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120권, 영조 49년 6월
-
- 어제의 권세 위효제문을 간행·반포하라고 명하다
- 동궁의 관속을 소견하고 계유하다
- 충량과를 설행하여 거수한 이범화에게 급제를 내리다
- 민백흥·김기대를 정경에 승진·발탁시키고, 이경호를 수어사에 제수하다
- 황명인의 자손에게 쌀을, 호란 때의 충신 자손에게 지필묵을 각각 내려주다
- 동몽의 교육에 대하여 하교하다
- 경기 유학 이한운이 상소하여 헌릉의 금표 안에 보를 쌓는 일의 폐단 등을 아뢰다
- 《황화집》을 중간하라고 명하다
- 꿩·생선·참외·수박 등의 중간 조종을 막도록 하교하다
- 숙묘의 기신을 맞아 숭정전의 월대에 나아가 친히 향을 전한 뒤에 지영하다
- 황단에 나아가 4배를 행하고, 서민 등에게 쌀을 내리다
- 지평 이유철이 이한운·신귀삼을 죄줄 것 등을 청하다
- 이유철을 승지로 삼다
- 수표교에 행행하여 여경방에 들리다
- 심발을 대사헌으로 삼다
- 대신을 소견하여 신전의 상소에 대해 논의하다
- 《황화집》의 서문을 짓다
- 낙안 세선 치패의 일로, 군수 유이주를 삼수에 정배하라고 명하다
- 조영순·황승원에 대한 논계 끝에 네 글자를 첨가해 써넣다
- 화경 숙빈을 존숭하자는 여론에 대하여 논의하다
- 임희교를 대사헌으로, 심이지를 대사간으로 삼다
- 주강에 《소학》을 강하다
- 이·병비의 전최를 입시하여 개탁하다
- 대사간 이한일이 이정철을 삭판할 것을 청하다
- 창곡을 도용한 이현규를 잡아들이다
- 이한일을 대사간으로 삼다
- 이성규를 개성 유수로 삼다
- 대사간 이한일의 청에 의해 황승원의 노모에 대한 처분을 거두다
- 무신 당상에게 시사를 행하다
-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다
- 도목 정사에 임어하여 이해중을 이조 참의로, 정존겸을 지돈녕으로 삼다
- 새로 제수한 사람들의 사은을 친히 받다
- 대사간 이한일이 정우순·이언일 등을 죄줄 것을 청하다
- 유성이 위성 아래에서 나와 남쪽으로 들어가다
- 대사간 이한일이 이회수를 죄줄 것 등을 청하다
- 서북의 별부료 군관에게 시사를 행하다
- 동몽 교관에게 명하여 동몽을 데리고 입시하게 하다
- 동지 송규빈이 상소하여 존주 대의를 말하고 《방략》을 올리다
- 도승지를 체차하여 구익으로 삼다
- 친히 조귀명의 문집 서문을 짓다
-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다
- 조영진을 승지로 삼다
- 친히 동위 관례문을 제정하다
- 창의궁에 행행하여 구윤옥을 잡아 들이고, 효장묘·의소묘에 전작례를 행하다
- 연화문 밖에 나아가 향을 지영하는 예를 행하다
- 여러 신하들과 하천 준설·탕평 등 영조의 공업에 대해 이야기하다
- 숭정전의 월대에서 친히 향을 전하고, 상의원에 임어하여 어필로 여섯 글자를 쓰다
- 교리 이상건을 심리 어사로 차임하여 호남 지방을 염찰하라고 명하다
- 석우에 행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