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49권, 地理志 忠淸道 淸州牧 懷仁縣

地理志 / 忠淸道 / 淸州牧 / 懷仁縣

회인현(懷仁縣)

본래 백제미곡현(未谷縣)인데, 신라매곡현(昧谷縣)으로 고쳐 연산군(燕山郡)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회인(懷仁)으로 고치어, 현종(顯宗) 9년에 청주(淸州) 임내에 붙였다가, 뒤에 회덕 감무(懷德監務)로써 회인을 겸임하였는데, 홍무(洪武) 16년 계해에 비로소 따로 감무(監務)를 두고, 본조(本朝)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예(例)에 의하여 현감으로 고쳤다.

매곡성(昧谷城) 【봄·가을에 소재관(所在官)으로 하여금 제사를 지낸다. 】 대천(大川)은 화인진(化仁津) 하류(下流)가 남쪽 지경으로 들어와서 주안현(周岸縣)으로 흘러간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보은(報恩)에 이르기 20리, 서쪽으로 문의(文義)에 이르기 12리, 남쪽으로 주안(周岸)에 이르기 22리, 북쪽으로 청주(淸州)에 이르기 22리이다.

호수가 1백 46호요, 인구가 6백 33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2명이요, 진군(鎭軍)이 18명, 선군이 37명이다.

토성(土姓)이 2이니, 이(李)·홍(洪)이요, 망성(亡姓)이 2이니, 장(張)·신(辛)이요, 속성(續姓)이 1이니, 최(崔)이다. 【지금 향리(鄕吏)가 되었다. 】

땅이 메마르며, 기후가 많이 차다. 간전(墾田)이 1천 1백 46결이요, 【논이 9분의 1이다. 】 토의(土宜)는 기장·피·콩·조·팥·메밀·보리·뽕나무·닥나무·배나무이다. 토공(土貢)은 꿀·밀[黃蠟]·느타리요, 약재(藥材)는 백부자(白附子)요, 토산(土産)은 석철(石鐵)과 【현의 남쪽 노성산(老聖山)에서 난다. 】 상수정석(常水精石)이다. 【현의 북쪽 마산(馬山)에서 난다. 】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현의 서쪽 둔안리(芚安里)에 있다. 【하품이다. 】

호점산 석성(虎岾山石城)이 현의 남쪽 9리에 있고, 【둘레가 8백 58보이며, 험조(險阻)한데, 오래 되어 무너져 있다. 안에 샘 하나가 있는데, 겨울이나 여름에도 마르지 아니한다. 】 봉화가 1곳이니, 현의 서쪽 용산점(龍山岾)에 있다. 【동쪽으로 보은(報恩) 금적산(金積山)에, 북쪽으로 청주(淸州) 상령성(上嶺城)에 응한다. 】


  • 【태백산사고본】 53책 149권 11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29면

懷仁縣: 本百濟 未谷縣, 新羅改爲昧谷縣, 爲燕山郡領縣, 高麗改爲懷仁顯宗戊午, 屬淸州任內, 後以懷德監務, 兼任懷仁洪武十六年癸亥, 始別置監務。 本朝太宗十三年癸巳, 例改爲縣監。 味谷城 【春秋, 令所在官行祭。】 大川, 化仁津, 下流入自南域, 達于周岸縣。 四境, 東距報恩二十里, 西距文義十二里, 南距周岸二十二里, 北距淸州二十二里。 戶一百四十六, 口六百三十三。 軍丁, 侍衛軍十二, 鎭軍十八, 船軍三十七。 土姓二, ; 亡姓二, ; 續姓一, 【今爲鄕吏】 厥土塉, 風氣多寒。 墾田一千一百四十六結。 【水田九分之一】 土宜, 黍、稷、菽、粟、小豆、蕎麥、麥、桑楮、梨。 土貢, 蜂蜜、黃蠟、眞茸。 藥材, 白附子。 土産, 石鐵、 【産縣南老聖山】 常水精石。 【産縣北馬山】 陶器所一, 在縣西芚安里 【下品】 虎岾山石城, 在縣南九里。 【周回八百五十八步, 險阻。 久遠頹圯, 內有泉一, 冬夏不渴。】 烽火一處, 縣西龍山岾 【東準報恩、金積山, 北準淸州、上嶺城。】


  • 【태백산사고본】 53책 149권 11장 B면【국편영인본】 5책 6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