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禮 / 嘉禮儀式 / 王子昏禮 / 親迎
◎ 친영(親迎)
기일(期日) 전 1일에 부인(夫人) 집에서 사람을 시켜 대군(大君)의 실(室)을 설비하게 한다. 【이불과 요는 면주(綿紬)와 목면(木綿)을 사용하고, 그 병풍·돗자리·장막·휘장 등의 물품은 대군(大君)의 집에서 갖추어 진열한다. 】 그날에 부인(夫人)의 집에서 막차(幕次)를 밖에 설치한다. 초저녁에 대군(大君)이 성복(盛服) 차림으로 【공복(公服)을 입는다. 그 의복은 면주(綿紬)와 목면(木綿)을 사용한다. 】 나가면, 주인이 그 소속으로 하여금 배송(陪送)한다. 대군(大君)이 말을 타고, 횃불로써 앞으로 인도하여 【횃불은 14자루[柄]이다. 제군(諸君)은 10자루[柄]이다. 】 의물(儀物)을 갖추어 【교상(交床)과 안롱(鞍籠)과 같은 등류이다. 】 가고, 종친과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 2품 이상의 관원이 이를 따른다.
부인(夫人)의 집 대문 밖에 이르면, 말에서 내려 들어가서 막차에서 기다린다. 주인이 사당(祠堂)에 고(告)하기를 납채(納采) 의식과 같이 하고, 【축판(祝版)은 앞의 것과 같은데, 다만 이르기를, "아무개의 몇째 딸, 또는 모친(某親) 아무개의 몇째 딸을 오늘 모 대군(某大君)에게 시집보내게 되매, 감창(感愴)한 마음을 견딜 수 없으므로, 삼가 주과(酒果)로써 고(告)합니다."고 한다. 】 이를 마치면, 탁자(卓子)에 주준(酒尊)과 잔(盞)을 놓아 당(堂) 위에 설치한다. 부인(夫人)이 성복(盛服)하고, 【의복은 면주(綿紬)와 목면(木綿)을 사용한다. 】 부모(傅姆)가 이를 인도하여 나온다. 아버지는 당(堂)의 동방에 앉아 서향하고, 어머니는 서방에 앉아 동향한다. 부인의 좌석을 어머니의 동북쪽에 남향하여 설치하는데, 부인(夫人)은 좌석의 서쪽에 서서 남향한다. 집사자(執事者)가 잔(盞)을 취하여 술을 따라 부인의 좌석 앞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면, 부인이 네 번 절하고 좌석에 올라가서 남향하여 꿇어앉아, 잔을 받아 술을 땅에 부어 제사지내고는 일어나서, 좌석 끝에 나아가서 꿇어앉아 술을 맛본다. 이를 마치면, 잔을 집사자에게 주고 또 네 번 절한다.
주인이 나가서 대군을 문밖에서 맞이하여 읍(揖)하면서 들어오면, 대군(大君)이 기러기를 쥐고 【생 기러기를 왼쪽으로 머리를 두게 하고, 색주(色紬)로써 서로 얽어맨다. 】 따라와서 당(堂)에 이른다. 주인은 동계(東階)로부터 올라가서 서향하여 서고, 대군(大君)은 서계(西階)로부터 올라가서 북향하여 꿇어앉아 기러기를 땅에 두면, 주인의 시자(侍者)가 이를 받는다. 대군(大君)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두 번 절하면, 주인은 답하여 절하지 않는다. 대군(大君)이 서계(西階)로부터 내려가는데, 주인은 내려가지 않는다.
부모(傅姆)가 부인을 인도하여 어머니의 왼쪽에 나가면, 아버지가 앞으로 나아가서 명령하기를,
"공경하고 경계하여 이른 아침부터 밤 늦게까지 명령에 어김이 없게 하라."
한다. 어머니는 서계(西階) 위에 이르러 부인의 관(冠)을 바로잡아 주고, 치마를 여미어 주면서 명령하기를,
"힘쓰고 공경하여 이른 아침부터 밤 늦게까지 명령에 어김이 없게 하라."
고 한다. 여러 모고(母姑)·수자(嫂姊)들이 중문(中門) 안에서 전송하면서 치마와 적삼[裙衫]을 바로잡아 주고, 부모(父母)의 명령을 거듭 부탁하기를,
"삼가 너의 부모님의 말을 듣고서 이른 아침부터 밤 늦게까지 허물이 없게 하라."
고 한다. 부모(傅姆)가 부인(夫人)을 받들어 나간다. 대군(大君)이 마침내 중문(中門)에 나오면, 부인(夫人)이 따르는데, 대군(大君)이 가마의 발을 들고 기다린다. 부모(傅姆)가 말하기를,
"가르치지 못하여 예(禮)를 차릴 줄 모릅니다."
고 한다. 이어 가마를 타고, 횃불을 잡고 앞에서 인도한다. 【횃불은 14자루[柄]이다. 제군(諸君)의 부인(夫人)은 10자루[柄]를 사용한다. 】 대군(大君)이 말을 타고 먼저 가고, 부인(夫人)이 그 다음에 가는데, 주인이 그 소속으로 하여금 이를 보내게 한다.
- 【태백산사고본】 45책 133권 27장 A면【국편영인본】 5책 344면
◎ 親迎
前期一日, 夫人家使人張陳大君之室。 【衾褥用綿紬木綿, 其屛席帳幔等物, 大君家備陳。】 其日, 夫人家設次于外。 初昏, 大君盛服 【公服, 其衣服用綿紬木綿。】 出, 主人使其屬送之, 大君乘馬, 以炬前導, 【炬十四柄, 諸君十柄。】 備儀物 【交床鞍籠之類。】 以行, 宗親及議政府六曹二品以上官從之, 至夫人家大門外下馬, 入俟于次。 主人告于祠堂, 如納采儀 【祝版前同, 但云: "某之第幾女若某親某之第幾女, 將以今日歸于某大君, 不勝感愴, 謹以。" 後同。】 訖, 以卓設酒尊盞於堂上。 夫人盛服, 【衣服用綿紬木綿 。】 姆相之以出。 父坐於堂之東方西向, 母坐於西方東向。 設夫人席於母之東北南向, 夫人立於席西南向。 執事者取盞斟酒, 詣夫人席前北向立, 夫人四拜, 升席南向跪, 受盞祭酒興, 就席末跪, 啐酒授執事者, 又四拜。 主人出迎大君于門外, 揖讓以入。 大君執雁 【生雁, 左首, 以色紬交絡之。】 以從, 至于堂。 主人升自東階西向立, 大君升自西階北向跪, 置雁於地, 主人侍者受之。 大君俯伏興再拜, 主人不答拜。 大君降自西階, 主人不降。 姆導夫人出於母左, 父進命之曰: "敬之戒之, 夙夜無違命。" 母至西階上, 爲之整冠斂帔, 命之曰: "勉之敬之, 夙夜無違。" 諸母姑嫂姊送之于中門之內, 爲之整裙衫, 申以父母之命曰: "謹聽爾父母之言, 夙夜無愆。" 姆奉夫人出, 大君遂出中門, 夫人從之。 大君擧轎簾以俟, 姆辭曰: "未敎, 不足與爲禮。" 乃乘轎, 以炬前導, 【炬十四柄, 諸君夫人十柄。】 大君乘馬先行, 夫人次之, 主人使其屬送之。
- 【태백산사고본】 45책 133권 27장 A면【국편영인본】 5책 34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