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실록80권, 영조 29년 12월
-
- 대사헌 송창명을 파직하다
- 우부승지 조명정이 삼복을 행한 왕세자의 말을 전하다
- 추상 휘호 경과는 대증광으로 거행하라고 명하다
- 반궁에서 선비를 시험하다
- 숭릉의 기신제에 쓸 향을 전하다
- 영의정 김재로 등이 방경에 대해 아뢰나 듣지 않다
- 김양택·이하종을 승지로 삼다
- 경자년의 애통함과 날씨의 이변에 관해 하교하다
- 통천 군수 정석교에게 새서 표리를 내리다
- 좌의정 이천보가 감선하라는 하교를 거두기를 청하다
- 유성이 나타나다
- 서평군 이요 등이 내년 세수에 성례를 행할 것을 청하다
- 경상도 관찰사 이이장이 사직을 청하나 비답을 내리다
- 좌의정 이천보가 거지의 구제에 관해 아뢰다
- 윤봉조에게 한 지급을 더해주고 평안도 관찰사 홍상한을 내직에 의망하다
- 김광세·임위·채경승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강원 감사 윤득화가 삼을 봉진하는 사체에 관해 아뢰다
- 흉년이 심한 고을의 환곡을 정지시키다
- 환곡의 정지에 관해 대신들과 의논하다
- 이조 판서 홍봉한을 체차하다
- 신만을 이조 판서로 이익정을 병조 판서로 삼다
- 조영국·이게·성천주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도당록의 거행에 관해 명하다
- 삼상과 왜역의 사체를 살펴 아뢰게 하다
- 서계를 행하다
- 집의 임위가 전달을 상달하나 따르지 않다
- 홍문 제학 서종급을 충청 수사에 보임하고 조재호로 갈음하다
- 천둥하다
- 영의정 김재로·좌의정 이천보가 천둥의 이변 때문에 면직을 청하다
- 홍문 제학 조재호의 체직을 허락하고 남유용으로 갈음하다
- 도제조 아문에는 도위를 제조에 의망하지 말라고 명하다
- 정형복·서명빈·이태중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예조 판서 김상성이 의주도를 읽다
- 책보를 명정전에 봉안하다
- 서연에서 왕세자가 궁관에게 오언시와 감귤을 내리다
- 시종 이상으로 반열에 진참하지 않은 자는 파직하다
- 숙종 대왕·인경 왕후·인현 왕후의 존호를 가상하고 책보를 올리다
- 태묘와 영희전의 납향에 쓸 향을 전하다
- 대왕 대비전의 존호를 영복으로 가상하다
- 우부승지 이하종에게 죄수를 소석하게 하다
- 시종 이상에 대한 처분을 정지하라고 명하다
- 존호를 가상하는 책보를 명정전에 나아가 모시는 의식
- 태실에 존호를 가상하는 책보를 전하는 의식
- 태실에 존호를 가상할 때 왕세자가 입참하여 예를 행하는 의식
- 태실에 존호를 가상할 때 책보를 올리는 의식
- 대왕 대비전에 존호를 가상할 때 책보를 올리는 의식
- 대왕 대비전에 존호를 가상할 때 왕세자가 입참하여 예를 행하는 의식
- 대왕 대비전에 존호를 가상할 때 책보를 올리는 의식
- 대왕 대비전에 존호를 가상한 뒤 친히 표리를 지어 바치는 하의
- 대왕 대비전에 존호를 가상한 뒤 왕세자가 표리를 지어 바치는 하의
- 대왕 대비전에 존호를 가상한 뒤 중궁전이 표리를 지어 바치는 하의
- 대왕 대비전에 존호를 가상할 때 대전과 왕세자의 치사를 들이는 의식
- 사전에 존호를 가상한 뜻을 밝힌 교서
- 대신들의 자급을 더해주고 안구마를 하사하다
- 기내와 삼동에 심휼사를 보내 민간의 기곤과 영어의 원왕을 살피게 하다
- 판부사 이종성이 하반에 입찰하다
- 이육·박사눌·구수국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영의정 김재로·좌의정 이천보가 청대하다
- 영의정 김재로 등이 주갑과 임어 삼기를 맞아 경례를 행하기를 아뢰다
- 황경원을 승지로 삼다
- 빈청에서 다시 상의 주갑에 관해 아뢰다
- 한광회를 승지로 삼다
- 경중 오부의 원호와 인구 수
- 이전 영조 29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