眞天下之寶也。"】 越境處, 忠淸道 堤川縣 西加叱文村原犾村等二村十五里許, 來入州之南境。 京畿 砥平縣竹杖村北坪村居叱丹松峴等四村, 十五里許, 來入州之西境。 所領知郡事一, 寧越。 縣二, 橫城洪川


    • 【태백산사고본】 57책 153권 5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