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숙종실록64권, 숙종 45년 8월
-
- 이만성을 부제학으로 삼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다
- 우부승지 김재로가 금오 당상의 과실을 추고할 것을 건의하다
- 헌부에서 좌랑 문덕린과 사천 현감 하필도의 파직을 청하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다
- 함일해, 양익도 등의 죄를 논한 끝에 종중 감처하다
- 유성이 나타나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다
- 비국에서 홍석보를 충청도 균전사로 삼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다
- 세자가 황보인의 후손에 대한 의망을 전조에 분부하다
- 사문에서 날이 개기를 비는 제사를 올리다
- 김상원을 승지로 삼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다
- 윤헌주를 행 도승지로, 이만성을 공조 판서로 삼다
- 표류 왜선의 처리·경차관 차출·무과 신출신의 부임 등에 관한 조정의 논의
- 비국에서 민진원을 강화 구관 당상으로 삼다
- 정언 정택하를 파직시키다
- 헌부에서 곤양 군수 허기의 파직을 청하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다
- 강원도에서 민가가 물에 잠기다
- 양전청의 혁파·진청의 운용 비용·삼군문의 규례에 관한 세자와 대신의 논의
- 김연을 도승지로 삼다
- 임금이 자신의 병에 대한 신료들의 무관심에 섭섭함을 표하다
- 예조에서 제향 때의 음악과 춤을 예전에 따라 복구할 것을 청하다
- 임금의 환후가 심해 약방이 사옹원으로 옮겨 숙직하다
- 패선하여 익사한 충청도 면천군 수영 군인에게 휼전할 것을 명하다
- 헌부에서 황해 수사 박창윤의 죄상을 밝히고 파직을 청하다
- 김재로·홍용조·김민택·조관빈·한중희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여 예조의 진시 부거에 대해 논의하다
- 양역의 폐단에 관한 지평 홍우전의 상소문
- 필선 이국휴 등이 임금의 환후가 심하니 예전의 거행을 늦추자고 건의하다
- 한세량을 승지로 삼다
- 도제조 이이명이 각사 이서의 태거 중지를 건의하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다
- 달이 필성의 좌각성을 범하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다
- 달이 동정으로 들어가다
- 간원에서 이한규·이규성의 정죄와 형조의 해당 당상의 추고를 청하다
- 헌부에서 전에 진달했던 것을 거듭 아뢰다
- 입대 시간에 대한 필선 이국휴의 논의
- 지평 홍용조가 탕평을 청하자 지평 이만이 배척하다
- 윤봉조·조상경·송진명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강원 감사 유숭이 수재 입은 백성을 고휼할 것을 청하다
- 각사 회계에 관한 간원의 논의
- 임금이 관무재의 거행을 명하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다
- 평안도 은산 등지에 우박이 내려 큰 피해를 입다
- 승지가 동궁에 입대하였고, 장령 남세진이 관서 각역의 부담 경감을 건의하다
- 서리가 내리다
- 김상옥을 정언으로, 조관빈을 교리로 삼다
- 양역 변통과 양전 정지, 사유시 금고 처리 등에 관한 세자와 대신의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