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8권, 영조 1년 10월
-
- 경소전에서 삭제를 지내다
- 이관명이 사직하는 차자를 올리다
- 주강을 하다
- 사간원에서 전일의 계사를 거듭 아뢰다
- 형조 참판 조관빈이 사직하며 상소
- 민진원이 표류된 왜인을 돌려 보내는 것에 관해 아뢰다
- 평안도 유생 김초직 등이 토적을 청하여 상소
- 박필정·조문명·정광제·이현록·권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전민(田民)의 형옥을 관장하는 부서를 구분하도록 김흥경이 아뢰다
- 역신을 사유하여 당습의 폐단을 제거하도록 유생 윤상량이 상소
- 사헌부에서 목시룡을 처단할 것과 무과의 부정을 아뢰다
- 승정원에서 무과의 낙방자가 억울함을 호소하므로 조사하도록 아뢰다
- 의금부에서 신축년과 임인년에 복합한 사람들을 처벌하다
- 별이 오제좌로 흐르다
- 전주 순창 등지에서 지진이 일다
- 민진원이 조종을 본받을 것과 인재 등용에 관해 아뢰다
- 사헌부에서 전일의 계사를 거듭 아뢰다
- 액정서 하례를 계문않고 구속한 대장과 부장을 처벌하다
- 조문명이 연경에서 돌아와 당론을 경계하는 말을 하다
- 우의정 이관명을 다시 소환하도록 정언 정광제가 상소
- 사직하는 우의정 이관명의 상소문
- 석강을 하다
- 사간원에서 전일의 계사를 거듭 아뢰다
- 역신을 토죄할 것을 민진원 등이 간언하다
- 삼사에서 유봉휘·윤서교 문제와 액정서 하례 사건의 처분에 관해 아뢰다
- 송시열의 냉천 서원에 액호를 내리다
- 주강을 하다
- 서명구와 이완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열성조의 어필 간본을 완성한 당상관에게 상을 내리다
- 승정원에서 유봉휘를 가극하라는 전지를 거부하다
- 경소전에서 동향 대제를 지내다
- 홍석보·이현록·권변·신처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우의정 이관명이 상소하여 징토의 의리를 말하다
- 승정원과 형조 판서 김흥경을 논핵하여 대사헌 정형익이 상소
- 민진원이 액정서 하례의 교만한 행동을 억제하도록 아뢰다
- 국문을 정지시킨 일을 논핵하여 영의정 정호가 상소
- 유봉휘 등의 토죄하는 일에 관하여 전라도 유생 이만 등이 상소
- 권업·김취로·이병태·서종섭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양사 관원과 김흥경·이의현 등을 논핵한 장령 박필정의 상소문
- 정형익·유척기·황귀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붕당의 타파에 관한 동 부승지 조문명이 상소
- 권업·권변·박규문·박사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괴원 분관 때 급제자를 고의로 퇴각시킨 관원을 사간원에서 논핵하다
- 난적의 토죄·연상과 역관의 폐단에 관한 사간 이현록의 상소문
- 이재가 상소하여 실록 찬수의 명을 사양하다
- 조문명의 상소와 관련하여 민진원이 아뢰다
- 홍현보·이교학·박성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사간원에서 전일의 계사를 거듭 아뢰다
- 강화부에서 지진이 생기다
- 증광시의 전시를 행하다
- 우의정 이관명이 상소하여 실록 총재관을 사양하다
- 유봉휘 등의 토죄에 관한 전라도 유생 이만시 등의 상소문
- 종묘를 수리할 때 함춘원의 흙을 쓰게 하다
- 동전 주조용 동철로 군기를 주조하게 하다
- 민진원이 조문명의 상소와 관련하여 탕평에 관해 아뢰다
- 홍석보·조명신·황재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붕당의 타파에 관한 조덕린의 상소문
- 전라도 유생 김진태 등이 신임의 상당 건립과 액호를 청하는 상소를 하다
- 유봉휘의 죄를 바로 잡도록 평안도 진사 김초직 등이 상소
- 조덕린과 목시룡을 처단하도록 사헌부에서 아뢰다
- 강화부에 천등 번개가 치다
- 기호의 유생 이양대 등이 상소하여 정응린 부자를 포장하도록 청하다
- 신무일과 채응복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북평사를 뽑는 것을 좌의정 민진원이 아뢰다
- 장릉에 불이나서 능관을 추고하다
- 해서와 관서 지방에 충재를 근심하여 포제를 거행하게 하다
- 달이 태미 동원 좌집법성을 범하다
- 장릉의 화재로 인하여 사직을 청한 우의정 이관명의 상소문
- 장릉의 화재로 과거를 보류하는 일에 관해 예조 참판 이기익이 상소
- 과거의 보류와 인재 등용에 관한 장령 조명신의 상소문
- 민진원 등이 장릉 화재의 범인과 과거를 연기하지 않도록 아뢰다
- 제주의 증광 초시에 입격한 사람들을 정시에 응시하게 하다
- 홍치중·조명택·이병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천둥 번개가 치다
- 동궁의 교유하는 일에 관해 필선 성진령 등이 상소하다
- 삼사에서 전일의 합계를 거듭 아뢰다
- 비가 내려 과거를 연기하다
- 천둥의 이변으로 자책하는 전교를 내리다
- 승정원에서 천둥의 이변을 경계하여 공구 수성하도록 아뢰다
- 장붕익·김영행·조덕린 등을 논핵하는 대사간 이교악의 상소문
- 민진원이 김간의 소환과 세자 시강원 상소에 관해 아뢰다
- 계방의 관원 이세환과 윤봉오를 번차에 구애없이 입직시키다
- 숙위 군사에게 유의를 내리다
- 명태조의 문집이나 어필을 사온 역관 등에게 가자하다
- 사간원에서 강원도 도사 신사직의 파직을 청하다
- 민진원이 정승의 직을 사양하는 차자를 올리다
- 우의정 이관명이 정승의 직임을 사양하다
- 천둥의 이변으로 인하여 정언 임주국이 상소
- 논상을 제한하도록 대간들이 진계하다
- 별이 오거성 아래로 지나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