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광해군일기[중초본] 153권, 광해 12년 6월 15일 신유 2번째기사 1620년 명 만력(萬曆) 48년

호조에서 조세 수입이 적으므로 영건 도감에게 주라는 명의 중지를 청하다

호조가 아뢰기를,

"근래에 조세가 들어오는 것은 많지 않은데 경비는 날로 넓어져서, 1년 동안 들어오는 쌀로 반 년의 비용도 댈 수 없습니다. 그리고 해마다 응당 서울로 바치는 수는 겨우 5만여 섬뿐인데 1년에 필요한 쌀은 10만여 섬이며, 불시에 필요한 수는 여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일을 담당하는 신하들이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습니다. 지난 정미년058)이충(李沖)이 본조의 판서로 있을 때에 전라도공홍도 등의 바닷가 고을의 공물을 병진년059) 이후의 것에 대해서 제사에 필요한 공상(供上)을 제외하고는 모두 작미(作米)하도록 하여 경비에 보태자는 일로 사유를 갖추어 입계하여 윤허를 받았습니다. 지금까지 겨우겨우 마련하여 지탱해가고 있는 것도 모두 이 때문인데, 〈실상 부득이한 계책에서 나온 것입니다.〉 기미년060) 에는 바닷가의 각 고을이 〈모두〉 매우 심한 흉작이어서 작미하여 〈서울로 바칠〉 방법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 해에 한하여 본색(本色)으로 바칠 것을 청하였으므로 본조에서 부득이 허락하고, 그 다음해인 경신년 조는 예전처럼 작미하여 바칠 일로 일찍이 행회하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영건 도감의 계사를 보니 이런 공물의 작미(作米)를 도감에서 갖다 쓰겠다는 일이었는데, 계하하여 본조에 이문(移文)하였습니다.

대개 도감이 다른 조(曹)의 일을 자세히 알지 못해서 이런 계사가 있게 된 것 같습니다. 만약 국가의 경비가 전적으로 여기에 의존하는 것을 알고 있다면 반드시 이런 계사를 올리지 않았을 것입니다. 본조에 이 작미(作米)가 없다면 백관에게 줄 녹봉과 삼수(三手)에게 줄 요미(料米) 및 잡다한 비용과 뜻밖의 수요를 어떻게 계속 댈 수 있겠습니까. 〈비단 이것뿐만이 아닙니다. 예전에는 중국 사신의 접대를 모두 이런 공물을 가지고 하였는데, 긴요하고 긴요하지 않은 것에 따라 혹은 쌀·베·은·인삼·종이로 바꾸어서 이쪽을 덜어 저쪽을 보충하는 식으로 형편에 따라 요리하며 지탱하였습니다. 그러니 지금 만약 이것을 잃는다면 다시 어찌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제도(諸道)의 산간 지방 각 고을의 공물은 분호조 참판 윤수겸(尹守謙)과 분호조 참의 이창정(李昌庭) 등이 관할하여 작목(作木)하고 작미(作米)해서 전적으로 서쪽 변경의 군량으로 넘겨주고 있으니 관계된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이 정해지기 전에는 또한 다른 용도에 쓰기 어렵습니다.〉 국가의 경비와 군대의 양식은 모두 긴급한 일에 속하니, 대신들로 하여금 다시 의논하여 처치하도록 하소서."

하니,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53책 53권 62장 A면【국편영인본】 33책 327면
  • 【분류】
    재정-전세(田稅) / 재정-공물(貢物) / 군사-병참(兵站)

○戶曹啓曰: "近來稅入不敷, 經費日廣, 一年所入之米, 不能周半年之用。 逐年應上納之數, 僅五萬餘石, 而一年該用米十萬餘石, 不時需用之數不在限, 當事之臣, 罔知所爲。 去丁未年, 李冲爲本曹判書時, 全羅公洪等道沿海官貢物, 丙辰以後祭享供上外, 竝令作米, 以補經費事, 具由入啓蒙允。 至今拮据支過者, 皆此也, (實出於不獲已之計也)。 己未年則沿海各官, (皆)尤甚失稔, 作米(上納)無路。 限其年請納本色, 本曹不得已而許, 庚申條則依前作米上納事, 曾已行會。 而今見營建都監啓辭, 此等貢物作米, 自都監取用事啓下, 移文本曹, 蓋都監不詳他曹之事, 而有此啓也。 若知國家經費, 專靠於此, 則必不爲此啓也。 本曹無此作米, 則百官頒祿與三手糧料、雜上下、不時需用, 其何以繼之? (非但此也。 在前天使支待, 皆以此等貢物, 就緊不緊, 或換米、布、銀、蔘、紙地, 破東補西, 推移支撐。 今若失此, 更無着手之地。) 且諸道山郡各官貢物, 則分曹參判尹守謙、分曹參議李昌庭等句管, 作木、作米, 專委西邊軍餉, 關係甚重。 (事定之前, 亦難他用。) 國家經費、軍興糧餉, 俱屬緊急, 請令大臣更議處置。" 從之。


  • 【태백산사고본】 53책 53권 62장 A면【국편영인본】 33책 327면
  • 【분류】
    재정-전세(田稅) / 재정-공물(貢物) / 군사-병참(兵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