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50권, 地理志 慶尙道 慶州府 東萊縣

地理志 / 慶尙道 / 慶州府 / 東萊縣

동래현(東萊縣)

판현사(判縣事) 1인.

본디 거칠산군(居漆山郡)인데, 경덕왕이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고려〉 현종 무오년에 울주(蔚州)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뒤에 현령(縣令)을 두었는데, 본조 태조 6년 정축에 비로소 병마사 겸 판현사(兵馬使兼判縣事)를 두었다가, 금상(今上) 5년 계묘에 첨절제사(僉節制使)로 이름을 바꾸었다. 【4품이면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라 일컫는다. 】 속현(屬縣)이 1이니, 동평현(東平縣)이다. 본래 대증현(大甑縣)인데, 경덕왕이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동래군(東萊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고려〉 현종 무오년에 양주(梁州) 임내(任內)에 붙였는데, 본조 태종 5년 을유년에 〈본현에〉 내속(來屬)시켰다가, 기축년에 다시 양주(梁州)로 붙였고, 금상(今上) 10년 무신에 도로 본현(本縣)으로 붙였다. 부곡(部曲)이 2이니, 고지도(古智道)조정(調井)이며, 향(鄕)이 1이니, 생천(生川)이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기장(機張)에 이르기 15리, 서쪽으로 양산(梁山)에 이르기 32 리, 남쪽으로 대해(大海)에 이르기 19리, 북쪽으로 양산(梁山)에 이르기 22리이다.

본현(本縣)의 호수는 2백 90호, 인구가 1천 1백 51명, 동평(東平)의 호수는 1백 8호, 인구가 3백 42명이며,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1명, 진군(鎭軍)이 71명, 선군(船軍)이 1백 30명이다.

본현(本縣)의 토성(土姓)이 5이니, 정(鄭)·송(宋)·옥(玉)·정(丁)·조(曺)이요, 내성(來姓)이 3이니, 왕(王)·박(朴)·이(李)이며, 속성(續姓)이 1이니, 김(金)이다. 【김해에서 와서 지금 향리가 되었다. 】 동평(東平)의 성이 1이니, 이(李)이요, 인물은 학사(學士) 정서(鄭敍)이니, 자는 과정(過庭)이다. 【고려 의종(毅宗) 때 사람이다. 】

땅이 기름지고, 기후는 따뜻하며, 간전(墾田)이 1천 7백 23결이다. 【논이 8분의 5가 못된다. 】 토의(土宜)는 벼·조·보리이며, 토공(土貢)은 가는 대[篠]·왕대[簜]·종이·지초(芝草)·표고버섯·귤·석류·비자(榧子)·오해조(吾海曹)·미역·우모(牛毛)·세모(細毛)·김[海衣)·조곽(早藿)·청각(靑角)·해삼·건합(乾蛤)·생포(生鮑)·상어[沙魚]·대구어(大口魚)·청어(靑魚)·방어(舫魚)·어교(魚膠)·여우가죽·삵가죽·노루가죽·사슴가죽·점찰피(占察皮)·어피(魚皮)이요, 약재(藥材)는 방풍(防風)·천문동(天門冬)·맥문동(麥門冬)·녹용(鹿茸)·오징어뼈[烏魚骨]·후박(厚朴)이다. 염소(鹽所)가 3이니, 2는 현(縣) 동쪽에 있고, 1은 현(縣) 남쪽에 있다.

읍 석성(邑石城) 【둘레가 3백 97보이며, 안에 우물 다섯이 있다. 】 동평현(東平縣) 석성(石城) 【둘레가 2백 64보이며, 안에 샘이 하나, 못이 넷 있다. 】 온천(溫泉) 【현 북쪽 2리에 있는데, 욕실(浴室)·청(廳)·방(房)·부엌·마구(馬廐) 등이 있다. 】 해운대(海雲臺) 【현 동쪽 바닷가에 있으니, 최치원(崔致遠)이 놀던 곳이다. 장자 터가 지금도 남아 있는데, 동백나무와 두충(杜沖)나무가 그 곁에 빽빽하게 우거져 있다. 】 역(驛)이 2이니, 성산(省山)과 신역(新驛)이요, 목장이 2이니, 1은 동평현 남쪽 22리 되는 오해야항(吾海也項)에 있고, 【둘레가 74리 30보인데, 안에 축장(築場)한 곳이 12리 90보이다. 나무가 성(盛)하고 풀이 적으나, 다만 물이 풍족하여 국마(國馬) 4백 80필을 놓아 먹인다. 】 1은 현 남쪽 석포(石浦)에 있다. 【국마 4백 19필을 놓아 먹인다. 】 좌도 수군 도안무처치사 본영(左道水軍都按撫處置使本營) 【동평현 남쪽 7리 되는 부산포(富山浦)에 있다. 】 해운포(海雲浦) 【현 동쪽 9리에 있다. 】 다대포(多大浦) 【동평현 남쪽 30리에 있다. 모든 수군 만호(水軍萬戶)가 있어, 수어(守禦)한다. 】 봉화가 3곳이니, 동평 석성(東平石城) 봉화는 현 남쪽에 있다. 【서쪽으로 김해(金海) 성화야(省火也) 봉화에 응하고, 동쪽으로 본현(本縣)의 황령산(黃嶺山)에 응한다. 】 황령산(黃嶺山) 【동쪽으로 본현의 간비오(干飛烏)에 응한다. 】 간비오(干飛烏) 【동쪽으로 기장현(機張縣) 남산(南山)에 응한다. 】 이다.

금정산 석정(金井山石井) 【현 서북쪽 산정(山頂)에 있다. 높이가 세 길 가량 되는 돌이 있는데, 그 위에 우물이 있다. 둘레가 10여 척, 깊이가 7촌 가량인데, 물이 항상 가득히 차 있어서, 비록 가물지라도, 마르지 아니하고 빛이 황금과 같다. 그 밑에 범어사(梵魚寺)가 있는데, 세상에 전하기를, "예전에 금빛 고기[金色魚]가 오색 구름을 타고, 범천(梵天)으로부터 내려와서, 그 가운데서 헤엄쳐 놀았으므로, 이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 고지도거(古智島阹) 【현 동쪽에 있다. 】 절영도(絶影島)·모등변도(毛等邊島) 【모두 동평현 남쪽에 있다. 모두 소재관(所在官)으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한다. 】


  • 【태백산사고본】 54책 150권 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40면

東萊縣: 判縣事一人, 本居漆山郡景德王改今名, 顯宗戊午, 屬蔚州任內, 後置縣令。 本朝太祖六年丁丑, 始置兵馬使兼判縣事, 今上五年癸卯, 改稱僉節制使。 【四品則稱同僉節制使。】 屬縣一, 東平。 本大甑縣, 景德王改今名, 爲東萊郡領縣, 顯宗戊午, 屬梁州任內。 本朝太宗五年乙酉, 來屬, 己丑, 復屬梁州, 今上十年戊申, 屬還于縣。 部曲二, 古智道調井。 鄕一, 生川。 四境, 東距機張十五里, 西距梁山三十二年, 南距大海十九里, 北距梁山二十二里。 本縣戶二百九十, 口一千一百五十一。 東平戶一百八, 口三百四十二。 軍丁, 侍衛軍十一, 鎭軍七十一, 船軍一百三十。 本縣土姓五, ; 來姓三, ; 續姓一, 【金海來, 今爲鄕吏。】 東平姓一, 。 人物, 學士鄭叙, 字過庭 【高麗 毅宗時人。】 厥土肥, 風氣暖, 墾田一千七百二十三結。 【水田八分之五少。】 土宜, 稻、粟、麥。 土貢, 篠簜、紙、芝草、蔈膏、橘、石榴、榧子、吾海曹藿、牛毛、細毛、海衣、早藿、靑角、海蔘、乾蛤、生鮑、沙魚、大口魚、靑魚、舫魚、魚膠、狐皮、狸皮、獐皮、鹿皮、占察皮、魚皮。 藥材, 防風、天門冬、麥門冬、鹿茸、烏魚骨、厚朴。 鹽所三, 二在縣東, 一在縣南。 邑石城。 【周回三百九十七步, 內有井五。】 東平縣石城。 【周回二百六十四步, 內有泉一池四。】 溫泉, 【在縣北二里, 有浴室廳房廚廐。】 海雲臺 【在縣東海邊, 崔致遠所遊之地, 亭宇遺址尙存。 冬栢、杜沖、森鬱其側。】 驛二, 省山、新驛。 牧場二, 一在東平縣南二十二里吾海也項, 【周回七十四里三十步內, 築場處十二里九十步。 木盛草疎, 但水足, 放國馬四百八十匹。】 一在縣南石浦 【放國馬四百十九匹。】 左道水軍都按撫處置使本營。 【在東平縣南七里富山浦。】 海雲浦 【在縣東九里。】 多大浦 【在東平縣南三十里, 俱有水軍萬戶守禦。】 烽火三處, 東平石城在縣南, 【西準金海 省火也, 東準本縣黃嶺山。】 黃嶺山 【東準縣干飛烏】 干飛烏 【東準機張南山】 金井山石井。 【在縣西北山頂, 有石高可三丈, 上有井, 圓十餘尺, 深七寸許, 有水常滿, 雖旱不渴, 色如黃金, 其下有梵魚寺。 世傳昔有一金色魚乘五色雲, 從梵天而下, 遊詠其中, 以此得名。】 古智島阹 【在縣東。】 絶影島毛等邊島 【皆在東平縣南, 竝令所在官行祭。】


  • 【태백산사고본】 54책 150권 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4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