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실록20권, 고종 20년 8월 1일 무신 1번째기사
1883년 조선 개국(開國) 492년
- 고종실록20권, 고종 20년 8월
-
- 시임 대신과 원임 대신, 이사 등의 관리들을 소견하다
- 충주 등의 고을에 시상하도록 명하다
- 민영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총융청의 별초군을 어영청에 이속시키도록 하다
- 갑옷과 투구 및 화살통을 만들 때 감독한 당상 이하에게 시상하다
- 김온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유흥영, 이긍선, 조철증 등에 대해 정계하여 들이도록 하다
- 승정원에서 유흥영 등에 대해 정계하도록 한 명을 철회할 것을 청하다
- 양사에서 유흥영 등에 대해 정계하도록 한 명을 철회할 것을 청하다
- 홍문관에서 유흥영 등에 대해 정계하도록 한 명을 철회할 것을 청하다
- 의정부에서 충주 등지의 고을에 시상하는 일에 관하여 아뢰다
- 박선수를 대사성에 임명하다
- 인정전에 나아가 일차 유생 전강을 설행하다
- 윤우선을 강원도 관찰사에, 윤치담을 이조 참의에 임명하다
- 양사에서 유흥영 등에 대해 정계하다
- 조석여를 홍문관 제학에, 민영준을 대사성에 임명하다
- 김병국이 감사와 병사 등을 선발하는 일과 당오전의 폐단에 대해 아뢰다
- 성주목에서 민란이 일어난 것에 대해 경상 감사 조강하가 장계를 올리다
- 성주목 난민들이 변란을 일으킨 것에 대해 안동 부사 조병호를 안핵사에 임명하다
- 진전에 나아가 다례를 행하다
- 전 충청 감사 이승오를 처벌하도록 명하다
- 신천 등 수해를 입은 고을의 민호들에게 구제조치를 취하다
- 의정부에서 동래 민란의 주모자 처벌에 관하여 보고하다
- 민영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전라우도 수군절도사 민경호를 잉임시키라고 명하다
- 의금부에서 이승오를 여산부에 찬배할 것을 아뢰다
- 종묘에 나아가 전알하고 경모궁에 나아가 전배하다
- 경상도의 공납 중 30만 냥을 본 도의 기근 구제자금으로 획부하다
- 진전에 나아가 다례를 행하다
- 오준영을 이조 참판에, 여규익을 참의에 임명하다
- 의정부에서 황해도의 병인년 별비곡 모곡을 개성 영에 획급하도록 아뢰다
- 송병선을 대사헌에, 유내준을 대사간에 임명하다
- 혜상 공국을 설치하고 보부상들을 관할통제하게 하다
- 친군 좌우감독의 부신으로 밀부와 전령패를 하게 하다
- 윤병정을 예조 판서에 임명하다
- 친군 좌우감독이 차는 부신으로 밀부와 전령패를 하게 하다
- 조병직, 이헌영, 정현석 등을 인천, 부산, 원산 세 항구에 파견하다
- 친군 좌우감독은 감독 겸 영무처로 병조에서 비준하게 하다
- 통리군국사무아문의 분사장정사무규칙을 마련하여 보고하다
- 구휼을 하고 술을 금지하는 등의 일에 관하여 구건희가 상소하다
- 수해를 입은 강령현을 위유사로 하여금 돌보게 하다
- 조영하를 공조 판서에 임명하다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서 세 항구에 감리사무설치사목을 수정하여 보고하다
- 관서에 있는 성향미 2만 섬을 영남에 주고 돈 1만 냥을 주어 진휼하는 자본으로 삼다
- 경상도의 호포의 폐단 등에 관하여 허직이 상소하다
- 이회영이 형조 참판 이용원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리다
- 형조 참판 이용원을 처벌하도록 이순범이 상소하다
- 유학 채상우가 상소하면서 《통감정요》와 《보습》 한 권을 올리다
- 헌릉과 인릉에 나아가 친제하다
- 흥인군 내외의 묘지 등에 치제하게 하다
- 김온순을 공조 판서에 임명하다
- 의정부에서 친기위 도시와 구건희의 상소 등에 대하여 아뢰다
- 서원을 재건하도록 조성교가 상소하다
- 추국을 할 때 위관을 우의정으로 정하다
- 백낙관에게 결안을 받들어 정법하고 추국청을 철파하다
- 이인명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양사에서 백낙관을 빨리 사형시키도록 청하다
- 민태호 등을 혜상 공국의 관리에 임명하다
- 인천항의 일본 조계 조약을 체결하다
김인후(金麟厚)
- 성명김인후(金麟厚)
- 신분문반
- 자후지(厚之)
- 호하서(河西)
- 본관울산(蔚山)
- 생년1510
- 몰년1560
- 국가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