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종실록 128권, 오례 길례 서례 악기도설 응

오례 / 길례 서례 / 악기도설 / 응

◎ 응(應)

《악서(樂書)》에 이르기를,

"작은 북[小鼓]을 응(應)이라 이르니, 큰 북[大鼓]의 선창(先倡)하는 소리에 응하기 때문이다. 주관에, ‘응은 통(桶)과 같은데, 길이가 6척 5촌이고, 가운데는 축(柷)을 본떠서 몽치가 밑바닥까지 연하고, 좌우에서 서로 쳐서 축(柷)에 응하게 된다. 《예도(禮圖)》169) 에, 그 형상은 바르고 둥글며, 안팎이 모두 주색(朱色)이다. ’고 하였다. 《당악도(唐樂圖)》《대주정악(大周正樂)》에는 모두 밖은 흑색(黑色)이고 안은 주색(朱色)이라 하는데, 그러나, 이치로써 미루어 본다면, 나무의 물건된 품이 양(陽)을 안에 머금고 있으니 남방의 불이 감추어진 것이다. 그런 까닭으로 마땅히 나무로써 이를 만들어야만 될 것이고, 안팎이 주색(朱色)으로 된 것은 진실로 그 이치인 것이다. 저 밖이 흑색이라고 주장하는 설(說)은 참으로 억측(臆測)의 의론인 것이다."

하였다.

【그림】

 응(應) 응(應)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12면

  • [註 169]
    《예도(禮圖)》 : 《주례도(周禮圖)》.

◎ 應

《樂書》云: "小鼓, 謂之應, 所以應大鼓所倡之聲也。 《周官》: ‘應如桶, 而方六尺五寸, 中象柷, 有椎連底左右, 相擊以應柷也。' 《禮圖》: ‘其形正圓, 而內外皆朱。' 《唐樂圖》《大周正樂》, 皆外黑內朱, 然以理推之, 木之爲物, 含陽於內, 南方之火所自以藏也, 故應以木爲之, 而內外朱焉, 固其理也。 彼特外黑之說, 眞臆論歟!"

【그림】

 應

  • 【태백산사고본】 40책 128권 22장 A면【국편영인본】 5책 21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