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실록5권, 세종 1년 9월
-
- 햇무리지다
- 인정전에서 조회를 받다
- 편전에 나아가 정사를 보고 경연에 나아가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황엄과 왕현이 흥천사 부처에게 배례하고 오다
- 사헌부 장령 정연 등이 이종무 등의 처벌을 청했으나 허락치 않다
- 상왕이 흥천사의 부처 사리를 바꾼 일을 황엄에게 고하려 하다
- 사신에게 내시를 보내어 송이 버섯을 선사하다
- 햇무리지다
- 상왕이 원숙 등을 시켜 황엄에게 부처 사리를 바꾼 일을 고하다
- 태평관에 거둥하여 연회를 베풀다. 왕현이 사리 4과를 내놓다
- 사형죄를 지은 환관 홍득경과 유실을 상왕이 특별히 용서하다
- 햇무리지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사신에게 송이 버섯을 선사하다
- 사간원에서 홍득경·유실의 처벌을 청하다
- 햇무리지다
- 정사를 보다
- 사헌부 장령 정연이 김훈과 노이를 데리고 출정한 이종무의 처벌을 청하다
- 경연에 나아가다
- 종친들이 태평관에서 사신들과 연회하다
- 사간원에서 이동인·홍득경·유실의 처벌을 청하다
- 상왕이 동교에 거둥하다
- 원숙이 수강궁 문안 때 사관도 시종하게 할 것을 건의하다
- 좌정언 하결이 이종무의 잘못을 아뢰다
- 변계량이 쓴 낙천정기
- 함흥·평양의 토관과 각 종 승려들에게 관직 제수하는 해를 정하다
- 전라도 수군 도절제사가 풍랑에 선군 21명이 익사했음을 보고하다
- 병조에서 왜인 노비의 도주를 막기 위해 선박을 등록시킬 것을 청하다
- 경기도 광주·여주와 대마도에서 노획한 무기를 무기 없는 고을에 보급하다
- 햇무리지다
- 정사를 보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정부나 육조에서 의논할 때 관원 누구나 의견을 진술케 하다
- 사신에게 음식물을 선사하다
- 원숙·이수로 하여금 중외에서 올린 부처의 사리를 고르게 하다
- 사헌부 장령 정연이 이양수를 의천 군수에 제수함이 불가함을 아뢰다
- 김점이 석탑 사리의 영검함을 말했다가 부끄러워하다
- 경연에 나아가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제주도의 토지를 측량하게 하다
- 의정부에서 태평관에 가서 사신과 연회하다
- 황제가 우리가 미리 알려 주어 왜적을 소탕했다며 선군 3명을 돌려보내다
- 황엄이 문소전 내불당에서 사리들을 보다
- 황제가 돌려보낸 선군들의 명년 조세와 부역을 면제해주다
- 햇무리 지다
- 정사를 보고 경연에 나아가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황엄이 이명덕 등과 흥천사에 가서 부처 뼈와 사리를 내어 태평관으로 가다
- 왕현이 갈두봉에 놀 것을 청하니 민여익 등을 보내어 주연을 베풀다
- 경상우도 도절제사가 왜적의 구시월 침략설이 있음을 보고하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중양절이라 상왕이 두 사신을 선양정에 청하여 주연을 베풀다
- 사신에게 음식물을 선사하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백성들의 유망을 막기 위해 서로 보호하는 법을 밝히게 하다
- 황엄이 왕현에게 목멱산에 제사지내게 하다. 황엄 뇌물 수수에 대한 왕현의 불만
- 인정전에서 조회를 받다
- 편전에서 정사를 보고 경연에 나아가다
- 사신에게 음식물을 선사하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황엄이 정윤후 아들의 입조 사은을 주장했다가 철회하다
- 육조에서 태평관에 가 사신을 연회하다
- 제주의 문충덕 등이 토지 등급을 내려 정해 줄 것을 청하다
- 상왕이 낙천정에 거둥하다
- 분치해 두었던 일기주 왜적들도 노비로 만들다
- 정사를 보고 경연에 나아가다
- 황엄이 왕현을 한강정에 나가놀게 하다
- 황엄이 황씨·이씨·한씨의 본집에 가서 배알하다
- 황엄에게 초서피 백 장을 선사하다
- 사신을 청하여 인정전에서 연회하다
- 예조에서 태학에 나아가 잔 올리는 예식을 아뢰다
- 상왕이 사신들에게 저마포 등을 주고 태평관에서 전송연을 베풀다
- 내시를 보내어 노상왕에게 고기를 드리다
- 황엄이 통사를 보내어 상왕께 띠를 드리다
- 내시를 보내어 사신에게 음식물을 선사하다
- 상왕이 원숙의 노모를 위해 소고기와 산 사슴을 하사하다
- 황엄이 표전지를 요구하니 20장을 주다
- 상지를 사칭하여 물건을 훔치고 기생 봉소련과 희롱한 임승부의 죄를 말감하다
- 많은 하사품에도 불구하고 황엄이 토색해 마지 않다
- 상왕이 동교에 거둥하니, 임금이 술과 과일을 드리게 하다
- 의금부 제조 유정현 등이 임승부를 참형하기를 청했으나 곤장만 치다
- 상왕이 황엄이 준 아대의 답례로 교기 및 명주와 면포를 보내주다
- 상왕이 서울에 집을 짓지 못한 사람이 많아 소나무 벌목을 허락하다
- 태평관에 행차하여 전별연을 베풀다
- 원민생을 보내어 황제에게 사리를 진상하는 주문
- 상왕이 서강에 행차하여 노상왕을 문병하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햇무리가 지다
- 신상이 창고 물품을 손상시킨 내자시 관리에게 그 값을 징수하길 청하다
- 김점이 공·사전의 수확 실태 검사 방법에 대해 아뢰다
- 상왕은 권규, 임금은 조대림을 유후사에 보내어 사신을 위문케 하다
- 윤회에게 《고려사》를 개수해야 함을 말하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노상왕이 병세가 위중해져 인덕궁으로 돌아오다
- 유관·변계량 등에게 《고려사》의 개수를 명하다
- 대마도 수호가 신서를 보내어 항복하기를 빌다
- 대여한 군자시의 미곡을 의창처럼 환상시키게 하다
- 대마도의 항복을 받는 문제와 왜관을 짓는 문제를 의논하다
- 원숙이 권근의 문묘 종사 문제를 문신들에게 의논시킬 것을 청하다
- 인덕궁에 나아가 노상왕을 문병하다
- 강무의 정지를 명하다
- 민여익을 황주에 보내어 사신을 위문케 하다
- 경연에 나아가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전 도총제 이백온의 졸기
- 권홍을 평양으로 보내어 사신을 위문케 하다
- 햇무리지다
- 상왕이 수강궁에 승문고를 설치하다
- 광주 목사에게 양녕의 대부인 피병소 왕래를 금하지 말게 하다
- 상왕이 이명덕을 안주에 보내어 사신을 위문케 하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상왕이 인덕궁에서 노상왕을 문병하고 밤에 돌아가다
- 이순몽이 대마도 출정의 논공 행상이 불공평함을 아뢰다
- 김점이 간음죄 범한 간부에게 속전 받는 조례를 없애기를 청하다
- 유현이 홍득경·유실·이동인을 법대로 처벌할 것을 건의하다
- 윤곤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고 대마도 정벌한 2백여 명에게 상직을 주다
- 지돈녕부사 한장수를 의주로 보내어 사신을 위문하다
- 병조에서 왜적 방어를 위한 각도의 군기·병선의 점검에 대해 아뢰다
- 노상왕이 인덕궁에서 훙하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정부와 육조에 명하여 상례를 의논케 하다
- 백관과 함께 인덕궁에 나아가 곡하다
- 삼정승 및 변계량·허조가 상례를 의논하다
- 도총제 권희달과 서선을 고부 겸 청시사와 그 부사로 임명하다
- 돌아간 상왕의 습전을 올리다
- 종묘·사신 행차에 상(喪)을 고하다
- 의평군 이원생을 대리 상주로 하여 돌아간 왕의 소렴전을 올리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국장 도감과 산릉 도감의 제조들을 임명하다
- 예조와 의례 상정소에서 복제를 의논해 아뢰다
- 성복의의 의식 절차
- 수강궁에 문안하다
- 예조에서 정조 표전 보내는 예식에 대해 아뢰다
- 상왕이 수강궁이란 궁명이 송나라 광종의 궁명이었음을 지적하다
- 돌아간 상왕의 유교에 따라 첨지돈녕 김세민에게 참최를 입게 하다
- 대렴전을 거행하다
- 예조에서 모든 제향상의 좌우 협상을 없애기를 청하다
- 햇무리 지다
- 수강궁에 문안하다
- 예조에서 정조 하례 방물을 봉할 때의 의정부와 육조의 복식을 아뢰다
- 예조에서 빈전의 삭망전 친행의를 아뢰다. 의식 절차
- 섭상주의 섭행의
- 아침에 전을 드리는 의례
- 식사 때의 상식의(上食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