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28권, 五禮 吉禮序例 樂器圖說 柷ㆍ止

五禮 / 吉禮序例 / 樂器圖說 / 柷ㆍ止

◎ 축(柷)·지(止)

《악서(樂書)》에 이르기를,

"축의 악기(樂器)된 품은 사방이 2척 4촌이요, 깊이가 1척 8촌이며, 가운데 몽치자루[椎柄]가 있는데 밑바닥을 연하여 치게 하고, 왼편과 오른편으로 하여금 치게 한다. 음(陰)은 2, 4에서 시작하여 8, 10에서 마치니, 음수(陰數)는 4, 8인데도 양(陽)의 1로써 이를 주관하게 된다. 악(樂)을 제작한다면 여러 악(樂)에서 이를 먼저 할 뿐이고 능히 완성시키는 것은 아니니, 형(兄)의 도리가 있다. 이것이 축(柷)이 궁현(宮懸)의 동쪽에 있는 까닭이니, 봄의 만물의 시작을 상징한 것이다. 《이아(爾雅)》137) 에 말하기를, ‘축을 치는 것을 지(止)라.’ 하니, 축은 음악을 합주(合奏)하여 시작할 적에 반드시 이를 치게 되는데, 그것을 지로 하는 것은 이를 일찍부터 경계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하였다.

【그림】

 축(柷)ㆍ지(止) 축(柷)ㆍ지(止)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1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207면

  • [註 137]
    《이아(爾雅)》 : 13경(經)의 하나로서 가장 오래 된 자서(字書). 천문(天文)·지리(地理)·음악(音樂)·기재(器財)·초목(草木)·조수(鳥獸) 등에 관하여 설명하였음. 19권.

◎ 柷、止

《樂書》云: "柷之爲器, 方二尺四寸, 深一尺八寸, 中有椎柄連底, 撞之, 令左右擊也。 陰始於二四, 終於八十。 陰數四八, 而以陽一主之, 所以作樂, 則於衆樂先之而已, 非能成之也, 有兄之道焉。 此柷所以居宮縣之東, 象春物之成始也。" 《爾雅》曰: "所以鼓柷, 謂之止。 柷以合樂而作之, 必鼓之, 欲其止者, 戒之於蚤也。"

【그림】

 柷ㆍ止 柷ㆍ止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19장 B면【국편영인본】 5책 20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