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성종실록134권, 성종 12년 10월 16일 정사 5번째기사 1481년 명 성화(成化) 17년

은천군 이찬의 졸기

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이 졸(卒)하였다. 철조(輟朝)762) 하고 조제(弔祭)와 장례(葬禮)를 예대로 하였다. 이찬(李穳)공정 대왕(恭定大王)의 서자(庶子) 경녕군(敬寧君) 이비(李)의 아들이다. 선덕(宣德)763) 을묘년764)은천 정윤(銀川正尹)에 임명되었다가 정통(正統)765) 기사년766) 에 정의 대부(正義大夫) 은천군(銀川君)으로 승급(陞級)하고, 천순(天順)767) 경진년768) 에 중의 대부(中義大夫)로, 임오년769) 에 승헌 대부(承憲大夫)로, 성화(成化)770) 을유년771) 에 숭헌 대부(崇憲大夫)로, 올랐다. 이때 세조(世祖)원각사(圓覺寺)를 창건하면서 이찬(李穳)을 겸대사헌(兼大司憲)으로 임명하여 부정을 감독하게 하면서 태평소(太平簫)를 하사하여 출입할 때 불게 하였다. 정해년772) 에는 경상도 순찰사(慶尙道巡察使)가 되어 백성들의 괴로움을을 조사하였고, 무자년773) 에는 세조의 특명으로 종친(宗親)들을 과거(科擧)에 응하게 하였는데, 이찬이 무과(武科)에 합격하여 가덕 대부(嘉德大夫)로 올랐다가 기축년774) 에는 소덕 대부(昭德大夫)로 올랐으며, 이때에 졸(卒)하니, 나이 61세였다. 시호(諡號)를 공무(恭武)로 내렸는데, 일을 맡아서 견고히 한다는 것이 공(恭)이고, 성품이 강직하다는 것이 무(武)이다. 이찬(李穳)은 성품이 강직하고 과단성이 있어, 명령을 받들어 일을 맡아 보면 그 정성을 다하여 세조의 신임이 다른 종친과 달랐고, 일을 많이 맡겼었다. 평생 나무를 잘 가꾸어서 집의 정원이 울창한 숲을 이루었으므로, 사람들이 곽탁타(郭橐駝)775) 도 못미친다고 하였다. 아들 이정(李楨)아림군(娥林君)이고, 이재(李梓)하음정(河陰正)이다.


  • 【태백산사고본】 20책 134권 11장 B면【국편영인본】 10책 265면
  • 【분류】
    인물(人物) / 농업-과수원예(果樹園藝) / 예술-음악(音樂)

  • [註 762]
    철조(輟朝) : 임금이 정무(政務)를 정지하는 일.
  • [註 763]
    선덕(宣德) : 명나라 선종(宣宗)의 연호.
  • [註 764]
    을묘년 : 1435 세종 17년.
  • [註 765]
    정통(正統) : 명나라 영종(英宗)의 연호.
  • [註 766]
    기사년 : 1449 세종 31년.
  • [註 767]
    천순(天順) : 영종의 두 번째 연호.
  • [註 768]
    경진년 : 1460 세조 6년.
  • [註 769]
    임오년 : 1462 세조 8년.
  • [註 770]
    성화(成化) : 명나라 헌종(憲宗)의 연호.
  • [註 771]
    을유년 : 1465 세조 11년.
  • [註 772]
    정해년 : 1467 세조 13년.
  • [註 773]
    무자년 : 1468 세조 14년.
  • [註 774]
    기축년 : 1469 예종 원년.
  • [註 775]
    곽탁타(郭橐駝) : 원예사(園藝師).

銀川君 卒。 輟朝、弔祭、禮葬如例。 , 恭定大王庶子敬寧君 之子。 宣德乙卯, 拜銀川正尹, 正統己巳, 陞拜正義銀川君, 天順庚辰, 陞中義, 壬午, 陞承憲, 成化乙酉, 陞崇憲。 時世祖圓覺寺, 授兼大司憲, 以督察愆違, 賜太平簫, 使出入吹之。 丁亥, 授慶尙道巡察使, 問民疾苦, 戊子, 世祖特令, 宗親赴擧, 中武科, 陞嘉德, 己丑, 陞昭德。 至是卒, 年六十一。 賜諡恭武, 執事堅固: ‘恭;’ 性剛理直: ‘武。’ 性剛果, 承命按事, 務盡其情, 世祖眷倚, 異於諸宗親, 事多委任之。 平生善種植, 所在家園, 蔚然成林, 人言郭橐駞不及。 子 娥林君, 河陰正。


  • 【태백산사고본】 20책 134권 11장 B면【국편영인본】 10책 265면
  • 【분류】
    인물(人物) / 농업-과수원예(果樹園藝) / 예술-음악(音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