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례 / 길례 서례 / 악현도 / 종묘 헌가·등가·무
◎ 종묘(宗廟) 헌가(軒架)·등가(登歌)·무(舞)
풍운뢰우(風雲雷雨)·선농(先農)·선잠(先蠶)·우사(雩祀)·문선왕(文宣王)도 이와 같다.
○ 헌가(軒架)
【도표】
삼방(三方)에서 각각 편종(編鐘) 3개와 편경(編磬) 3개를 설치한다. 동방의 편종은 북쪽에서 시작되는데 편경이 사이마다 끼이고 동향하게 되며, 서방의 편경은 북쪽에서 시작되는데 편종이 사이마다 끼이고 서향하게 되며, 북방의 편경은 동쪽에서 시작되는데 편종이 사이마다 끼이고 북향하게 된다. 노고(路鼓) 3개를 설치하되, 1개는 북가(北架)의 북쪽에 있어 한복판에 있고, 1개는 동북 모퉁이에 있고, 1개는 서북 모퉁이에 있다. 【다만 풍운뢰우만은 뇌고 3개를 설치하고, 선농(先農)은 토고(土鼓) 3개를 설치한다. 】 축(柷)과 어(敔)를 북가(北架)의 안에 설치하되, 축(柷)은 동쪽에 있고, 어(敔)는 서쪽에 있으며, 관(管) 10개가 축·어의 남쪽에 있어 한 줄이 되며, 다음은 약(籥) 10개가 한 줄이 되며, 다음은 화(和) 3개와 생(笙) 7개가 한 줄이 되며, 【다만 풍운뢰우에는 화(和) 10개만 한 줄이 된다. 】 다음은 우(竽), 그 다음은 소(簫), 그 다음은 적(篴), 그 다음은 지(篪), 그 다음은 부(缶), 그 다음은 훈(壎)이 각기 1개가 각각 한 줄이 되며, 모두 북향하게 된다.
○ 등가(登歌)
【도표】
가종(歌鐘) 1개는 동쪽에 있고, 가경(歌磬) 1개는 서쪽에 있으며, 슬(瑟) 6개와 금(琴) 6개가 한 줄이 되어 종(鐘)·경(磬)의 남쪽에 있되, 슬(瑟)은 동쪽에 있고, 금(琴)은 서쪽에 있으며, 가(歌)는 두 줄로서 각기 12인데, 슬·금의 남쪽에 있으며, 모두 북향하게 된다.
○ 무(舞)
【도표】
정(旌) 1개와 둑(纛) 1개는 당하(堂下)에 있어 【풍운뢰우·선농·선잠·우사는 단하(壇下)에 있다. 】 악현(樂懸)의 북쪽에 있는데, 정은 동쪽에 있고, 둑은 서쪽에 있다. 휘(麾) 2개가, 1개는 정의 동남쪽에 있고, 1개는 둑의 서남쪽에 있으며, 육일(六佾)은 두 휘의 남쪽에 있는데, 매 일마다 8인씩이며, 모두 북쪽을 상으로 한다. 순(錞) 1개, 탁(鐲) 1개, 요(鐃) 1개, 탁(鐸) 1개는 무일(舞佾)의 동쪽에 있고, 응(應) 1개, 아(雅) 1개, 상(相) 1개, 독(牘) 1개는 무일(舞佾)의 서쪽에 있으며, 모두 북향하게 된다.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4장 B면【국편영인본】 5책 217면
◎ 宗廟軒架、登歌、舞
宗廟風雲雷雨 先農 先蠶雩祀 文宣王同。
○ 軒架
【도표】
三方各設編鐘三, 編磬三。 東方編鐘起北, 編磬間之, 東向; 西方編磬起北, 編鐘間之, 西向; 北方編磬起東, 編鐘間之, 北向。 設路鼓三, 一在北架之北當中, 一在東北隅, 一在西北隅。 【唯風雲雷雨, 設雷鼓三。 先農, 設土鼓三。】 設柷敔於北架內, 柷在東, 敔在西。 管十在柷敔之南爲一行, 次籥十爲一行, 次和三笙七爲一行。 【唯風雲雷雨, 和十爲一行。】 次竽、次簫、次篴、次箎、次缶次壎各十, 各爲一行, 俱北向。
○ 登歌
【도표】
歌鐘一在東, 歌磬一在西。 瑟六琴六爲一行, 在鐘磬之南, 瑟在東琴在西。 歌二行各十二人, 在瑟琴之南, 俱北向。
○ 舞
【도표】
旌一纛一在堂下, 【風雲雷雨先農先蠶雩祀在壇下。】 當樂縣北, 旌在東纛在西。 麾二, 一在旌東南, 一在纛西南。 六佾在兩麾之南, 每佾八人俱北上。 錞一鐲一鐃一鐸一在舞佾東, 應一雅一相一牘一在舞佾西, 俱北向。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4장 B면【국편영인본】 5책 2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