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2권, 地理志 黃海道 海州牧 甕津縣

地理志 / 黃海道 / 海州牧 / 甕津縣

옹진현(甕津縣)

본래 고구려옹천(甕遷)인데, 고려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치고 현종(顯宗) 9년에 비로소 현령(縣令)을 두었다.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르다가, 태조(太祖)정축292) 에 진(鎭)을 설치하고 병마사(兵馬使)로 판현사(判縣事)를 겸하게 하였다. 금상(今上) 5년 계묘에 첨절제사(僉節制使)로 고쳤다. 【3품(品)은 첨절제사라 하고, 4품(品)은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라 한다. 】

진산(鎭山)은 화산(花山)이다. 【현의 북쪽에 있다. 】 사방 경계는 3면이 해주(海州)에 이르는데, 동쪽이 7리, 서쪽이 15리, 북쪽이 5리이며, 남쪽으로 큰 바다에 이르기 16리이다.

호수가 3백 27호요, 인구가 9백 85명이다. 군정은 영진군(營鎭軍)이 96명이요, 선군(船軍)이 54명이다.

토성(土姓)이 2이니, 이(李)·나(羅)요, 망성이 3이니, 전(全)·하(賀)·구(瞿)요, 속성(續姓)이 2이니, 노(盧)·박(朴)이요, 없어진 만진장(萬珍莊)의 망성(亡姓)이 5이니, 나(羅)·이(李)·강(康)·김(金)·황(黃)이다.

땅이 메마르고 기후가 차며, 백성들이 물고기와 소금으로 생업을 삼는다. 간전(墾田)이 4천 16결이요, 【논이 5분의 1에 약하다. 】 토의는 벼·기장·콩·보리·조·팥·녹두·메밀·모시·삼·감이다. 토공은 황각·느타리·자리·지초·족제비털이요, 약재는 흰바곳·녹각이다. 어량이 26곳이요, 【주로 청어·상어가 난다. 】 염소가 9이요, 【염분(鹽盆)이 82개이다. 】 도기소가 1이니, 현의 북쪽 완장동(完匠洞)에 있다. 【하품이다. 】

읍 석성(邑石城) 【둘레 4백 66보(步)인데, 안에 우물과 샘이 없다. 】 회산 목책(回山木柵)이 현의 서쪽 25리에 있다. 【둘레 1백 36보이며, 안에 우물 1개가 있다. 】 역(驛)이 1이니, 문라(文羅)이다. 관량(館梁)이 현의 서쪽 8리에 있다. 【수군 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가 있어서 수어(守禦)한다. 】 봉화(烽火)가 2곳이니, 탄항(炭項)이 현의 남쪽에 있고, 【동쪽으로 강령(康翎) 밀점(蜜岾)에, 서쪽으로 금음여(今音余)에 응한다. 】 개룡산(開龍山)이다. 【동쪽으로 금음여에, 북쪽으로 장연(長淵) 대곶(大串)에 응한다. 】 바다섬이 8이니, 마합도(磨蛤島) 【물길이 5리이다. 】 ·소청도(小靑島) 【물길이 75리이다. 위 두 섬은 모두 현의 서쪽에 있는데, 인가와 밭두둑의 옛터가 있다. 본래 해주(海州)에 딸리었는데, 태종(太宗) 6년에 이에 붙이었다. 】 ·대청도(大靑島) 【현의 서쪽에 있는데, 물길이 75리이며, 옛 궁궐 3간, 뒷간[溷室] 1간과 담의 옛터가 있다. 고려 충숙왕(忠肅王) 4년에 원나라 황제가 위왕(魏王) 아목가(阿木哥)를 이 섬에 귀양보냈다가, 10년 10월에 소환(召還)하였고, 11년에 발라태자(勃剌太子)를 이 섬에 귀양보냈다가, 16년 3월에 소환하였으며, 17년에 선제(先帝)의 태자(太子) 도우첩목아(陶于帖木兒)를 이 섬에 귀양보냈다가, 충숙왕 복위 원년(1332) 12월에 소환하였다. 지금은 소를 놓아 먹인다. 】 ·기린도(麒麟島) 【물길이 4리이며, 나랏말 91필을 놓아 먹인다. 】 ·창린도(昌麟島) 【물길이 4리이며, 나랏말 1백 34필을 놓아 먹인다. 】 ·어화도(魚化島) 【물길이 50리이다. 위 3섬은 모두 현의 남쪽에 있는데, 집과 밭두둑의 옛터가 있다. 】 ·비근압도(飛斤鴨島) 【현의 남쪽에 있는데, 물길이 90리이다. 】 ·거차도(巨次島)이다. 【현의 남쪽에 있는데, 물길이 30리이다. 】


  • 【태백산사고본】 56책 152권 7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1면

瓮津縣: 本高句麗 瓮遷, 高麗改今名。 顯宗戊午, 始置縣令, 本朝因之。 太祖丁丑, 置鎭, 以兵馬使, 兼判縣事。 今上五年癸卯, 改稱僉節制使。 【三品則稱僉節制使, 四品則稱同僉節制使。】 鎭山, 花山 【在縣北。】 四境, 三方距海州東七里西十五里, 北五里, 南距大海十六里。 戶三百二十七, 口九百八十五。 軍丁, 營鎭軍九十六, 船軍五十四。 土姓二, ; 亡姓三, ; 續姓二, 。 亡萬珍莊亡姓五, 。 厥土塉, 風氣寒, 居民以魚鹽爲生, 墾田四千十六結。 【水田居五分之一少。】 土宜, 稻、黍、菽、麥、粟、小豆、菉豆、蕎麥、苧、麻、柿。 土貢, 黃角、眞茸、席、芝草、黃毛。 藥材, 白附子、鹿角。 魚梁二十六所, 【主産靑魚沙魚。】 鹽所九。 【盆八十二。】 陶器所一, 在縣北宗匠洞 【下品。】 邑石城。 【周回四百六十六步, 內無井泉。】 回山木柵在縣西二十五里。 【周回一百三十六步, 內有井泉一。】 驛一, 文羅館梁在縣西八里。 【有水軍僉節制使守禦。】 烽火二處, 炭項在縣南, 【東準康翎 蜜站, 西準今音余。】 開龍山 【東準今音余, 北準長淵 大串。】 海島八, 磨蛤島 【水路五里。】 小靑島 【水路七十五里。 右二島, 皆在縣西, 有人家田畝舊基。 本屬海州, 太宗六年丙申, 來屬。】 大靑島 【在縣西, 水路七十五里。 有古宮三間、溷室一間、墻垣舊基。 高麗 忠肅王四年丁巳, 大元皇帝流魏王 阿木哥于此島, 癸亥十月, 召還。 十一年甲子, 流勃剌太子于此島, 己巳三月, 召還。 十七年庚午, 流先帝太子陶于帖木兒于此島, 壬申十二月, 召還。 今牛隻入放。】 麒麟島 【水路三十里, 放國馬九十一匹。】 昌麟島 【水路四里, 放國馬一百三十四匹。】 魚化島 【水路五十里, 右三島, 皆在縣南, 有屋盧田畝舊基。】 飛斤鴨島 【在縣南, 水路九十里。】 巨次島 【在縣南, 水路三十里。】


  • 【태백산사고본】 56책 152권 7장 A면【국편영인본】 5책 67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