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29권, 五禮 吉禮儀式 祭社稷攝事儀 省牲器

五禮 / 吉禮儀式 / 祭社稷攝事儀 / 省牲器

◎ 성생기(省牲器)

제사 전 1일 미시(未時) 뒤 2각(刻)에 전사관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단의 내외(內外)를 소제하고, 집사자가 제기를 가지고 들어와서 자리에 진설하고 수건과 덮개를 얹아 놓기를 진설의(陳設儀)와 같이 한다. 미시 뒤 3각에 아헌관 이하 마땅히 생·기(牲器)를 살필 자가 모두 상복으로 서문(西門) 밖에 나아가고, 집례가 알자·찬자·찬인을 거느리고 먼저 단 아래로 들어가고, 장생령이 희생을 끌고 자리로 나아간다. 찬인이 감찰을 인도하여 서계[西陛]로 올라가서 소제(掃除)를 행하되, 위에서 행하고, 내려와서 악현(樂懸)의 밑을 행한다. 이를 마치면 제자리로 돌아간다. 알자가 아헌관을 인도하고, 찬인이 감찰을 인도하여 서계[西陛]로 올라가서 척탁(滌濯)을 검시(檢視)하면, 집사자가 다 멱(羃)을 들고 정결함을 고한다. 이를 마치면, 인도하여 내려와 성생위(省牲位)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선다. 장생령이 조금 앞으로 나아와서

"희생을 살피기를 청합니다."

하고, 물러나 제자리로 돌아가면, 아헌관이 희생을 살핀다. 장생령이 다시 앞으로 나아와서 손을 들고

"돈(腯)"

하고, 제자리로 돌아가면, 여러 대축이 각기 희생을 한바퀴 돌고 나서, 동향하여 손을 들고

"충(充)"

하고, 모두 제자리로 돌아간다. 여러 대축과 장생령이 차례로 희생을 끌고 주방(廚房)으로 나아가 전사관에게 준다. 알자가 종헌관을 인도하여 주방에 나아가서 정확(鼎鑊)을 살피고, 씻는 것을 신칙하여 보며, 명수(明水)와 불[火]를 취(取)하는 것을 감시한다. 【물은 음감(陰鑑)에서 취(取)하고, 불은 양수(陽燧)에서 취하는데, 음감을 졸지에 얻을 수 없으면 우물물로 대신한다. 불은 때는 데에 소용되고, 물은 준(尊)에 담는다. 】 찬인이 감찰을 인도하여 주방에 나아가서 찬구(饌具)를 살피고 나서 각기 재소(齋所)로 돌아간다. 포시 뒤 1각에 전사관이 재인(宰人)을 거느리고 난도(鑾刀)로써 희생을 베면, 축사가 반을 가지고 털과 피[毛血]를 받아서 찬소에다 두고, 드디어 희생을 삶는다. 【가죽째 삶아 익히고, 그 나머지의 털과 피는 깨끗한 그릇에 담아 두었다가, 제사가 끝나면 묻는다. 】 전사관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단(壇)의 내외(內外)를 소제한다.


  • 【태백산사고본】 41책 129권 10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37면

◎ 省牲器

前祭一日未後二刻, 典祀官帥其屬, 掃除壇之內外。 執事者以祭器入設於位, 加以巾蓋, 如陳設儀。 未後三刻, 亞獻官以下應省牲器者, 俱以常服就西門外。 執禮帥謁者、贊者、贊引, 先入壇下。 掌牲令牽牲就位, 贊引引監察升自西陛, 行掃除於上, 降行樂懸於下訖復位。 謁者引亞獻官, 贊引引監察, 升自西陛, 視滌濯, 執事者皆擧羃(苦)〔告〕 潔訖, 引降就省牲位北向立, 掌牲令少前曰: "請省牲。" 退復位, 亞獻官省牲。 掌牲令更前擧手曰: "腯。" 復位。 諸大祝各巡牲一匝, 東向擧手曰: "充。" 俱復位。 諸大祝與掌牲令以次牽牲詣廚, 授典祀官。 謁者引終獻官詣廚, 省鼎鑊, 申視滌漑, 監取明水火。 【取水於陰鑑, 取火於陽燧。 陰鑑未能猝辦, 以井水代之。 火以供爨, 水以實尊。】 贊引引監察詣廚省饌具訖, 各還(齊)〔齋〕 所。 晡後一刻, 典祀官帥宰人以鑾刀割牲, 祝史以槃取毛血, 置於饌所, 遂烹牲。 【連皮煮熟, 其餘毛血, 以淨器盛貯, 祭畢埋之。】 典祀官帥其屬, 掃除壇之內外。


  • 【태백산사고본】 41책 129권 10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3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