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종실록16권, 고종 16년 2월
-
- 부대부인의 생신이므로 문안하도록 하다
- 김규홍을 이조 참의에 임명하다
- 인정전에서 춘도기를 설행하다
- 이원명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서당보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세자의 탄신일에 여러 대신들에게 사찬하다
- 성균관에서 관학 유생의 응제를 행하다
- 경범 죄수를 석방하도록 하다
- 성책에 계하하여 조만혁 등 38명을 석방하다
- 감시 초시의 시관 김영수 등을 모두 분간하라고 명하다
- 위리안치한 죄인 최익현 등을 방송하다
- 승정원에서 최익현 등의 석방을 철회할 것을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다
- 양사에서 최익현 등의 석방을 철회할 것을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다
- 홍문관에서 최익현 등의 석방을 철회할 것을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다
- 김병지를 소견하다
- 이병문을 형조 판서에, 민영규를 동부승지에 임명하다
- 이병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조창선을 세내어 실어 바칠 것을 윤허하다
- 이승수를 대사헌에, 홍우길을 홍문관 제학에 임명하다
- 청산도의 수재를 당해 죽은 사람들에게 휼전을 베풀다
- 조성하를 이조 판서에 임명하다
- 김보현을 예조 판서에 임명하다
- 민영목을 광주부 유수에 임명하다
- 세납을 지연시킨 수령들을 파직시키다
- 각 아문 아전의 정비를 조목 이외에 토색질하는 것을 금지할 것을 명하다
- 도적을 근절하는 일을 게을리하는 포도청 관리들을 엄하게 신칙할 것을 윤허하다
- 이근수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삭과인 김부성을 특별히 복과할 것을 명하다
- 춘당대에 나아가 경과 정시 문무과를 행하다
- 이승순을 대사성에, 구연홍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임명하다
- 인정전에서 일차 유생 전강을 행하다
- 남북관 공도회의 시와 부에서 과거 급제자를 각각 1명씩 더 늘리는 것을 윤허하다
- 춘당대에서 삼일제를 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