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종실록1권, 효종 즉위년 6월
-
- 호조 판서 원두표가 붕당의 폐해와 이의 시정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리다
- 예조 참판 허계가 존호를 더 올릴 것을 간하였으나 대신들이 반대하다
- 사헌부가 허계의 파직을 간하여 허락하다
- 인조의 죽음을 애도하는 굿을 궁중에서 금지하도록 우참찬 조경이 아뢰다
- 사헌부가 예복 예절에 대하여 몇가지 고하다
- 예조가 상복예와 진향하는 예에 관하여 아뢰다
- 《오례의》에 근거하여 임금과 세자의 복장에 대하여 예조가 아뢰다
- 공제 후 정사를 보기로 의논하다
- 김집·송준길·권시·이유태 등을 조정으로 불렀으나 권시·이유태는 돌아갈 것을 간하다
- 소명을 받고 올라온 자를 접대할 것을 지시하다
- 김집을 예조 참판에 제수하다
- 병조가 이유태의 관직을 거론하였으나 반대하다
- 조경·김경여·정유성·이시해·이행우·홍명하·유계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정경 부인 김씨·숙안군 주와 숙명군 주·부위에게 새로 작위를 봉하다
- 이조와 병부에게 신중하게 인사할 것을 당부하다
- 병폐의 원인과 구제책을 진술하여 책으로 만들 것을 사헌부가 간하다
- 허적에게 평양 감사를 제수하다
- 도승지 김남중이 정언 유계의 체직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
- 예조 참판 김집이 사직을 청하여 허락하다
- 사간원이 관방의 문란함을 시정할 것과 졸곡 전에 경연을 열 것을 간하다
- 졸곡 전의 형벌에 대하여 대신들이 의논하다
- 세자의 서연에 대하여 대신들과 의논하다
- 근래 제수된 수령들의 상태를 살펴 올리도록 하다
- 풍덕군의 읍호를 부로 승격시키다
- 빈전에서 망제를 행하다
- 사헌부에서 현재의 폐단을 논하여 올리다
- 김익희·박장원·송시열·송준길·선우협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영의정 김자점을 탄핵한 김홍욱과 이석을 체차시키다
- 정원에서 김홍욱과 이석의 체차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
- 대간에서 김홍욱 등의 체차에 반대하며 사직을 청하자 허락하다
- 대사헌 조경과 정언 이무가 언로의 막힘을 걱정하며 체차를 청하다
- 대사헌 조경은 출사하게 하고 정언 이무는 체차시키다
- 조익·이시방·심대부·송시열·조복양·심세정·최온·엄정구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대사간 김경여가 묘호 제정시 상의 잘못을 지적하는 상소를 올리다
- 김집·이지항·유계·장응일·이경휘·권대운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사헌부가 해조 당상과 낭청을 추고할 것을 간하다
- 함경도에 전염병이 돌아 약물을 보내 구제하도록 하다
- 소현 세자의 아들 문제로 담당자 김광택을 치죄하라고 명하다
- 형조에서 보고한 죄수의 수가 많아 처결하도록 분부하다
- 이조와 병부에게 인사를 신중하게 할 것을 당부하다
- 양사에서 김자점의 죄목을 들어 파직을 간하여 이에 따르다
- 신천익·권시·이유태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양사에서 이형익의 사형을 간하였으나 선조의 뜻을 들어 유배시키는데 그치다
- 사헌부가 호조 판서 원두표의 분당의 책임을 들어 파직을 아뢰어 따르다
- 공조 참판 김집이 《오례의》에 근거한 항목 7가지와 초상의 절차를 적어 책자로 올리다
- 좌의정 이경석이 김집의 상소를 보충하여 책자를 만들어 올려 그것을 논의하게 하다
- 김집의 상소에 대한 예조의 의견을 듣다
- 김상헌을 극진히 대접하고 사직하지 말 것을 간곡히 부탁하다
- 장령 송시열이 입대를 허락받지 못하자 상소하고 떠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