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종실록64권, 숙종 45년 9월 21일 경인 4번째기사
1719년 청 강희(康熙) 58년
대사헌 이희조가 《속경연고사》와 《동현주의》를 만들어 바치다
대사헌(大司憲) 이희조(李喜朝)가, 문순공(文純公) 박세채(朴世采)가 편한 《경연고사(經筵故事)》를 모방(模倣)하여 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이이(李珥)·성혼(成渾)·김장생(金長生) 등이 연중(筵中)에서 주달(奏達)한 말을 채록해 합쳐 두 책으로 만들어 이름을 《속경연고사(續經筵故事)》라 하고, 또 정몽주(鄭夢周) 이하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한 9인의 장주(章奏)를 모아서 8책을 만들어 이름을 《동현주의(東賢奏議)》라 하였는데, 상소(上疏)할 때 같이 바쳤으며, 신기(神氣)가 편안할 때 옥당관(玉堂官)을 불러들여 약간편(若干篇)을 읽게 하고 들어 읽는 것이 끝나면 왕세자에게 내보여 체험(體驗)하여 시행하도록 기필하기를 원하니, 임금이 우악(優渥)한 비답(批答)을 내렸다.
- 【태백산사고본】 72책 64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41책 83면
- 【분류】출판-서책(書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