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조 대왕 시책문(諡冊文)
시책문(諡冊文)은 다음과 같다.
"삼가 아룁니다. 하늘 나라로 가시는 임금님을 따라가지 못하니 사방의 많은 백성들이 통곡에 묻혀 있고, 큰 시호(諡號)가 막 결정되니 백세(百世)에 내어 걸어 아름다운 덕업을 높이 드날리게 되었습니다만, 어떻게 모두 형용(形容)해 낼 수 있겠습니까? 단지 울부짖으면서 사모하는 마음만 가중시킬 뿐입니다.
삼가 생각하건대, 대행 대왕(大行大王)께서는 덕은 하늘과 땅과 같았으며 운수는 태평성대를 누리셨습니다. 그리고 선성(宣聖)007) 이 탄강하신 해와 같은 해에 탄생하였으니 하늘이 내신 예지(叡智)이고, 영고(寧考)008) 의 사물(事物)을 대우하는 교회(敎誨)를 받았으므로 날로 온화하고 문아(文雅)한 데로 향상되었습니다. 궁궐에는 가까이 나아가 고하는 법규를 세웠으나 오직 바른 말과 바른 일만을 따랐으며 구가(謳歌)는 목을 늘이고 기대하는 소망을 용동시켰으므로 인문(仁聞)과 인심(仁心)이 애연히 넘쳐 흘렀습니다. 국가의 만기(萬機)를 어리신 나이에 총괄하였는데도 많은 백성들이 두루 홍화(洪化)에 젖었습니다.
조상을 받드는 것은 백행(百行)을 돈독하게 하는 근본이 되므로 규찬(圭瓚)009) 을 엄숙히 하니 상서가 넘쳐 흐르고 임금의 자리는 만화(萬化)를 바로잡는 근원이므로 유의(旒扆)010) 을 화목하게 하니 천명(天命)이 응집되었습니다. 혜택이 궁벽한 시골 백성에게까지 흡족하니 하찮은 미물인 벌레까지도 모두 흠씬 젖게 되었으며, 검소한 덕은 거처와 음식을 간략히 하는 데서 환히 드러났으니 성색(聲色)과 완호(玩好)에 의한 허물이 없었습니다. 비유하건대, 교악(喬嶽)이 아무런 운동이 없이도 구름을 일으키고 비를 내려 각기 그 공(功)을 이루게 하는 것과 같고, 마치 상천(上天)의 일은 소리가 없어도 가을에는 서늘하고 봄에는 따스한 절서(節序)가 저절로 알맞게 되는 것과 같았습니다. 아! 일덕(一德)의 부응(符應)이 3기(紀)의 태평 성대를 이룩하였습니다.
금망(禁網)을 관대하게 하여 백성들을 쉴 수 있게 하니 한(漢)나라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질박한 풍속을 회복시켰던 성과를 거두었고, 교화의 범주 안으로 집결시켜 법도를 올바르게 하니 요제(堯帝)·순제(舜帝) 때 가만히 앉아서 다스리던 풍도가 있었습니다. 부월(鈇鉞)이 노여워하지 않아도 금즙되는 위엄을 드러내니 서쪽 지방의 반역자들을 깨끗이 쓸어내었고, 탕유(帑庾)011) 의 사적인 것이 없는 저축을 기울여서 남쪽 고을의 곤궁한 백성들을 안정시켰습니다. 어주(御厨)에는 입맛을 즐겁게 하는 공궤를 견감시키니 사람들이 산과 바다에서 유유 자적한 삶을 누릴 수 있었고, 큰 거리에서 선두안(宣頭案)012) 을 깨끗이 불살라 버리니 백성이 비로소 실가(室家)의 즐거움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크고 작은 인재를 하나도 빠뜨리지 않으니 외진 산 골의 사람도 모두 찾아서 받아들였으며, 성전(成典)을 삼가 굳게 지킨 것은 뜯어 고치다가 잘못되는 것을 경계해서였습니다.
여사(餘事)인 문장(文章)에 이르러서도 가슴속에 쌓여 있는 것이 화순(和順)한 덕임이 더욱 확연히 드러났고, 평소 한가하게 쉬고 있을 적에도 항상 책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그리하여 간간이 여가에 지은 글들도 모두가 모훈(謨訓)이 되기에 합당하였습니다. 하늘처럼 오묘하고 아득하여, 진실로 한없이 높고 한없이 넓다는 것으로도 표현하기 어려우며, 우뚝한 은하수가 환한 빛을 돌이켰으므로 모두 문명(文明)의 시대를 보게 된 것을 기대하였습니다. 쉽고 간결하게 하는 정치의 공효가 이미 드러나 화평(和平)스런 복이 매우 융숭하였습니다. 따라서 하늘은 맑고 땅은 평안하여 진실로 천년에 한 번 있을 운(運)에 맞게 되고, 해가 떠오르듯 시내가 바다로 이르듯 하여 바야흐로 만수를 누리기 기원하는 소리가 비등하고 있었는데, 한참 다스림을 펼 좋은 시기에 갑자기 궤석(几席)에 의지한 말명(末命)을 대양(對揚)하게 될줄이야 어찌 생각이나 하였겠습니까? 주단(周壇)에 수명의 연장을 빌던 규벽(圭璧)을 걷어치우니 백신(百神)들이 깜짝 놀라고, 형호(荊湖)의 용을 타고 하늘로 올라 가면서 떨어뜨린 궁검(弓劒)을 어루만지며 온 나라의 백성이 눈물을 흘립니다.
성대한 덕과 지극한 선(善)은, 아! 즐겁게 해주고 이롭게 해준 것을 즐겁게 여기고 이롭게 여겨 영원히 잊지 못하겠고, 후한 은택과 깊은 인애는 이를 힘입어 국운이 영구히 이어가게 되기를 기대하게 되었습니다. 나 소자(小子)가 이런 큰 어려움을 당하여 종묘 사직의 큰 부탁이 내 한 몸에 있으니 동모(同瑁)013) 를 받듦에 있어 조심스런 마음이 앞서고, 하늘과 땅까지 미치는 지극한 슬픔이 폐부(肺腑)를 찢으니 갱장(羹墻)014) 을 돌아보며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아침 저녁 문안을 영구히 어기게 되었으니 받들어 기쁘게 해드릴 데가 없음이 통한스럽고, 세월의 흐름이 덧없이 빠르니 멀리 떠날 기일이 닥친 것이 슬프기만 합니다.
태양 같은 모습과 용 같은 풍도는, 아! 도저히 붓끝으로 그려낼 수가 없으며, 큰 아름다운 덕과 큰 문장은 오히려 펴서 드날릴 여지가 남아 있습니다. 이에 평생의 행적을 상징하는 휘칭(徽稱)을 거행하게 되었고 마지막을 높이는 이전(彛典)을 준행하게 되었습니다. 중정(中正)하고 정수(精粹)함은 끝없는 건도(乾道)에 합치되고, 유구(悠久)하고 고명(高明)함은 그지없는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덕(德)에 짝할만 합니다. 백성을 편안하게 다스린 것은 무(武)스럽고 문(文)스러운 결과이고 만방(萬邦)을 법으로 다스려 교화를 이룩한 것은 공경(恭敬)하고 효도(孝道)한 결실인 것입니다. 귀신(鬼神)에게 질정하고 천지에 세워놓아도 아무런 하자가 없으니 감히 실상에 지나친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완염(琬琰)015) 에 새기고 현가(絃歌)에 올려 영원한 후세에 환히 밝힙니다. 이에 사신(使臣)을 명하여 옥책(玉冊)을 받들어 존시(尊諡)를 올리기를, ‘문안 무정 헌경 성효(文安武靖憲敬成孝)’라고 하고, 묘호(廟號)를 ‘순종(純宗)’이라고 하였으니, 우러러 바라건대, 충감(沖鑑)으로 변변찮은 정성을 굽어 살펴주소서. 금편(金編)에 꽃다움이 흘러 넘치니 삼황 오제(三皇五帝) 때의 태평 성대와 필적하고 옥첩(玉牒)에 찬란한 빛이 가중되니 천년 만년 후손을 위한 넉넉한 모훈(謨訓)이 끝없이 전해 갈 것입니다. 아! 슬픕니다. 삼가 말씀 올립니다." 【좌의정 홍석주(洪奭周)가 지었다.】
- 【태백산사고본】 35책 1권 2장 A면【국편영인본】 48책 420면
- 【분류】왕실(王室) / 어문학(語文學)
- [註 007]선성(宣聖) : 공자(孔子).
- [註 008]
영고(寧考) : 부왕(父王).- [註 009]
규찬(圭瓚) : 종묘에서 쓰는 술잔.- [註 010]
유의(旒扆) : 임금의 거처를 가리킴.- [註 011]
탕유(帑庾) : 내탕(內帑)과 창고(倉庫).- [註 012]
선두안(宣頭案) : 내수사(內需司)에 예속된 노비(奴婢)들을 20년마다 상세히 조사하여 새로 문안을 만들어 임금에게 바치는 원적부(原籍簿)임.- [註 013]
동모(同瑁) : 동(同)은 제사지낼 때 쓰는 술잔이고, 모(瑁)는 사방이 4촌(寸)쯤 되는 옥(玉)으로써 만든 홀(笏)로 조회(朝會) 때 천자(天子)가 쓰는 것인데, 그 하부(下部)가 제후(諸侯)들이 가진 규벽(珪璧)이란 홀 위에 끼워져 있어 부절(符節)을 합친 것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음.- [註 014]
갱장(羹墻) : 선왕(先王)을 사모한다는 말. 옛날 요제(堯帝)가 승하한 뒤 순제(舜帝)가 너무도 사모한 나머지 요제의 모습이 담장의 벽에서도 보이고 국 그릇에서도 보였다는 고사(故事)에서 온 말임.- [註 015]
완염(琬琰) : 옥책(玉冊).○諡冊文:
伏以龍馭莫攀, 薄四表而纏慟, 鴻號載定, 揭百世而揄徽。 曷旣形容? 袛增號慕。 恭惟大行大王, 德參高厚, 運撫熙雍。 符宣聖降彩之年, 天挺睿智, 承寧考遇物之誨, 日就溫文。 廈旃納造膝之規, 率惟正言正事, 謳歌聳延頓之望, 藹然仁聞仁心。 萬幾遂總於沖齡, 群生徧洽於洪化。 準海敦百行之本, 肅圭瓚而流祺, 居辰端萬化之原, 穆旒扆而凝命。 溥惠澤於窮蔀, 肖翹𧍒蝡之咸濡。 昭儉德於卑菲, 聲色玩好之無累。 譬喬嶽不運而雲興雨施之各奏其功, 若上載無聲而秋肅春溫之自適其序。 猗歟! 一德之符應, 致玆三紀之承平。 疏禁網而息民, 收文景反樸之効, 集化囿而貞度, 有唐、虞垂衣之風。 鈇銊飾不怒之威, 掃鯨鯢於西土, 帑度傾無私之蓄, 奠鶉鵠於南州。 御廚蠲悅口之供, 人自得於山海, 通衢焚宣頭之案, 民始知有室家。 洪纖不遺, 廓山藪之竝納, 關和恪守, 戒琴瑟之更張。 乃至餘事之文章, 彌見中積之和順, 在淸讌游息之際, 常不離於篇翰。 雖咳唾散落之餘, 動皆合於謨訓。 玄縡眇邈, 固巍蕩之難名, 倬漢昭回, 庶文明之咸覩。 易簡之功旣著, 和平之福冞隆。 天淸地寧, 允叶得一之運, 日升川至, 方騰於萬之祈, 何意調燭之昌辰, 遽揚凭几之末命? 周壇之圭璧已屛, 百神震驚, 荊湖之弓劍空遺, 九土雨泣。 盛德至善, 於乎! 樂利之不忘, 厚澤深仁, 庶幾靈長之終賴。 眇予小子, 罹此大艱, 宗社之丕托在身, 奉同瑁而怵惕, 穹壤之至恫貫肺, 眷羹墻而皇瞿。 晨昏永違, 痛承歡之無所, 旬朔頻遞, 慨卽遠之有期。 日表龍章, 嗟莫容於摸繪, 景鑠鴻藻, 尙有地於鋪揚, 載擧象行之徽稱, 式遵崇終之彝典。 中正精粹, 合乾道之旡疆, 悠久高明, 配文德於不已。 安百姓而嘉靖, 乃武乃文, 憲萬邦而化成, 克敬克孝。 質鬼神而建天地, 敢有溢辭? 勒琬琰而被絃歌, 式昭永世。 爰命使臣, 奉玉冊上尊謚曰: ‘文安武靖憲敬成孝’, 廟號曰: ‘純宗’, 仰冀沖鑑, 俯格微誠。 金編流芬, 匹三五而熙號, 玉牒增耀, 衍千億而裕謨。 嗚呼! 哀哉。 謹言。 【左議政洪奭周製。】
- 【태백산사고본】 35책 1권 2장 A면【국편영인본】 48책 420면
- 【분류】왕실(王室) / 어문학(語文學)
- [註 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