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숙종실록 6권, 숙종 3년 10월 2일 병오 2번째기사 1677년 청 강희(康熙) 16년

대신과 비변사의 제신을 인견하다

대신(大臣)과 비국(備局)의 여러 신하를 인견(引見)하였다. 좌의정(左議政) 권대운(權大運)이 농사가 흉년들었으므로 절사(節使)가 연경(燕京)에 갈때 상방(尙方)172) 에서 무역하는 것을 정지하도록 청하니, 그대로 따랐다. 권대운이 또 말하기를,

"근래에 시관(試官)이 거자(擧子)와 상피(相避)가 된다 하여 여러 번 불러도 나오지 않는 자가 있기까지 하니, 전에는 없었던 일입니다, 이전에 증광 회시(增廣會試)173) 의 시관(試官)은 대간(臺諫)이 아뢰는 바에 의하여 거자(擧子)와 상피가 됨을 논하지 않고 지극히 신중하게 택하여서 의망(擬望)하였으니, 왕명(王命)으로 부르면 나오지 않을 수 없다는 뜻으로 신칙(申飭)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하니, 임금이 그 말에 따랐다. 과거를 보는 날이 되자 시관(試官) 홍우원(洪宇遠)·이무(李袤)·최석정(崔錫鼎)이 또 모두 나오지 않았으므로 식자(識者)들이 한심하게 여겼다. 임금이 말하기를,

"양근(楊根)의 시장(柴場)은 처음에 궁가(宮家)에서 절수(折受)하였는데, 효종조(孝宗朝)에 수어청(守禦廳)에다 나누어 주었다. 지금은 수어청이 이미 혁파(革罷)되었으니, 본궁(本宮)에 돌려주는 것이 옳다."

하니, 권대운이 말하기를,

"당초에 군문(軍門)으로 옮겨서 준 것은 대개 군무(軍務)를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본도(本道)의 폐단으로 인하여 이미 혁파하였으니, 본궁에 돌려준다는 것은 일의 대체에 마땅하지 않습니다."

하자, 임금이 잠자코 있었다. 충청도(忠淸道)의 전세(田稅)·대동 수미(大同收米)와 각 군문(軍門)의 군보미(軍保米)174) 는 모두 본고을에 머물러 두고 진휼(賑恤)에 필요한 물자로 삼도록 하되, 전세(田稅)로 받는 쌀 대신으로는 강화(江華)의 제방미(除防米)를 숫자에 맞추어서 획급(劃給)하고, 군보미(軍保米)의 대신으로는 진청(賑廳)에서 풍년이 드는 해를 기다려 갚도록 명하였으니, 오정위(吳挺緯)·권대운(權大運)의 말에 따른 것이었다.


  • 【태백산사고본】 5책 6권 52장 A면【국편영인본】 38책 369면
  • 【분류】
    왕실-국왕(國王) / 외교-야(野) / 무역(貿易) / 인사-선발(選拔) / 인사-관리(管理) / 농업-임업(林業) / 군사-병참(兵站) / 재정-전세(田稅) / 재정-공물(貢物) / 구휼(救恤)

  • [註 172]
    상방(尙方) : 상의원(尙衣院)의 별칭(別稱).
  • [註 173]
    증광 회시(增廣會試) :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기념으로 보이던 증광시(增廣試)의 복시(覆試). 증광시는 식년시(式年試)와 동일한 성격을 가지며, 초시·복시·전시를 거쳐 최종 합격자를 선발하되 식년시의 33인에 비하여 40인으로 정하고, 나라의 여러 가지 경사를 합하여 특별 시험을 보이는 경우에는 이를 대증광시(大增廣試)하고 명칭함.
  • [註 174]
    군보미(軍保米) : 정병(正兵)의 농작(農作)을 돕기 위해 두는 보정(保丁), 곧 봉족(奉足)에게 양병(養兵)하는 경비에 쓰기 위해 역을 면제해 주는 대가로 받는 쌀.

○引見大臣、備局諸臣。 左議政權大運以年歲凶荒, 請停節使赴時, 尙方貿易, 從之。 大運又曰: "近來試官以擧子相避, 至有累招不進者, 前所未有之事也。 前頭增廣會試試官, 依臺啓, 無論擧子相避, 極擇擬望, 而以不可牌不進之意, 申飭似好。" 上從其言。 及科日, 試官洪宇遠李袤崔錫鼎又皆不進, 識者寒心。 上曰: "楊根柴場, 初是宮家折受, 而孝廟朝劃給守禦廳矣。 今則守禦廳旣已罷之, 還給本宮可也。" 大運曰: "當初移給軍門者, 蓋重軍務, 而今因本道之弊, 旣已革罷, 則還給本宮, 事體不當矣。" 上默然。 忠淸道田稅大同收米及各軍門軍保米, 皆命捧留本邑, 以爲賑資, 而田稅收米之代, 則以江華除防米, 照數劃給; 軍保米之代, 則令賑廳, 待年還償。 從吳挺緯權大運之言也。


  • 【태백산사고본】 5책 6권 52장 A면【국편영인본】 38책 369면
  • 【분류】
    왕실-국왕(國王) / 외교-야(野) / 무역(貿易) / 인사-선발(選拔) / 인사-관리(管理) / 농업-임업(林業) / 군사-병참(兵站) / 재정-전세(田稅) / 재정-공물(貢物) / 구휼(救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