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7권, 영조 1년 8월
-
- 《강목》을 강독하다
- 별이 왕량성 아래로 흐르다
- 삼사에서 전일의 합계를 거듭 아뢰다
- 이삼 등을 찬배하라는 명령을 거두도록 삼사와 사헌부에서 아뢰다
- 유복명이 각사의 구류간 혁파·감옥 수리에 관해 아뢰다
- 이삼·이광좌·조태억 등의 처벌을 간하는 대사간 이의천의 상소문
- 박성로·김상원·김진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증광시와 식년시에 관하여 사간원에서 아뢰다
- 숙빈의 사당을 검소하게 영선하도록 검토관 이병태가 아뢰다
- 박치원·신무일·이유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형정의 공평함과 진휼 정책에 관한 장령 최도문의 상소문
- 성학과 조운해온 쌀 환매의 폐단에 관해 장령 조명신이 상소
- 유봉휘·조태구·최석항·이삼 등의 처벌을 간하는 봉교 신노의 상소문
- 홍문관 제학 이병상을 체직시키다
- 선공감과 병조의 유임기한을 정하도록 민진원이 아뢰다
- 김종서·황보인의 후손을 채용하다
- 이기진·신무일·김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여수 백성의 부역이 중복되는 폐단과 홍치중에 관한 이근의 상소문
- 유봉휘 등을 처벌하도록 사학 유생 이현국 등이 상소
- 예조에서 훈공을 삭제한 것을 종묘에 고하도록 아뢰다
- 유복명·김상원·신무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삼사에서 전일의 합계를 거듭 아뢰다
- 사간원·사헌부에서 전일의 합계를 거듭 아뢰다
- 별이 우림성 아래로 흐르다
- 사헌부에서 전일의 합계를 거듭 아뢰다
- 경기·충청의 유생들이 김창집 등의 사우 건립을 청하여 상소하다
- 인징 족징의 폐단을 전 첨사 이우송이 상소하다
- 병사 수사 등 군관의 남잡한 폐단을 금하도록 민진원이 아뢰다
- 식년 호적을 창의궁에 봉안하도록 홍석보가 아뢰다
- 박필주 박필정 임징하 권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조정례·이희람 등을 파직하는 일을 정계하다
- 위훈 삭거를 종묘에 고하고 반포한 교서
- 토역, 진대의 대책, 내수사의 일에 관해 박필정이 상소
- 교서 반포에 참여하지 않은 관리들을 민진원이 논핵하다
- 서종급·황재·이성룡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충청도 홍주에 암캐가 수캐로 변하다
- 유봉휘·이삼 등을 처벌하도록 대사헌 조관빈이 상소
- 민진원·윤지완·최석정 등을 배향할 것과 서원 신설을 금하게 하다
- 김창집·이이명·조태채·이건명 등의 서원 건립을 허락하다
- 진휼 문제를 암행어사에게 특별 유시하다
- 이조 참판 이재를 연석에 출입시키도록 이의현이 건의하다
- 토적의 의리를 간하는 이조 참판 이재의 상소문
- 찬선 김간이 상소하여 사직하다
- 시정의 득실과 풍속의 사치한 폐단에 관한 찬선 김간의 상소문
- 고 문무 별과를 남쪽에 설행하는 일 등을 이만이 상소
- 삼사에서 전일의 합계를 거듭 아뢰다
- 삼사에서 충청 수사 이복휴를 파직하도록 아뢰다
- 관리들이 지나치게 인혐함을 비판하여 이의현이 상소
- 고 상신 최석정이 급제한 연도를 하문하다
- 신방·서명구·한이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사간원에서 전일의 계사를 거듭 아뢰다
- 유봉휘 등을 토적하도록 경상도 유생 이도장 등이 상소
- 목청전을 중건하도록 송도의 유생 이백남이 상소
- 소대를 행하다
- 찬선 김간을 돈소하다
- 태묘의 제향을 자정전·읍화당·위선당으로 옮겨 봉안하다
- 민진원이 신연에 종묘 봉안 문제를 논의하다
- 찬선 김간을 돈소하다
- 김간이 국정에 관한 차자를 올리다
- 정호가 연제에 참석못하자 죄를 청하는 상소를 하다
- 연제가 지난 뒤 곡례를 행하는 문제를 예조에서 아뢰다
- 예조에서 국상때 백관의 상복을 병조와 호조에서 지어 주도록 아뢰다
- 예조에서 상복을 입는 규례를 말하다
- 경소전에서 연제를 행하다
- 연제의 제주관에게 상을 내리다
- 경기 감사·양주 목사 등이 군포의 탕감, 진휼책, 관무재 설행을 청하다
- 의릉에서 환궁하다가 양주의 노인을 불러 고을의 폐단을 묻다
- 《선원보략》이 완성되어 교정관에게 상을 주다
- 판윤 권성이 상소하여 치사할 것을 청하다
- 이병태·서종섭·유복명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이재가 입시하여 《맹자》의 글뜻을 해석하여 아뢰다
- 찬선 김간이 돌아갈 것을 고하다
- 아비 임형의 무고를 간하는 정언 임징하의 상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