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의 관례를 경현당에서 행할 것을 명하다
숭정전(崇政殿)에 나가서 빈(賓)과 찬(贊)에게 왕세자의 관례를 경현당(景賢堂)에서 행할 것을 명하였다. 흥정당(興政堂)에 나가 왕세자의 조알례(朝謁禮)를 받았다. 【임금이 원유관(遠遊冠)·강사포(絳紗袍)를 갖추고 보좌(寶座)에 오르니, 빈(賓) 이하가 동문(東門)을 거쳐 전정(殿庭)으로 들어와 예(禮)를 행하였다. 그런 뒤에 전교관(傳敎官)이 선교(宣敎)하기를, ‘지금 관(冠)을 세자에게 씌우니 경 등은 일을 진행하라.’ 하니, 빈 이하가 예를 행하였다. 선교관이 교서함(敎書函)을 들어 빈에게 주니, 빈이 꿇어앉아 받았다. 빈(賓)과 찬(贊)이 동문을 거쳐 나갔다. 예가 끝나자 내전(內殿)으로 돌아왔다. ○왕세자의 관례를 경현당에서 행하였다. 왕세자가 공정책(空頂幘)에 도포를 갖추고 나와 자리에 오르자 필선(弼善)이 왕세자에게 일어나 자리 앞에 서기를 요청하였다. 종친 문무 2품 이상이 당 안으로 올라 재배하자, 왕세자가 답하여 재배한 뒤에 자리에 올랐다. 종친 문무 3품 이하는 위(位)에 나아가 재배하였다. 사부·빈객(賓客)이 들어와 위에 나아갔다. 왕세자가 동계(東階)를 거쳐 내려가 뜰 동쪽의 배위(拜位)로 나아가 재배하자, 사부·빈객이 왕세자에게 답하여 재배하였다. 주인(主人)이 들어와 뜰 서쪽 위(位)로 나아가 재배하자, 왕세자가 답하여 재배하였다. 주인이 궁문으로 나아가 빈(賓)을 맞이하는데, 빈과 주인이 읍(揖)하고 사양하며 문으로 들어섰다. 빈이 교서함(敎書函)을 받들어 안(案)에 놓자 필선이 왕세자를 인도하여 수교위(受敎位)로 나아가 북쪽을 향하여 사배(四拜)하였다. 빈이 ‘유교(有敎)’라고 일컫자 왕세자가 끓어앉았다. 빈이 선교(宣敎)하기를, ‘왕세자 아무에게 하교한다. 좋은 날 관례를 행하는데 옛 전장(典章)에 따라야 한다. 영의정 서용보(徐龍輔)에게 명하여 궁에 나아가 예(禮)를 펴게 한다.’ 하였다. 선교를 마치자 왕세자가 빈에게 사배하였다. 빈객은 빈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아 교서를 받아 왕세자에게 주었다. 왕세자가 꿇어앉아 교서를 받아 필선에게 주었고, 필선은 꿇어앉아 받아 교서함을 든자에게 주었다. 왕세자가 동계(東階)를 거쳐 올라가 동서(東序)의 장막[帷] 안으로 들어갔다. 부(傅)와 빈객은 각각 당 위의 석위(席位)로 나아가고 빈은 서계(西階)를 거쳐 올라갔으며, 주인은 동계를 거쳐 올라갔다. 주인의 찬관(贊冠)이 왕세자를 인도하여 관석(冠席)으로 나아가 섰고, 빈의 찬관이 사·즐(纚櫛) 두 상자를 들고 관석 남쪽에 드리니, 빈이 읍을 하였다. 왕세자가 자리로 올라 꿇어앉아 빗질을 하고, 왕세자가 초가례(初加禮)를 행한다. 관자(冠者)는 서계로 오르고, 빈은 1등(等)을 내려가 받아서 왕세자의 자리 앞에 올리고, 축사하기를, ‘좋은 달 좋은 날에 비로소 원복을 입히니 어린 마음을 버리고 그 이룬 덕을 삼가서 수고(壽考)를 누리고 큰 복을 받게 하소서.’ 하였고, 빈이 꿇어앉아 초가관(初加冠)―익선관(翼善冠)이다―을 씌웠다. 왕세자가 일어나자 빈이 왕세자에게 읍을 하였다. 주인의 찬관이 왕세자를 인도하여 동서(東序)의 장막 안으로 나가 곤룡포(袞龍袍)를 입혀 나오자 빈이 읍하였다. 왕세자가 자리에 올라 재가례(再加禮)를 행하였다. 관자(冠者)는 서계를 거쳐 올라가고, 빈은 2등을 내려와 받아서 왕세자의 자리 앞에 올리고 축사하기를, ‘좋은 달좋은 날에 가복을 거듭 입히니, 위의(威儀)를 존경하여 그 덕을 밝히고, 만년토록 오래 장수하여 길이 복을 받으소서.’ 하였고, 빈의 찬관이 자리 앞으로 나아가 초가관(初加冠)을 벗기고 빈이 꿇어앉아 재가관(再加冠)―원유관(遠遊冠)이다.―을 씌웠다. 왕세자가 일어나고, 빈이 왕세자에게 읍하였다. 주인의 찬관이 왕세자를 인도하여 동서(東序)의 장막 안으로 나아가 강사포(絳紗袍)를 입고 규(圭)를 잡고 나오자 빈이 읍하였다. 왕세자가 자리에 올라 삼가례(三加禮)를 행하였다. 관자는 서계로 올라가고 빈은 3등을 내려와 받아서 왕세자 자리 앞에 올리고 축사하기를, ‘좋은 해 좋은 달에 그 관복(冠服)을 모두 더 입혀 그 덕을 이루었으니 만년토록 장수하여 한계가 없이 하늘의 경사를 받드소서.’ 하였고 빈의 찬관이 자리 앞으로 나아가 동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재가관을 벗겼다. 빈이 꿇어앉아 삼가관(三加冠)을 벗겼다. 빈이 꿇어앉아 삼가관―면류관(冕旒冠)이다.―을 씌웠다. 왕세자가 일어나자 빈이 왕세자에게 읍하였다. 주인의 찬관이 왕세자를 인도하여 동서(東序)의 장막 안으로 나아가 면복(冕服)을 입히고 규(圭)를 잡고 나와서 자리로 나아가 남쪽을 향하여 앉았다. 사옹원 부제조(司饔院副提調)가 예주(醴洒)를 따랐다. 빈이 예주를 받아 왕세자에게 올리고 축사하기를, ‘단 예주가 무르익어 좋은 향기를 풍기니 절하고 받아서 고수레하여 그 상서(祥瑞)를 정하고 하늘의 경사를 받들어 장수하면서 잊지 마소서.’ 하였고, 꿇어앉아 예주를 올렸다. 왕세자가 예주를 받자 빈의 찬관이 찬(饌)을 받들어 자리 앞에 벌여 놓았다. 왕세자가 예주를 고수레하고 예주를 맛보았다. 빈의 찬관이 찬을 거두었다. 왕세자가 자리에서 내려와 남쪽을 향하여 재배하자 빈이 답하여 재배하였다. 필선이 왕세자를 인도하여 서계를 거쳐 내려와 남쪽을 향하여 섰다. 빈이 조금 나아가 자(字)를 붙여 말하기를, ‘예의(禮儀)가 갖추어졌습니다. 좋은 달 좋은 날에 그 자(字)를 밝게 고합니다. 군자의 마땅한 바이니, 복을 누리기에 마땅할 것입니다. 길이받아 간직하소서. 하교를 받들어 아무개라고 자(字)를 붙입니다.’ 하자 왕세자가 재배하고 말하기를, ‘아무는 비록 민첩치 못하나 감히 공경하여 받들지 않겠습니까?’ 하였고, 다시 재배하였다. 필선이 왕세자를 인도하여 조계(阼階) 아래에 이르러 서쪽을 향하여 서서 재배하였고, 사부·빈객이 답하여 재배하였다. 왕세자가 조계를 거쳐 올라가 배위(拜位)로 나아갔다. 종친 문무 2품 이상이 당으로 올라 재배하자 왕세자가 답하여 재배한 후에 자리로 올라갔다. 종친 문무 3품 이하가 위(位)에 나아가 재배하였다. 예를 마치자 왕세자가 자리에서 내려와 안으로 돌아왔다. ○임금이 흥정당(興政堂)에 나가 왕세자의 조알례(朝謁禮)를 받았다. 임금이 익선관(翼善冠)·곤룡포(袞龍袍)를 갖추고 자리에 올랐다. 왕세자가 면복(冕服)을 갖추고 동문을 거쳐 들어와 당으로 나아갔다. 도승지 윤정렬(尹鼎烈)이 나와 선교(宣敎)하여 경계하기를, ‘어버이를 효로 섬기시고, 아랫사람을 인으로 접촉하시며, 사람을 의로 부리시고, 사람을 은혜로 기르라.’ 하였다. 선교를 마치자 왕세자가 사배하고 조금 나아가 일컫기를, ‘신이 비록 민첩치 못하나 감히 공경하여 받들지 않겠습니까?’하고 물러나 위(位)로 돌아갔다가 인도되어 나갔다. 임금이 내전(內殿)으로 돌아왔다.】
- 【태백산사고본】 22책 22권 8장 B면【국편영인본】 48책 146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왕실-종친(宗親)
○壬子/御崇政殿, 命賓贊, 行王世子冠禮于景賢堂, 御興政堂, 受王世子朝謁禮。 【上具遠遊冠絳紗袍陞座, 賓以下由東門入庭行禮。 訖, 傳敎官宣敎曰: ‘今加冠於世子卿等將事,’ 賓以下行禮, 宣敎官取敎書凾授賓, 賓跪受。 賓贊由東門出禮畢還內。 ○行王世子冠禮于景賢堂。 王世子具空頂幘道袍出陞座, 弼善, 請王世子興立于座前。 宗親文武二品以上陞就堂中再拜, 王世子答再拜訖陞座。 宗親文武三品以下就位再拜。 師傅賓客入就位。 王世子降自東階就庭東拜位再拜, 師傅賓客答再拜王世子。 主人入就庭西位再拜, 王世子答再拜。 主人出迎賓於宮門, 賓主揖讓入門。 賓捧敎書凾置於案, 弼善引王世子, 詣受敎位北向立四拜。 賓稱有敎, 王世子跪。 賓宣 〔敎〕曰, ‘敎王世子某, 吉日元服率由舊章。 命領議政徐龍輔就宮展禮。’ 宣敎訖, 王世子四拜。 賓客進詣賓前跪受敎書, 退授王世子。 王世子跪受敎書, 以授弼善, 弼善跪受, 以授持凾者。 王世子陞自東階入東序帷內。 傅賓客各就堂上席位, 賓陞西階, 主人陞東階。 主人贊冠引王世子出立於冠席, 賓贊冠取纚櫛二箱, 奠於冠席南賓揖。 王世子陞延跪櫛, 王世子執初加。 冠者陞西階, 賓降一等受之, 進王世子席前祝曰, ‘令月吉日, 始加元服, 棄厥幼志, 愼其成德, 壽考維祺, 以介景福,’ 賓乃跪冠初加翼善冠。 王世子興賓揖王世子。 主人贊冠引王世子, 適東序帷內, 着袞龍袍以出賓揖。 王世子陞筵執再加。 冠者陞西階, 賓降二等受之, 進王世子席前祝曰, ‘吉月令辰, 乃申嘉服, 克敬威儀, 式明厥德, 眉壽萬年, 永受祺福, ‘賓贊冠進席前, 脫初加冠, 賓乃跪冠再加遠遊冠。 王世子興,’ 賓揖王世子。 〔主〕 人贊冠引王世子, 適東序帷內, 着於絳〔紗〕 袍, 執圭以出賓揖。 王世子陞筵執三加。 冠者陞西階賓降三等受之, 進王世子席前祝曰, ‘以歲之正以月之令, 咸加其服, 以成厥德, 萬壽無疆, 承天之慶,’ 賓贊冠進席前東向跪, 脫再加冠。 賓跪冠三加冕旒冠。 王世子興, 賓揖王世子, 〔主〕 人贊冠引王世子適東序帷內, 著冕服執圭以出就席南向坐。 司饔院副提調酌醴。 賓受醴進王世子祝曰, ‘甘醴維厚, 嘉薦令芳, 拜受祭之, 以定厥祥, 承天之休, 壽考不忘,’ 跪進醴。 王世子受醴, 賓贊冠捧饌陳於筵前。 王世子祭醴啐醴。 賓贊冠徹饌。 王世子降筵南向再拜, 〔賓〕 答再拜。 弼善引王世子降西階南向立。 賓少進字之曰 ‘禮儀旣備。 令月吉昭告厥字。 君子攸宜, 宜之於嘏, 永受保之, 奉敎字某,’ 王世子再拜曰, ‘某雖不敏, 敢不祇奉?’ 又再拜。 弼善引王世子, 至阼階下, 西向立再拜, 師傅賓客答再拜。 王世子陞自阼階就拜位。 宗親文武二品以上陞就堂中再拜, 王世子答再拜訖陞座。 宗親文武三品以下就位再拜。 禮畢王世子降座還內。 ○御興政堂, 受王世子朝謁禮。 上具翼善冠袞龍袍陞座, 王世子具冕服, 入自東門就堂前。 都承旨尹鼎烈出宣敎戒曰: ‘事親以孝, 接下以仁, 使人以義, 養人以惠。’ 宣訖, 王世子四拜少進, 稱 ‘臣雖不敏, 敢不祇承?’ 退復位引出, 上還內。】
- 【태백산사고본】 22책 22권 8장 B면【국편영인본】 48책 146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왕실-종친(宗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