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28권, 五禮 吉禮序例 樂器圖說 麾

五禮 / 吉禮序例 / 樂器圖說 / 麾

◎ 휘(麾)

《악서(樂書)》에 이르기를,

"주관(周官)에, ‘건거(巾車)154)목로(木路)155) 를 맡아 대휘(大麾)를 세우고, 사냥을 하며, 번국(藩國)을 봉한다.’ 하였으며, 《서경(書經)》에 말하기를, ‘왼손에는 황월(黃鉞)을 쥐고, 오른손에는 백모(白旄)를 잡고서 지휘[麾]한다. ’고 하였으니, 휘는 주(周)나라 사람이 세운 것이다. 뒷세상에서는 협률랑(協律郞)이 이것을 쥐고 악공(樂工)을 호령하였다. 대개 그 제도는 높이가 7척인데 방패에는 용의 머리로써 장식하고, 훈백(纁帛)을 연결하여 하늘에 오르는 용을 그 위에 그렸다. 음악이 장차 시작하면 이를 들고 음악이 그치면 이를 가로 놓는다. 당상에서는 서계(西階)에 세우고, 당하에서는 악현(樂懸)의 앞에 조금 서쪽편에 세웠다. 《당악록(唐樂錄)》에, ‘훈간(暈干)이라. ’고 이르는 것이 이것이며, 지금은 태상(太常)156) 의 무악(武樂)에서 이를 사용한다."

고 하였다.

【그림】

 휘(麾) 휘(麾)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1장 B면【국편영인본】 5책 211면

  • [註 154]
    건거(巾車) : 주대(周代)의 관명(官名). 춘관(春官)에 속한 거관(車官)의 장(長)으로서 공거(公車)의 정령(政令)을 맡았음.
  • [註 155]
    목로(木路) : 수레의 이름. 왕이 타던 오로(五路)의 하나로서, 별로 장식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무로 만들어 칠(漆)을 하였고, 가죽이나 쇠붙이 따위도 쓰지 아니하였음.
  • [註 156]
    태상(太常) : 종묘(宗廟)의 제사를 맡은 관직.

◎ 麾

《樂書》云: "《周官》: ‘巾車掌木路, 建大麾以田, 以封蕃國。' 《書》曰: ‘左仗黃鉞, 右秉白旄以麾。', 則麾, 周人所建也。 後世協律郞執之, 以令樂工焉。 蓋其制高七尺, 干飾以龍首, 綴纁帛畫升龍於其上。 樂將作則擧之, 止則偃之。 堂上則立於西階, 堂下則立於樂懸之前少西。 《唐樂錄》謂之暈干, 是也。 今太常武舞用之。"

【그림】

 麾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1장 B면【국편영인본】 5책 2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