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종실록24권, 명종 13년 2월
-
- 중국 사신을 접대할 때 성궁을 문안하는 일에 관해 논의하다
- 중국 사신의 왕래로 폐해를 입는 평안도와 황해도를 특별히 돌볼 것을 아뢰다
- 태백이 나타나고, 유성이 나타나다
- 사정전에 나아가 습의하다
- 중국 사신을 부르는 호칭에 대해 논의하다
- 평안도·황해도·경기·개성부 등의 조세를 적당히 면제하라고 명하다
- 태백이 나타나다
- 영의정 심연원 등이 중국 사신을 부르는 호칭에 대해 아뢰다
- 짙은 안개가 끼다
- 이조가 수령을 전최하는 일에 대해 아뢰다
- 김취문·이세림·목첨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수령을 권선 징악하는 일에 대해 의논하다
- 호조가 백성들의 조세를 줄이라는 명에 대해 의논하여 아뢰다
- 간원이 김취문이 사간의 직임에 적당하지 않음을 아뢰다
- 중국 사신에게 《대명회전》에 대해 말할 일을 의논하게 하다
- 중국 사신에게 《대명회전》에 대해 말할 일을 의논하다
- 문묘 석전제의 향축을 전하다
- 대신들의 논의가 공교함을 책망하다
- 안사웅·강사필·홍인경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햇무리가 지다
- 사직제의 향축을 전하다
- 햇무리가 지고, 달무리가 지다
- 달무리가 지고 양이가 있다
- 적왜의 변란이 있을 것이라는 왜인의 고변에 따라 방비를 갖추라고 명하다
- 햇무리가 지고, 무지개 같은 백기 두 가닥이 양이를 꿰다
- 조강과 주강에 나아가다
- 예조가 중국 사신에게 《대명회전》의 일을 말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아뢰다
- 경상 병사와 수사의 계본에 따라 전라도도 방비를 할 것을 의논하다
- 이인을 사헌부 지평으로, 김백균을 사간원 정언으로 삼다
- 햇무리가 지고 유성이 나타나다
- 주강과 석강에 나아가다
- 예조가 차풍례와 간가례에 대해 아뢰다
- 문례관 김귀영을 인견하고 중국 사신에 대해 듣다
- 김수문을 지중추부사로, 남치근을 동지중추부사로 삼다
- 햇무리와 달무리가 지다
- 동지경연사 조사수와 사성 이하의 벼슬을 차임하는 일을 의논하다
- 석강에 나아가다
- 햇무리가 지다
- 헌부가 순찰사의 직임과 이남의 방비에 대해 아뢰다
- 삼공·영부사 등에게 순찰사의 일을 의논하여 아뢰게 하다
- 달무리가 지고, 흰 무지개가 달을 꿰다
- 비변사와 대신이 순찰사의 일을 의논하여 아뢰다
- 경상도 순변사 김수문이 배사하니, 변고에 잘 대비하라고 전교하다
- 정주 별연 위사 정종영이 중국 사신을 만난 일을 아뢰다
- 신여종·유전·김덕룡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햇무리가 지고 태백이 나타나다
- 경회루에 나아가 습의하다
- 예조 판서 홍섬이 사신을 접대하는 예에 대해 아뢰다
- 문례관 김귀영이 사신과 만나 칙서를 받드는 예를 논의한 일을 아뢰다
- 선농제에 쓸 향축을 전하다
- 칙서를 받든 뒤 반사하는 예에 대해 논의하다
- 영의정 심연원이 사직했으나 윤허하지 않다
- 태백이 나타나다
- 예조가 칙서를 받들 때의 예에 대해 아뢰다
- 햇무리가 지다
- 문례관 김귀영이 중국 사신과 칙서를 받드는 예에 대해 의논한 일을 아뢰다
- 햇무리가 지다
- 중국 사신이 세자가 나와 접대해야 한다고 요구한 일을 의논하다
- 영의정 심연원 등이 어린 세자가 나아가 사신을 접대한 전례가 없다고 아뢰다
- 윤개 등이 중국 사신과 만나 예모를 의논한 일을 아뢰다
- 중국 사신과의 상회례 때에 세자가 나가지 못함을 고할 말을 의논하게 하다
- 헌부가 반사를 내리는 일이 너무 잦다고 아뢰다
- 태백이 나타나다
- 모화관에 거둥하여 칙서를 맞이하다
- 태평관에 거둥하여 익일연을 행하다
- 태백이 나타나다
- 좌승지 박충원이 상사가 선물에 불만이 있다고 아뢰다
- 영의정 심연원이 병으로 사직하다
- 태백이 나타나다
- 좌부승지 정종영이 중국 사신이 활을 선물로 받고자 함을 아뢰다
- 상사에게 예물을 더 주라고 전교하다
- 좌의정 상진이 영의정 심연원을 잉임할 것을 청하다
- 이택·홍천민·조광언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햇무리가 지다
- 상사에게 예물을 더 주고 은밀히 알리라고 명하다
- 밤에 손방·곤방·동방이 화기 같다
- 평안도 의주에 종일 흙비가 내리다
- 헌부가 전 사의 구엄에게 직첩을 내린 일이 부당함을 아뢰다
- 예조가 계산군이 졸하였으므로 철조할 것을 청하다
- 태백이 나타나고, 금성이 묘성을 범하다
- 다음 명종 13년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