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조실록43권, 정조 19년 7월
-
- 경모궁에서 삭제를 친행하다
- 예조가 선희궁의 생신일에 전배례를 행하는 의절에 관하여 품하다
- 이의필을 홍문관 부제학, 이만수를 규장각 직제학으로 삼다
- 전 승지 정대용 등을 파직하고, 명소부를 잘못 전달한 해당 승지를 삭직하다
- 좌의정 유언호가 죄인을 배소로 돌려보내는 일에 관하여 아뢰다
- 고성 군수 이성보를 체직하다
- 성덕우를 이조 참의로 삼다
- 김희를 동지 겸 사은 정사, 이형원을 부사, 조덕윤을 서장관으로 삼다
- 국자와 전조는 상호 의망하지 못하도록 하는 규정을 다시 밝히다
- 한용귀를 이조 참의로 삼다
- 박종래를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대사헌 권유가 세 사람을 타살한 포장을 나문하고 천주교 전파의 금지를 상소하다
- 관북에서의 진휼을 끝마치다
- 경기에서의 진휼을 끝마치다
- 수원에서의 진휼을 끝마치다
- 지평 신귀조가 성상에 대한 무함을 해명하는 설을 상소하다
- 서유방의 죄상과 천주교의 폐해를 상소한 행 부사직 박장설을 조적에서 삭제하다
- 경기 도사 조득영이 본도 감사 서유방이 업무를 폐한 채 대죄하고 있다고 아뢰다
- 영중추부사 김희가 죽을 죄를 들어 상소하다
- 판돈녕부사 이풍이 죽다. 예조가 대원군의 주사자 이희에 관한 변통에 대해 아뢰다
- 칠일제를 반궁에서 설행하다
- 동래 부사 윤장렬이 일본의 건저에 관한 일로 장계를 올리다
- 평안도 관찰사 김재찬이 이장인 최봉덕이 첨사 이신형을 구타한 일로 치계하다
- 서유방을 형조 판서로 삼다
- 형조 판서 서유방을 누차 소명을 어긴 죄로 경기 관찰사에 보임하라고 명하다
- 이의필을 사헌부 대사헌, 민태혁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삼다
- 이조원을 형조 판서, 서유린을 공조 판서로 삼다
- 서유린을 판의금부사로 삼다
- 평안도 관찰사 김재찬이 안주 청천강의 범람으로 인한 피해를 치계하다
- 태묘를 참배하다
- 화성의 성역 및 물역과 관련한 별단
- 제도의 가을철 군사 훈련을 정지하다
- 선희궁에서 작헌례를 행하다
- 망위례를 행하다. 선무사를 살펴보게 하고, 오 학사의 사손을 의망하라고 명하다
- 관학 유생 박영원 등이 천주교로 혹세무민하는 이가환 무리의 전형을 상소하다
- 수찬 최헌중이 성학에 힘쓰면서 이단을 바로잡아 세도를 안정시킬 것을 상소하다
- 이가환을 사학의 폐가 심한 충주의 목사에 보임하다
- 이승훈을 예산현으로 정배하다
- 윤행원을 이조 참의로 삼다
- 서용보를 이조 참의로 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