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종실록226권, 성종 20년 3월
-
- 예조에서 유생 임세필의 응시 자격을 영구히 제한할 것을 건의하다
- 직제학 이창신이 자신의 형신을 청하다
- 병조 판서 허종이 직접 강원도의 병기를 살펴 보겠다고 하다
- 자신의 억울함을 풀어주기를 청하는 직제학 이창신의 상소문
- 유생 이옹의 과거 응시를 허락해 주다
- 강원도 관찰사 이육이 울진현 산성의 위치를 그대로 둘 것을 건의하다
- 정조사 신주가 북경에서 돌아오다
- 월산 대군 이정을 고양에 장사지내다
- 직제학 이창신이 사직장을 올리다
- 훈련원에 기영연을 내려주다
- 홍문관에 상춘연을 베풀어주다
- 궐문에 익명서가 날아오다
- 정언 조구 등과 유자문의 장리안 문제와 기타 문제를 논의하다
- 대사간 안호가 자기 휴가에 공관을 사용하게 해 줄 것을 청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석강에 나아가다
- 영사 홍응이 이창신의 소송을 끝까지 추국할 것을 건의하다
- 이창신 등의 추안을 홍응 등에게 보이며 추핵할 단서를 찾아 보라고 요구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영돈녕 이상과 의정부 등을 불러 권덕영 아내의 죄를 의논하게 하다
- 석강에 나아가다
- 인수 왕대비를 문안하다
- 지평 권자후 등이 유자문을 장안에서 삭제함이 옳지 못함을 간언하다
- 생원 김언평 등과 진사 김천령 등을 선발하다
- 권덕영의 아내에게 사약을 내리도록 하다
- 전의감 제조가 의서 습독관을 권장할 절목을 보고하다
- 상참을 받다
- 명조에서 조선 사신을 전송하는 일과 유자문의 장안 삭제 문제를 영사 노사신 등과 의논하다
- 일본국에서 사람을 보내 토산물을 바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심회 등과 대관 종무승의 글이 공순하지 못함에 대하여 논의하다
- 예조에서 종정국 특송 직선이 수로를 이용하는 것을 허락해 줄 것을 건의하다
- 송철산·강백진·정괄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석강에 나아가다
- 상참을 받다
- 경연에 나아가다
- 좌승지 이계남을 보내 월산 대군의 묘에 제사를 지내게 하다
- 홍문관에 명하여 《성리대전》의 주석을 달게 하다
- 심회 등에게 황주 관사를 이전하는 문제를 의논하도록 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석강에 나아가다
- 상참을 받다
- 경연석에서 정랑 김응기가 사십팔성도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다
- 춘추관에 십이율이 중간에 폐해진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아버지를 가서 뵙기를 청하는 군기시 정 김심의 상소문
- 석강에 나아가다
- 상참을 받다
- 지평 권자후가 선공감 정 안우삼의 승진이 부당함을 주장하다
- 의정부에 법률 적봉을 너그럽고 공평하게 하도록 지시하다
- 이창신에게 장 80대를 속바치도록 하다
- 문신의 활쏘기 시험을 다시 시작하도록 하다
- 직제학 이창신이 사직을 청하다
- 의정부에서 죄수 구휼을 시행할 것을 건의하다
- 호조에서 제주의 노비 공포를 말 번식 등에 활용할 것을 건의하다
- 상참을 받다
- 경연이 파하고 정랑 김응기 등이 국정에 관한 의견을 건의하다
- 도제조가 있는 제사를 제외하고는 정1품 관원을 제조를 삼지 못하도록 하다
- 강원도 관찰사 이육이 통전의 세금을 양양부에서 받도록 해 주기를 청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의정부에 풍속을 개혁할 대책에 힘쓰도록 지시하다
- 재상과 대간의 중요한 보고 사항은 문서화하도록 하다
- 호조에서 평안도의 강계성에 철과 문비를 설치할 것을 건의하다
- 석강에 나아가다
- 생원과 진사 합격자에게 증서를 수여하다
- 승정원에 서울에서 발생하는 민폐를 살피도록 하다
- 경차관 이의가 충청도에서 돌아와 수적을 방비할 대책 등을 건의하다
- 의정부에서 죄가 가볍고 사정이 딱한 자는 석방해 줄 것을 건의하다
- 의정부 등에 명하여 죄가 가볍고 딱한 사정이 있는 자를 선별하도록 하다
- 의정부에서 이창신을 논죄하여 처단할 것을 건의하다
- 예종의 상궁 기씨가 죽다
- 대사헌 홍귀달의 아비가 죽자 그에게 말을 주고 본도 감사에게 부의하도록 지시하다
- 예조에서 선왕 상궁이 죽었을 경우에 고취를 중지하는 경우가 없음을 보고하다
- 인수 왕대비를 문안하다
- 지평 권자후가 혜민서 교수 조평 등의 관직 개정을 건의하다
- 의정부에서 이창신의 논죄를 건의하다
- 사복시 제조 이철견이 영돈녕 윤호의 개차가 부당함을 호소하다
- 호조에서 새로운 화폐를 제조할 것을 건의하다
- 박숭질·송영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도승지 한언 등을 불러 이창신 문제를 의논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석강에 나아가다
- 장령 정미수가 장례원의 겸 판결사를 혁파할 것을 건의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일본국에서 사람을 보내 토산물을 바치다
- 장례원의 겸 판결사를 혁파하도록 하다
- 석강에 나아가다
- 장령 이종윤이 이창신의 논죄를 건의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육조와 한성부 당상관을 불러 이창신의 일을 의논하게 하다
- 영안북도 절도사 하숙부가 지경을 넘어 성을 쌓지 말 것을 건의하다
- 석강에 나아가다
- 이말이 만든 격수 기계를 시험해 보도록 하다
- 대사헌 송영 등과 사복시 제조 윤호의 직책에 대하여 논의하다
- 축성 순찰사 허종에게 일을 빨리 끝내고 올라오도록 전지하다
- 주강에 나아가다
- 임사홍에게 월산 대군의 신도비명을 짓도록 하다
- 국기일이다
- 경연에 나아가다
- 승정원에 전교하여 의관 제도를 바로 잡도록 하다
- 우승지 김극검이 성절사 조익정의 보단과 응대 사목을 보고하다
- 석강에 나아가다
- 상참을 받다
- 대사헌 송영이 도총부 낭청 김사지 등을 바꾸도록 건의하다
- 장련 현감 박지번이 사조하다
- 이조 참판 이약동이 사직을 청하다
- 승지 경준 등의 관직 제수를 이조에 명하다
- 이채·이합·이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지평 권자후가 이심의 복직을 반대하다
- 영별군장을 행차의 상례로 정하다
- 정언 조구가 청풍군 이원의 관직 제수를 취소할 것을 건의하다
- 월산 대군 이정의 부인이 말 1필을 바치다
- 승정원에 음력 9월 9일에 경연 당상관에게 잔치를 내려 주도록 하다
- 국기일이다
- 영안도 부령 무산보에 성을 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