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조실록22권, 정조 10년 8월
-
- 경모궁에 전배하다
- 심이지가 김귀주에게 쌀과 베를 지급하라는 명을 거행 못하겠다고 하다
- 영중추부사 김상철이 치사를 청하나 허락하지 않다
- 칙사를 접대하는 규식을 도감으로 하여금 단속하도록 하다
- 이성규·박천형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서리 피해를 입은 갑산의 백성들을 특별히 돌보도록 하다
- 칙사 접대 문제에 대해 하교하다
- 금군에게 가을 분기의 활쏘기 시험을 보이다
- 동돈녕 이병정의 상소
- 이도묵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삼다
- 정존겸이 흉년에 진휼하는 밑천으로 공명첩을 발행하도록 아뢰다
- 이한풍·신철·정호인·윤방·이의행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추도기 유생에게 강경과 제술 시험을 보이다
- 경기 고을의 공납을 감해주다
- 영돈녕 홍낙서의 치사를 청하는 상소
- 종묘에 전배하고, 경모궁에서 희생과 제기를 살펴보다
- 풍운뇌우제의 해당 전령의 관원을 추고하다
- 영돈녕 홍낙성이 치사하겠다고 청하나 반대하다
- 단군의 묘소를 수리하고 수호할 호구를 두다
- 대사헌 윤방이 의관 처벌과 대사헌 처벌에 대해 상소하다
- 양사에서 김귀주를 도류안에서 지우지 말고, 그 처자도 귀양 보내도록 청하다
- 이정집의 사건을 양사에서 청한대로 처리하다
- 이정집을 귀양보내고, 세 의관은 국문하지 말도록 명하다
- 민회묘의 수리를 명하다
- 대신과 삼사가 이정집을 귀양보내지 말도록 청하나 반대하다
- 차대하다
- 심풍지·김우진·홍양호·유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승지 이재학 등이 이정집을 귀양보내는 전지를 반납하니 모두 체차하다
- 영의정 정존겸의 사직을 허락하지 않다
- 대신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정집을 경원부로 귀양보내다
- 경상도 관찰사 정창순이 농사 작황에 대한 장계를 올리다
- 유의·조시위·김우진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동지돈녕부사 이병정의 정조 즉위년 옥사에 대한 상소
- 기예를 시험하는 규식을 정하다
- 송영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충청도의 부역을 조금 감해주도록 하다
- 선원전에서 작헌례를 거행하다
- 전 현감 조시완 등 51명이 이병정과 대질을 원하나 윤허하지 않다
- 조시준을 파직하다
- 이병정을 장성부로 귀양보내다
- 평안도 관찰사 조준이 중국의 두 칙사 행차에 대해 보고하다
- 춘당대에서 금군에게 활쏘기를 시험보이다
- 정일상을 호조 판서로 삼다
- 영의정 정존겸이 해직을 청하나 윤허하지 않다
- 칙사가 의주부에 도착하다
- 김이소를 형조 판서로 삼다
- 예조 판서 이재간이 칙사를 맞이하는 때의 의복에 대해 아뢰다
- 혼궁에 가을 제향을 행하다
- 대궐로 돌아오다
- 차대하다
- 김상집을 경상도 관찰사로 삼다
- 영의정 정존겸이 해직을 청하나 허락하지 않다
- 심유진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삼다
- 영남 도백 추천에 대한 문제
- 봉화를 피우지 않은 원인을 보고하지 않은 구세직을 처벌하다
- 윤승렬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삼다
- 김귀주 문제에 대해 삼사의 청을 받아들이지 않다
- 조시준을 철원 부사에 보임하다
- 이문원이 영릉의 보토 공사가 끝났음을 보고하다
- 홍명호를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김귀주의 처자를 귀양보내고 김귀주를 도류안에서 지우라고 한 명을 거두다
- 지평 이우진, 정언 엄사헌의 김귀주 문제에 대한 차자
- 이양직이 조부의 억울함을 호소한 문제에 대해 논의하다
- 윤득부를 논핵하는 계사에 대한 대사헌 윤승렬의 상소
- 정창순, 서유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김인후의 문묘 배향을 윤허하지 않다
- 차대하다
- 봉수를 신중히 하지 않은 충청 수사 이연필을 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