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료열람
부가열람
소개
실록마당
명ㆍ청실록
사이트맵
도움말
English
검색
조선왕조실록
통합(명/청실록)
자동완성 닫기
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왕대
권별
태조-철종
태조실록
정종실록
태종실록
세종실록
문종실록
단종실록
세조실록
예종실록
성종실록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인종실록
명종실록
선조실록
선조수정실록
광해군중초본
광해군정초본
인조실록
효종실록
현종실록
현종개수실록
숙종실록
숙종보궐정오
경종실록
경종수정실록
영조실록
정조실록
순조실록
헌종실록
철종실록
고종-순종
고종실록
순종실록
순종실록부록
백언(白彦)
검색결과
검색어
백언(白彦)
: 총 127건
국역
(69)
원문
(58)
목록정렬
정렬
시대순
정확도순
확인
목록개수
10개
50개
100개
확인
전체 (69)
태조 (1)
세종 (67)
성종 (1)
1. 태조실록 4권, 태조 2년 10월 19일 신묘 2번째기사 / 왜구 40여 명을 죽인 이성 만호 이귀철에게 의복과 술을 하사하다
서북면 체복사(西北面體覆使) 장원경(張元卿)이 보고하였다. "이성 만호(泥城萬戶) 이귀철(李龜鐵)이 왜구(倭寇)를 쳐서 적의 머리 40여 급(級)을 베었습니다." 임금이 기뻐하여 즉시 첨절제사(僉節制使)
백언
린(
白彦
麟)을 시켜 가서 귀철(龜鐵)에게 의복·술·내구마(內廐馬)를 내려 주고, 이내 원경(元卿)에게도 의복과 술을 내려 주게 하였다.
2.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2월 15일 기묘 2번째기사 / 명나라 사신 윤봉과 내사
백언
등이 오고 있다고 보고 받다
평안도 감사가 치보하기를, "사신 윤봉(尹鳳)과 내사(內史)
백언
(
白彦
) 등이 경성두목(京城頭目) 지휘(指揮) 장용(張勇)과 홍려시(鴻臚寺) 서반(序班) 최진(崔眞) 등 18인을 데리고 칙서(勅書)와 상으로 주는 물품 40상자를 가지고 옵니다." 하였다.
3.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2월 15일 기묘 4번째기사 / 의주에 가서 사신을 마중하게 하다
명을 내려 수원(水原)에 있는 사신
백언
(
白彦
)의 본집을 수리하고, 윤중부(尹重富)와
백언
의 친형 백용(白龍)에게 의복과 갓과 신을 내리고, 의주(義州)에 가서 사신을 마중하게 하였다.
4.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3월 12일 병오 1번째기사 / 명나라 사신 윤봉과
백언
을 임금이 모화루에 거둥하여 맞이하며 칙서를 받들다
사신 윤봉(尹鳳)과
백언
(
白彦
)이 서울에 들어왔다. 임금이 세자와 문무 백관을 거느리고 모화루에 거둥하여 칙서를 맞이하여 경복궁에 들어와서 의식대로 예를 행하고, 궁문 밖에 채붕(綵棚)을 매었다. 그 칙서에 이르기를, "황제는 조선 국왕 이 아무에게 칙서로 이르노라. 내가 삼가 하늘의 명을 받들어 황제의 자리를 계승하였는데, 왕은 여러 번 사신을 보내어 표 문과 방물을...
5.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3월 13일 정미 2번째기사 / 윤봉과
백언
이 각각 임금·중궁·세자에게 단자 등을 진상하다
윤봉이 단자(段子) 2필, 양(羊) 7마리, 여지(荔枝) 1항아리, 단향(檀香)과 사리(沙梨) 3항아리, 금귤전(金橘煎) 1항아리를 올리고, 중궁에게 단자 2필과, 세자에게 단자 1필을 올리었다.
백언
은 단자 4필, 나(羅) 1필, 견(絹) 5필을 올리고, 중궁에게 단자 3필, 나 1필, 견 4필과, 세자에게 단자 2필, 나 1필, 견 3필을 올리었다.
6.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3월 16일 경술 2번째기사 /
백언
의 어머니에게 옷과 신 등을 내리다
백언
(
白彦
)의 어머니에게 능단(綾段)·나주(羅紬), 모시로 지은 옷 3벌, 속옷[褻服] 2벌, 신과 띠를 내렸다.
7.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3월 17일 신해 3번째기사 / 명나라 사신들이 요구하는 물건을 석등잔 외에는 모두 주라고 명하다
백언
(
白彦
)이 초립(草笠)·활집[弓鞬]·화살통[矢服]·큰화살[大箭]을 요구하므로, 명하여 이를 주고, 서반(序班) 최진(崔眞)이 각궁(角弓)·마전(磨箭)·큰화살[大箭]·표지(表紙)·행기(行器)·침석(寢席)·유둔(油芚)·해채(海菜)·청어(靑魚)·큰 석등잔[石燈盞]을 요구하니, 명을 내리어 석등잔 이외에는 모두 주게 하였다.
8.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3월 19일 계축 3번째기사 / 명나라 사신 윤봉과
백언
이 요청한 물건을 주도록 명하다
윤봉(尹鳳)은 홍전피화(紅猠皮靴)를 요청하고,
백언
(
白彦
)은 동촉대(銅燭臺)·동관(銅鑵)·동석관분(銅錫盥盆)·동반(銅盤)을 요청하니, 모두 주도록 명하였다.
9.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3월 26일 경신 6번째기사 / 사신이 큰 수달피와 도련지를 요청하니 주도록 명하다
윤봉이 큰 수달피[海獺皮]를 요청하고,
백언
(
白彦
)이 도련지(擣鍊紙)를 요청하니, 모두 주도록 명하였다.
10.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4월 2일 을축 2번째기사 / 우대언 김맹성이 두 사신에게 문안하다
우대언 김맹성(金孟誠)이 두 사신에게 문안하니,
백언
(
白彦
)이 말하기를, "형 백중량(白仲良)과 아우 백인우(白仁雨)와 조카 김기(金琦)와 숙부 황보경(黃補敬) 등을 데리고 돌아가서 어버이를 뵙도록 하고 싶은 마음은 간절하나, 아마 벼슬을 하고 있는 사람이 있을지 몰라서 감히 청하지 못하오." 하므로, 맹성이 이 말을 계하니, 임금이 중량 등에게 명하여 역마를 타고 따라가게...
11.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4월 4일 정묘 1번째기사 /
백언
이 수원부로 어버이를 뵈러 가니, 권진 등에게 전송하게 하다
백언
(
白彦
)이 수원부(水原府)로 어버이를 뵈오러 가니, 윤봉(尹鳳)이 한강(漢江)에서 전송하였다. 임금이 접반사 찬성 권진(權軫)·참찬 최윤덕(崔潤德)·좌대언 조종생(趙從生) 등에게 명하여 가서 전송하게 하니,
백언
이 말하기를, "대궐에 들어가서 하직하는 예(禮)를 행했어야 옳을 것을, 다만 전하께서 수고하실까 염려스럽고, 또 갔다가 돌아오는 것이 멀지 않은 까...
12.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4월 9일 임신 2번째기사 / 총제 이징석을 보내
백언
에게 내온을 대접케 하다
총제 이징석(李澄石)을 보내어
백언
(
白彦
)에게 내온(內醞)을 대접하게 하였다.
13.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4월 17일 경진 2번째기사 / 명나라 사신에게 참찬 허조·판서 정진 등을 보내 연회를 베풀다
백언
(
白彦
)이 수원(水原)에서 돌아오니, 윤봉(尹鳳)이 한강(漢江)에서 영접하였다. 임금이 참찬 허조(許稠)·판서 정진(鄭津)·좌대언 조종생(趙從生) 등을 보내어 연회를 베풀어 그들을 위로하게 하였다.
14.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4월 21일 갑신 5번째기사 /
백언
에게 광견 40필을 마포로 교환해 주고 10필을 더 주게 하다
백언
(
白彦
)이 광견(廣絹) 40필로 마포(麻布)를 교환하고자 하니, 제용감(濟用監)에서 그 견(絹)을 수납하고 마포(麻布) 40필로써 교환하여 주었는데,
백언
이 10필을 더 주기를 청하니, 명하여 주게 하였다.
15.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4월 26일 기축 3번째기사 /
백언
이 수원의 어버이를 뵙고자 하니 총제와 지신사를 보내어 머물게 하다
백언
(
白彦
)이 또 수원(水原)으로 돌아가 어버이를 뵈옵고자 하니, 임금이 총제 원민생(元閔生)과 지신사 곽존중(郭存中)을 보내어 머물게 하였다.
백언
이 대답하기를, "자식으로서 평상시에 비록 2, 3일 동안 어버이를 떠나 있어도 오히려 어버이를 생각하는 마음이 그치지 않는 법인데, 하물며 나는 젊을 때에 〈중국에〉 입조하여 이제는 벌써 25년이나 되었소. 그 간 ...
16.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4월 28일 신묘 1번째기사 /
백언
의 청으로 관직을 받은 이들에게 고신을 속히 주고 부채를 주라고 명하다
좌부대언 김자(金赭)에게 명하여 두 사신에게 문안하게 하니,
백언
(
白彦
)이 말하기를, "전하의 덕을 입어 나의 족친은 이미 관직을 받았는데도, 고신(告身)이 나오지 않으니, 청컨대 번거롭게 계달하지 말고 사무를 맡은 관원으로 하여금 속히 내어 주도록 하시오." 하니, 김자가 말하기를, "우리 조정의 법은 고신을 서경(署經)할 즈음에, 전직이 있는 사람은 반 드시 전직을...
17.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5월 15일 무신 1번째기사 /
백언
이 수원부로 어버이를 뵈러 가니 최윤덕 등에게 한강에서 전송하게 하다
백언
(
白彦
)이 수원부(水原府)로 어버이를 뵈러 가니, 윤봉(尹鳳)이 이태원(利太院)에서 위로하여 보내었다. 참찬 최윤덕(崔潤德)·병조 판서 이발(李潑)·좌대언 조종생(趙從生) 등을 명하여 한강(漢江)에서 전송하게 하였다.
18.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5월 20일 계축 2번째기사 /
백언
의 어머니에게 미두 20석을 내리다
백언
(
白彦
)의 어머니에게 미두(米豆) 20석을 내리었다.
19.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5월 24일 정사 2번째기사 / 동지총제 김소를
백언
의 집에 보내어 궁온을 대접하게 하다
동지총제 김소(金素)를
백언
(
白彦
)의 집에 보내어 궁온(宮醞)을 대접하게 하였다.
20.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6월 7일 기사 1번째기사 / 동지총제 조모로 하여금
백언
의 집에 궁온을 접대하게 하다
동지총제 조모(趙慕)를 보내어
백언
(
白彦
)의 집에 궁온(宮醞)을 접대하게 하였다.
21.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6월 16일 무인 2번째기사 / 마른 고등어 2궤짝과 곤쟁이젓 2항아리를 영접 도감에 보내다
마른 고등어[古道魚] 2궤짝[櫃]과 어린 오이[童子瓜]와 섞어 담근 곤쟁이젓[紫蝦醢] 2항아리를 영접 도감에 보냈으니,
백언
(
白彦
)이 〈이것을〉 진헌하고자 한 때문이었다.
22.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6월 19일 신사 3번째기사 / 수원에서 돌아오는
백언
을 한강에서 맞이하여 위로하는 잔치를 베풀게 하다
사신
백언
(
白彦
)이 수원(水原)에서 돌아오므로, 찬성 권진(權軫)·판서 정진(鄭津)·대언 김자(金赭)를 보내어 한강(漢江)에서 맞이하여 위로하는 잔치를 베풀게 하였다.
23.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6월 20일 임오 1번째기사 / 사신
백언
에게 경회루에서 다례를 행하고 토표피 2장을 주고 온짐연을 베풀다
사신
백언
(
白彦
)이 와서 뵈오니, 임금이 인도하여 경회루(慶會樓)로 들어가서 다례(茶禮)를 행하였는데, 토표피(土豹皮) 2장을 증정(贈呈)하고 이내 온짐연(溫斟宴)을 베풀었다.
24.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6월 21일 계미 1번째기사 / 민여익·조대림·송거신·변계량·조질·이수·이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민여익(閔汝翼)을 대광 보국(大匡輔國) 여천 부원군(驪川府院君)으로, 조대림(趙大臨)을 대광 보국(大匡輔國) 평양 부원군(平壤府院君)으로, 송거신(宋居信)을 보국(輔國) 여산...경창부 윤(慶昌府尹)으로 삼고
백언
(
白彦
)의 아버지 백용(白龍)에게 예빈 소윤(禮賓少尹)을, 조부 백수(白守)에게는 군기 판관(軍器判官)을, 증조(曾祖) 백환(白桓)에게는 사재 주부(司宰注簿)를 추증하고...
25.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6월 23일 을유 1번째기사 /
백언
과 두목에게 옷 등을 하사하니, 임금·중궁·세자에게 답례품을 올리다
지신사 곽존중(郭存中)을 보내어 사신
백언
(
白彦
)에게 여름 옷 한 벌, 화투(靴套)·세저포(細苧布)·세마포(細麻布) 각 20필, 인삼(人蔘) 30근, 만화 침석(滿花寢席)·만화 방석(滿花方席) 각 6장(張), 석등잔(石燈盞) 1개를 증정하니, 세저포(細苧布) 9필, 세마포(細麻布) 18필을 회증(回贈)하고, 중궁(中宮)에게 세저포 7필, 세마포 14필을 회증하고, 세자(世子)에게 세저포 6필, 세마포...
26.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6월 23일 을유 2번째기사 / 내관 이귀를 보내
백언
에게 별선을 대접케 하다
내관 이귀(李貴)를 보내어
백언
(
白彦
)에게 별선(別膳)을 대접하게 하였다.
27.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6월 25일 정해 1번째기사 /
백언
이 하직을 고하니 근정전에서 다례를 행하고 위로케 하다
백언
(
白彦
)이 대궐에 들어가 하직하니, 임금이 근정전(勤政殿)으로 맞아들여 다례(茶禮)를 행하였다.
백언
이 돌아가매 지신사 곽존중(郭存中)에게 명하여 태평관(太平館)에 가서 그를 위로하게 하였다.
28. 세종실록 32권, 세종 8년 6월 26일 무자 1번째기사 / 세자 및 문무 군신을 거느리고 모화루에 행차하여
백언
을 전송하다
임금이 왕세자 및 문무 군신을 거느리고 모화루(慕華樓)에 행차하여,
백언
(
白彦
)을 전송(餞送)하고 내구마(內廐馬) 1필을 증정하였다. 좌의정 이직(李稷)·형조 판서 정진(鄭津)·지신사 곽존중(郭存中)에게 명하여 벽제관(碧蹄館)에서 전송(餞送)하도록 하였다.
29. 세종실록 33권, 세종 8년 8월 25일 병술 2번째기사 /
백언
의 친척이라 사칭하고 직임을 청탁한 황보경을 참형에 처하게 하다
의금부에서 계하기를, "황보경(黃補敬)이
백언
(
白彦
)의 가까운 친척이라 사칭하고, 또 천인(賤人)의 신분으로서 산원(算員)이라 속이고
백언
등에게 청탁하여 등급을 뛰어 넘어 직임을 받았으며, 송사하던 노비(奴婢)도
백언
과 동종(同宗)이라 사칭하고
백언
에게 부탁하여 이를 계달하여 형조에 내렸으니, 형률에 의하여 응당 참형에 처하여야 합니다." 하니, 그대로 따랐다.
30. 세종실록 35권, 세종 9년 3월 23일 신해 2번째기사 / 진하사 운성군 박종우가 북경에서 돌아오다
진하사(進賀使) 운성군(雲城君) 박종우(朴從愚)가 북경에서 돌아와서 계하기를, "창성(昌盛)·윤봉(尹鳳)·
백언
(
白彦
) 세 사신이 와서, 4월 초4일에 압록강을 건넜습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초상(初喪)에 사람을 시켜 처녀(處女)를 구하니 뜻이 실로 급급하도다. 지금까지 거느리고 돌아가지 않는 것은 아마도 중국에서 상기(喪期)를 마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겠는가."...
31. 세종실록 35권, 세종 9년 3월 24일 임자 2번째기사 / 원접사 한성부 윤 노한이 길을 떠나다
원접사(遠接使) 한성부 윤(漢城府尹) 노한(盧閈)이 길을 떠나니, 윤중부(尹重富)·백인(白仁)에게 겹의복 각 한 벌씩을 내리고, 또
백언
(
白彦
)의 어머니에게 여복(女服) 한 벌과 신을 내렸다.
32. 세종실록 35권, 세종 9년 3월 24일 임자 3번째기사 / 윤봉·
백언
두 사신의 본가를 수리케 하고 접대함에 만반을 기하게 하다
경기·황해도 감사에게 전지하기를, "윤(尹)·백(白) 두 사신의 본가(本家)를 수리하고, 영접하고 접대하는 모든 일을 전의 규정에 비하여 소홀함이 없도록 하라." 하였다.
33. 세종실록 35권, 세종 9년 3월 28일 병진 3번째기사 / 고 목사 허반석의 집을 수리하여
백언
의 모친을 거처시키고 공급 노비 등을 내리다
찬성(贊成) 권진(權軫)과 판서(判書) 허조(許稠)가 계하기를, "
백언
(
白彦
)이 수원(水原)을 내왕하므로, 다만 수원만 농사를 폐지할 뿐 아니라 가까운 각 고을에도 모두 그 해를 받게 되니, 청컨대 그 어머니를 서울로 불러 집을 주신다면 한 도(道)의 폐해를 덜 수 있을 것이며,
백언
도 또한 서울 집을 얻은 것을 기뻐할 것입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연전(年前)에 굳이...
34.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4월 8일 병인 1번째기사 / 명나라의 세 사신들의 동향에 관해 원접사 이맹균이 보고하다
원접사(遠接使) 이맹균(李孟畇)이 급히 보고하기를, "이번 4월 초2일에 창(昌)·윤(尹)·백(白) 세 중국 사신이 의주(義州) 송산(松山) 반야사(般若寺)를 유람하였는데, 창성(昌盛)이 최치운(崔致雲)에게 말하기를, ‘금강산(金剛山)을 가 보고자 하는데 경기(京畿)에서 며칠 노정인가.’ 하니, 치운이 답하기를, ‘대엿새 노정이라.’ 하기에, 신이 이것을 듣고 치운에게 이르기를,...
35.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4월 21일 기묘 1번째기사 / 명나라 사신이 입국하니, 모화루에서 칙서를 맞이하고 경복궁에서 예를 거행하다
중국 사신 창성(昌盛)·윤봉(尹鳳)·
백언
(
白彦
)이 입국하였다. 임금이 왕세자 이하 문무 여러 신하를 거느리고 모화루(慕華樓)에 거둥하여 칙서를 맞이하고, 경복궁에 이르러 의식대로 예를 거행하였다. 성문(城門)과 종루(鍾樓) 및 교량(橋梁)에다 모두 채색 비단을 매고, 궁성문 밖에 채붕(綵棚)을 매고 여러가지 놀이를 베풀었다. 그 칙서에 이르기를, "칙서가 도착되거든 왕은...
36.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4월 21일 기묘 2번째기사 / 지신사 정흠지를 보내 사신에게 겹옷 한 벌씩을 주게 하다
지신사 정흠지(鄭欽之)를 보내어 창(昌)·윤(尹)·백(白) 세 사신에게 겹옷 각 한 벌과 두목 최진(崔眞) 등에게도 각각 옷 한 벌씩 주었다.
37.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4월 23일 신사 1번째기사 /
백언
이 허반석의 집에서 모친을 만나니 예빈시 주최로 잔치를 베풀어 주다
사신
백언
(
白彦
)이 그의 모친을 허반석(許盤石)의 집에서 보게 되니, 예빈시(禮賓寺)의 주최로 잔치를 베풀고 그의 모친 및 가족을 위로하였다.
38.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4월 23일 신사 2번째기사 /
백언
이 모친에게 부인복 및 쌀 등을 내리다
언(彦)의 모친에게 부인복 및 쌀·술·소금·간장·생선·쇠고기를 내렸다.
39.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4월 24일 임오 3번째기사 / 세 사신이 임금·중궁·동궁에게 물건을 바치다
창성(昌盛)은 단자(段子) 2필, 깁[羅] 1필, 갈자(褐子) 1필, 모우미(旄牛尾) 1봉(封)을, 윤봉은 직금(織金) 1필, 단자(段子) 3필, 분색사종(粉色沙鍾) 하나를,
백언
은 직금(織金)...단자(段子) 3필, 분색사종(粉色沙鍾) 하나를,
백언
은 직금(織金) 1 필, 단자(段子) 3필, 광견(廣絹) 4필, 도라면(兜羅綿) 1필, 자로령(紫鷺翎) 1봉, 화불(畫佛) 3축(軸)을 올리고, 중궁에게 창성(昌盛)은 단자(段子)...
40.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4월 28일 병술 1번째기사 / 세 사신을 청하여 편전에서 다례를 행하다
세 사신을 청하여 편전(便殿)에서 다례(茶禮)를 행하고 처녀들을 다시 가리게 하였다. 창(昌)·백(白) 두 사신은 사관으로 돌아가고, 윤봉(尹鳳)은 아우 윤중부(尹重富)의 집으로 가서 오랫동안 유련(留連)하였다가 돌아와서 예궐(詣闕)하여 사례하니, 중부(重富)에게 말을 내려 주고, 임금이 〈윤봉을〉 맞아들여 다례(茶禮)를 행하고 초구(貂裘) 및 활과 화살을 넣은 활집과...
41.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5월 6일 계사 3번째기사 /
백언
이 성묘하러 수원으로 가니, 권진 등을 보내 한강루에서 위로하다
백언
(
白彦
)이 부친의 뫼에 성묘하러 수원으로 가매, 창성(昌盛)이 한강까지 배웅하고, 찬성 권진(權軫)·호조 판서 안순(安純)·좌대언 김맹성(金孟誠)을 명하여 한강루(漢江樓)에서 위로하여 보내었다.
42.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5월 10일 정유 1번째기사 / 동지총제 송희미를 보내 수원에 있는
백언
에게 선온을 내리다
동지총제 송희미(宋希美)를 보내어 선온(宣醞)을 가지고 수원(水原)에 가서
백언
(
白彦
)을 위로하게 하였다.
43.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5월 10일 정유 2번째기사 /
백언
이 청한 대로 관곽을 만들어 주다
백언
이 그 모친을 위하여 생초(生綃) 1필을 가지고 관곽(棺槨) 판자를 사 달라고 경기 감사에게 요구하매, 감사가 그 뜻으로 아뢰니, 임금이 귀후소(歸厚所)에 명하여 관곽을 만들어 칠까지 해서 주게 하였다.
44.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5월 13일 경자 1번째기사 /
백언
이 수원에서 오니 권진 등을 보내 한강루에서 맞이하여 위로 잔치를 하다
백언
(
白彦
)이 수원(水原)에서 오는데, 찬성 권진(權軫)·공조 참판 이천(李蕆)·좌대언 김맹성(金孟誠)을 명하여 한강루(漢江樓)에서 맞이하여 잔치로 위로하게 하였다.
45.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5월 14일 신축 2번째기사 /
백언
이 예궐하니 근정전에서 다례를 행하다
백언
(
白彦
)이 예궐(詣闕)하니, 근정전에 맞아들이어 다례(茶禮)를 행하였다.
46.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5월 17일 갑진 2번째기사 / 창성과
백언
이 금강산 구경하러 강원도로 향하니 한성부 윤 노한으로 접반사를 삼다
사신 창성(昌盛)과
백언
(
白彦
)이 금강산을 구경하려고 강원도로 향하니, 한성부 윤 노한(盧閈)으로 접반사(接伴使)를 삼았다. 윤봉(尹鳳)이 흥인문(興仁門) 밖에서 배웅하고, 임금도 또한 좌의정 황희(黃喜)·호조 판서 안순(安純)·좌대언 김맹성(金孟誠)을 명하여 전송하게 하였다.
47.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5월 19일 병오 2번째기사 / 총제 이징석으로 하여금 금강산에 가서 창성·
백언
을 위로하게 하다
총제 이징석(李澄石)을 보내어 선온(宣醞)을 가지고 금강산(金剛山)에 가서 창(昌)·백(白) 두 사신을 위로하게 하였다.
48.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5월 21일 무신 5번째기사 / 수원부에 관노비 10호를 주라고 명하다
명하여 수원부(水原府)에 관노비(官奴婢) 10호(戶)를 주게 하였으니,
백언
(
白彦
)이 수원(水原)을 자기의 본향이라 하여 관호(官號)를 높여 달라 하였으나, 관호가 원래 높으므로 노비로써 청을 막은 것이었다.
49.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5월 21일 무신 6번째기사 / 창성과
백언
이 금강산을 구경하다
창성(昌盛)과
백언
(
白彦
)이 금강산에 이르러 표훈사(表訓寺)에서 유숙하고, 산에 올라 바다를 바라보며, 여러 절들을 유람하고 사흘 동안 머물면서 부처에게 공양하고 중들에게 식사를 대접하였다.
50. 세종실록 36권, 세종 9년 5월 22일 기유 2번째기사 /
백언
과 창성이 청한 안장을 주게 하다
백언
(
白彦
)이 안장 2벌을 청하고, 창성(昌盛)도 3벌을 청하니 모두 주라고 명하였다.
1
2
결과 내 검색
결과 내 검색
문자입력기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