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32권, 五禮 嘉禮序例 鹵簿 小駕鹵簿

五禮 / 嘉禮序例 / 鹵簿 / 小駕鹵簿

◎ 소가(小駕)의 노부

소가(小駕)의 노부 【능(陵)에 참배(參拜)하고, 활 쏘는 것을 관람할 때나, 평상시의 대궐 문밖에 거둥할 때에 이를 사용한다. 표문(表文)에 배례하고, 향(香)을 전달하고, 사신에게 명령하는 노차(路次)의 의장(儀仗)은 세장(細仗)이라 일컫는다. 】

소가(小駕)를 인도하는 것은 맨 먼저 부령(部令), 【당부의 영. 】 다음은 판한성(判漢城)이다. 【장관(長官)이 사고가 있으면 차관(次官)이 이를 하는데, 모두 상복(常服)을 입는다. 근시의 의복도 이와 같다. 】 〈그 다음은〉 시위군 3대이니, 제1대는 50인으로서 갑옷과 투구를 갖추고 검을 차는데, 그 2인은 장검을 쥐고 좌우로 나누어 앞서 가고, 다음은 1인이 백기(白旗)를 쥐고 중앙에 있고, 다음은 1인이 둑(纛)을 쥐고 백기의 뒤에 있고, 다음은 1인이 고(鼓)를 쥐고 왼편에 있고, 1인은 금(金)을 쥐고 오른편에 있으며, 나머지 사람은 모두 반주창(半朱槍)을 쥐는데, 호군(護軍)이나 혹은 진무(鎭撫) 1인이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이를 영솔(領率)한다. 여러 대들도 이에 준한다. 【보갑사(步甲士)·총통위(銃筒衛) 외의 군사와 시종관(侍從官)들은 모두 말을 탄다. 】 제2대는 장검(長劍)을 쥐고, 제3대는 궁시(弓矢)를 차는데, 여러 대들도 서로 걸러서 무기(武器)를 잡는 것이 이에 의방한다. 【다만 중군(中軍)은 홍기(紅旗)를 쥐고, 좌군(左軍)은 청기(靑旗)를 쥐는 것이 다르다. 】 다음은 각 부는 사람 2인이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중앙에 있어 좌우로 나누어 선다. 【1인은 중각(中角)을 쥐고, 1인은 소각(小角)을 쥔다. 뒤에도 이에 의방한다. 】 우군 절제사(右軍節制使)는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중앙에 있는데, 진무 2인이 이를 뒤따른다. 【무기와 제복은 절제사와 같다. 뒤에도 이에 의방한다. 】 총통위 3백 인은 갑옷과 투구를 갖추고 기계(器械)를 가지고 나누어 여러 대(隊)의 밖에 있다.

다음은 우군 8대이니, 제1은 호용(虎勇) 2대, 제2는 호분(虎賁) 2대, 제3은 호익(虎翼) 2대, 제4는 호아(虎牙) 2대이고, 그 다음은 중군 4대이니, 제1은 충무(忠武) 2대, 제2는 충좌(忠佐) 2대이다. 다음은 주작기(朱雀旗)와 청룡기(靑龍旗)가 각각 1개씩 왼편에 있고, 백호기와 현무기가 각각 1개씩 오른편에 있으며, 【무릇 보통기[中旗]는 1인이 쥐고 2인이 이끌며, 작은 기[小旗]는 1인이 쥐고 1인이 이끄는데, 모두 청의(靑衣)에 피모자(皮帽子)를 착용한다. 】 다음은 벽봉기(碧鳳旗)·각단기(角端旗)가 각각 1개씩 왼편에 있고, 삼각기·용마기가 각각 1개씩 오른편에 있으며, 입장마 2필이 안장(鞍粧)을 갖추고 중앙에 있어 좌우로 나누어 선다. 【각각 2인이 말을 이끄는데, 모두 청의에 종색립(椶色笠)·운혜(雲鞋)를 착용한다. 뒤에도 이와 같다. 】 다음은 현학기(玄鶴旗) 1개가 왼편에 있고, 백학기 1개가 오른편에 있다. 다음은 표골 타자(豹骨朶子) 2개가 좌우로 나누어 있고, 【각각 1인이 이를 쥐는데, 모두 홍의에 피모자를 착용한다. 무릇 과(瓜)·부(斧)·등(鐙)·도(刀)·정(旌)·절(節)·봉(棒)·작자(斫子)·용선(龍扇)·봉선(鳳扇)·작선(雀扇)을 쥐는 사람도 이와 같이 한다. 】 각을 부는 사람 4인이 중앙에 있어 좌우로 나누어 선다. 【2인은 대각을 쥐고, 2인은 소각을 쥔다. 】

다음은 웅골 타자(熊骨朶子) 2개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은 영자기(令字旗) 2개가 좌우로 나누어 서고, 【이를 쥐는 사람은 홍의에 피모자를 착용한다. 금자기(金字旗)와 고자기(鼓字旗)를 쥐는 사람도 이와 같이 한다. 】 다음은 고자기 1개가 왼편에 있고, 금자기 1개가 오른편에 있는데, 입장마는 2필이다. 다음은 가서봉(哥舒棒) 4개가 좌우로 나누어 서고, 다음은 금등 4개가 좌우로 나누어 서는데, 입장마는 2필이다. 다음은 금장도(金粧刀) 1개가 왼편에 있고, 은장도 1개가 오른편에 있으며, 다음은 입과(立瓜) 2개가 좌우로 나누어 서고, 금횡과(金橫瓜) 2개가 좌우로 나누어 서는데, 금과 고는 중앙에 있다. 【고는 왼편에서 2인이 이를 쥐고, 금은 오른편에서 1인이 이를 쥔다. 홍의에 피모자를 착용한다. 】 다음은 금작자(金斫子) 1개가 왼편에 있고, 은작자 1개가 오른편에 있는데, 청양산(靑陽繖) 1개가 중앙에 있고, 【1인이 이를 쥐는데 청의에 자주색 두건[紫巾]을 착용한다. 무릇 산(繖)과 선(扇)과 개(蓋)와 청선(靑扇)을 쥔 사람도 이와 같다. 】 소여는 중앙에 있다. 【봉담(捧擔) 30인은 자주색 옷[紫衣]에 흑색 두건[黑巾]·학창(鶴氅)·홍대(紅帶)·청행등(靑行縢)·운혜(雲鞋)를 착용한다. 】 다음은 모절(旄節) 1개가 왼편에 있고, 정(旌) 1개가 오른편에 있으며, 다음은 금월부(金鉞斧) 1개가 왼편에 있고, 은월부 1개가 오른편에 있는데, 어마(御馬) 2필이 중앙에 있어 좌우로 나누어 서며, 사복관(司僕官) 2인이 상복을 갖추고 검을 차고 이를 뒤따른다. 다음은 작선 2개가 좌우로 나누어 있고, 청개(靑蓋) 2개가 중앙에 있어 좌우로 나누어 서며, 다음은 봉선(鳳扇) 2개가 좌우로 나누어 서는데, 홍개 1개가 중앙에 있으며, 다음은 용선 2개가 좌우로 나누어 서고, 사금(司禁) 16인이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주장(朱杖)을 쥐고 좌우로 나누어 군사의 밖에 있으며, 별시위 1천 인이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좌우로 나누어 의장의 밖에 있으며, 총통위 3백 인이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별시위의 밖에 있다. 【어가(御駕)의 뒤를 옹위(擁衛)하는 것도 이와 같다. 】

다음은 충의위 2백 인과 충순위 6백 인이 한 줄[行]이 되어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별시위의 안에 있으며, 다음은 내금위 1백 인이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충의위·충순위의 안에 있으며, 다음은 보갑사(步甲士) 1백 인이 갑옷과 투구를 갖추고 철퇴를 쥐고서 내금위의 안에 있으며, 【별시위(別侍衛) 이하의 군대는 어가의 뒤에 이르러 모두 횡으로 줄 지어 가면서 후부를 옹위(擁衛)한다. 】 전부(前部)의 고취이다. 대호군 2인이 상복을 갖추고 운검을 받들고 중앙에 있어 나란히 가고, 수정장(水精杖) 금월부가 각각 1개씩 중앙에 있으며, 【수정장은 왼편에서 금월부는 오른편에서 각각 1인씩 이를 쥐는데, 청의에 자주색 두건을 착용한다. 】 다음은 중금 8인이 자주색 옷에 자주색 두건을 착용하고 좌우로 나누어 서고, 소친시(小親侍) 12인과 별감(別監) 40인이 모두 흑색 옷[黑衣]에 자주색 두건을 착용하고 좌우로 나누어 중금의 밖에 있으며, 홍양산 1개가 중앙에 있으며, 【충의위 30인이 시복(時服)을 갖추고 걸어서 따라간다. 】 은마궤(銀馬机) 1개가 다음에 간다. 【1인이 이를 받드는데, 청의(靑衣)에 흑립(黑笠)을 착용한다. 】 어연(御輦)이다. 【봉담 60인이 자주색 옷에 흑색 두건[黑巾]·학창(鶴氅)·홍대(紅帶)·청행등(靑行縢)·운혜(雲鞋)를 착용한다. 】 청선(靑扇) 2개가 중앙에 있어 좌우로 나누어 서고, 【보갑사의 뒤에 있다. 】 다음은 내금위 절제사가 2인, 충의위·충순위·별시위의 절제사가 각각 1인, 운검을 찬 중추가 4인, 갑옷을 받든 상호군과 투구를 받든 상호군이 각각 1인, 궁시(弓矢)를 받든 상호군과 지팡이[策]를 가진 대호군이 각각 2인, 궁시를 띤 호군과 몸[身]을 방비하는 호군이 각각 8인, 사복관이 6인인데, 모두 무기와 의복을 갖추고 횡으로 줄지어 가며, 【절제사와 중추가 한 줄이 되고, 상호군과 대호군이 한 줄이 되고, 호군과 사복관이 한 줄이 된다. 】 다음은 어의(御衣)를 받든 내직 별감 6인이 횡으로 줄지어 가며, 내시와 상의(尙衣)·내의관이 각각 상복을 갖추고 이를 뒤따르고, 【별시위의 뒤에 있다. 】 사금(司禁) 4인이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주장(朱杖)을 쥐고 좌우로 나누어 군사의 밖에 있다. 다음은 중군 제3의 의흥(義興) 2대이니, 도진무·중군 절제사가 모두 무기와 제복을 갖추고 중앙에 있으며, 【뒤에도 이에 의방한다. 】 진무 2인과 각(角) 부는 사람 2인이 이를 뒤따르고, 다음은 병조 판서(兵曹判書), 【사고가 있으면 차관(次官)이 한다. 】 다음은 승지(承旨) 6인, 주서(注書) 2인, 사관 1인, 병조 정랑(兵曹正郞) 1인이 이를 뒤따른다. 〈중군〉 제4의 웅무(雄武) 2대이다. 다음은 의금부 진무 2인이 상복을 갖추고 좌우로 나누어 선다. 다음은 좌군 8대이니, 제1은 용무(龍武) 2대, 제2는 용양(龍驤) 2대, 제3은 용기(龍騎) 2대, 제4는 용분(龍奮) 2대이다. 다음은 각 부는 사람 2인이 앞서 가고, 좌군 절제사가 중앙에 있는데, 진무 2인이 이를 뒤따르고, 다음은 시위군 3대이다.


  • 【태백산사고본】 44책 132권 5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79면

◎ 小駕鹵簿 【拜陵、觀射、常時門外行幸用之。 若拜表、傳香、命使、路次儀仗, 稱細仗。】

導駕先部令, 【當部令。】 次判漢城, 【長官有故, 則次官爲之, 皆常服。 近侍服同。】 侍衛軍三隊, 第一隊五十人具甲冑佩劍, 其二人執長劍, 分左右先行。 次一人執白旗居中, 次一人執纛居旗後, 次一人執鼓在左, 一人執金在右, 餘皆執半朱槍, 護軍或鎭撫一人具器服領之。 諸隊準此。 【步甲士銃筒衛外軍士及侍從官皆騎。】 第二隊執長劍, 第三隊佩弓矢, 諸隊相間執兵倣此。 【唯中軍執紅旗, 左軍執靑旗爲異。】 次吹角二人具器服, 居中分左右; 【一人執中角, 一人執小角。 後倣此。】 右軍節制使具器服居中, 鎭撫二人隨之。 【器服, 與節制使同。 後倣此。】 銃筒衛三百人具甲冑齎器械, 分在諸隊之外。 次右軍八隊, 第一虎勇二隊, 第二虎賁二隊, 第三虎翼二隊, 第四虎牙二隊。 次中軍四隊, 第一忠武二隊, 第二忠佐二隊。 次朱雀靑龍旗各一在左, 白虎玄武旗各一在右。 【凡中旗, 一人執, 二人引。 小旗, 一人執, 一人引。 皆著靑衣皮帽子。】 次碧鳳角端旗各一在左, 三角龍馬旗各一在右, 仗馬二匹具鞍粧, 居中分左右。 【各二人牽, 皆著靑衣椶色笠雲鞋。 下同。】 次玄鶴旗一在左, 白鶴旗一在右。 次豹骨朶子二分左右, 【各一人執, 皆著紅衣皮帽子。 凡執瓜斧鐙刀旌節棒斫子龍鳳雀扇人同。】 吹角四人居中分左右。 【二人執大角, 二人執小角。】 次熊骨朶子二分左右, 次令字旗二分左右, 【執人著紅衣皮帽子, 執金鼓字旗人同。】 次鼓字旗一在左, 金字旗一在右, 仗馬二匹。 次哥舒棒四分左右。 次金鐙四分左右, 仗馬二匹。 次金粧刀一在左, 銀粧刀一在右。 次立瓜二分左右, 金橫瓜二分左右, 金鼓居中。 【鼓左二人執, 金右一人執, 著紅衣皮帽子。】 次金斫子一在左, 銀斫子一在右, 靑陽繖一居中, 【一人執, 著靑衣紫巾。 凡執繖扇蓋靑扇人同。】 小輿居中。 【捧擔三十人著紫衣黑角鶴氅紅帶靑行縢雲鞋。】 次旄節一在左, 旌一在右。 次金鉞斧一在左, 銀鉞斧一在右, 御馬二匹居中分左右, 司僕官二人具常服佩劍隨之。 次雀扇二分左右, 靑蓋二居中分左右。 次鳳扇二分左右, 紅蓋一居中。 次龍扇二分左右。 司禁十六人具器服, 執朱杖, 分左右, 在軍士之外; 別侍衛一千人具器服, 分左右, 在儀仗之外; 銃筒衛三百人具器服, 分左右, 在別侍衛之外。 【擁後同。】 次忠義衛二百人、忠順衛六百人爲一行, 具器服, 在別侍衛之內。 次內禁衛一百人具器服, 在忠義忠順衛之內。 次步甲士一百人具甲冑, 執鐵椎, 在內禁衛之內, 【別侍衛以下至駕後, 竝橫行擁後。】 前部鼓吹, 大護軍二人具常服, 捧雲劍, 居中竝行; 水精杖金鉞斧各一居中。 【杖左斧右, 各一人執, 著靑衣紫巾。】 次中禁八人著紫衣紫巾, 分左右; 小親侍十二人、別監四十人, 皆著黑衣紫巾, 分左右, 在中禁之外; 紅陽繖一居中; 【忠義衛三十人具時服步從。】 銀馬机一次之; 【一人, 捧著靑衣黑笠。】 御輦 【捧擔六十人, 著紫衣黑巾鶴氅紅帶靑行縢雲鞋。】 靑扇二居中分左右。 【在步甲士之後。】 次內禁衛節制使二、忠義忠順別侍衛節制使各一、佩雲劍中樞四、捧甲上護軍捧冑上護軍各一、捧弓矢上護軍扶策大護軍各二、帶弓矢護軍備身護軍各八、司僕官六, 皆具器服橫行。 【節制使中樞爲一行, 上護軍大護軍爲一行, 護軍司僕官爲一行。】 次捧御衣內直別監六人橫行; 內侍及尙衣內醫官各具常服隨之; 【在別侍衛之後。】 司禁四人具器服, 執朱杖, 分左右, 在軍士之外。 次中軍第三義興二隊都鎭撫中軍節制使, 皆具器服居中, 【後倣此。】 鎭撫二人及吹角二人隨之。 次兵曹判書, 【有故則次官。】 次承旨六人、注書二人、史官一人、兵曹正郞一人隨之; 第四雄武二隊。 次義禁府鎭撫二人具常服, 分左右。 次左軍八隊, 第一龍武二隊, 第二龍驤二隊, 第三龍騎二隊, 第四龍奮二隊。 次吹角二人先行, 左軍節制使居中, 鎭撫二人隨之。 次侍衛軍三隊。


  • 【태백산사고본】 44책 132권 5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7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