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실록113권, 세종 28년 7월
-
- 일본국 축전주의 등원정청이 사람을 보내 원숭이를 바치다
- 공법의 폐단 및 그 방책에 관한 성균 주부 이보흠의 상소문
- 경기 관찰사가 소헌 왕후의 빈전에 제전을 올리다
- 평안도 도절제사 박이령을 변경에 보내 야인을 다스리도록 건의하였다
- 국장 도감에서 상여 메는 군사들의 입에 하무를 물리기를 건의하다
- 큰비가 오다
- 의정부에서 휘덕전의 조석 상식에 대해 건의하였다
- 큰물이 지다
- 승정원에 산릉의 역사로 인한 폐해에 대해 이르다
- 개성부 유수가 소헌 왕후의 빈전에 제전을 올리다
- 야인 낭삼파를 의금부에 보내 처모를 구타한 죄를 국문하였다
- 충청도 관찰사가 소헌 왕후의 빈전에 제전을 올리다
- 기청제를 지내다
- 사헌부에서 소헌 왕후의 빈전 삭제에 참례하지 않은 사람에게 죄를 청하였다
- 최사의·이형증·조욱수·박배·이화에게 관직을 제수하였다
- 강원도 관찰사가 소헌 왕후의 빈전에 제전을 올리다
- 햇무리하였다
-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성계성에게 죄주기를 청하였다
- 의정부에서 원경 왕후의 장의에 대해 아뢰다
- 경상도 관찰사가 소헌 왕후의 빈전에 제전을 올리다
- 김해부의 백성 김사덕의 아내에게 쌀과 콩을 내려 주었다
- 사헌부에서 서원으로 세량을 도용한 사람에 대해 논죄할 것을 아뢰다
- 경기도의 안성·양성·죽산 등처에 큰비가 와서 13명이 압사하였다
- 황해도·평안도와 함길도의 지역에 황충이 발생하였다
- 전라도 관찰사가 소헌 왕후의 빈전에 제전을 올리다
- 충청도 충주에 큰비가 와서 9명이 죽다
- 함길도 관찰사가 소헌 왕후의 빈전에 제전을 올리다
- 도체찰사 황보인이 함길도에서 행성을 쌓는 역사를 마치다
- 평안도 관찰사가 소헌 왕후의 빈전에 제전을 올리다
- 황해도 관찰사 조수량에게 병충해에 온 힘을 다할 것을 유지하였다
- 소헌 왕후의 발인에 쌀과 술을 보내 군사와 백관들을 접대하였다
- 계빈장의
- 조전의
- 견전의
- 발인의
- 노제의
- 재궁을 유주에 태워 능소에 이르게 하였다
- 황해도 해주와 강령에 큰 바람이 불고 비가 와 짠물이 들어오다
- 황해도 관찰사가 능소에 제전을 올리다
- 영릉에 장사하고 초우제를 지내다
- 천전의
- 사후토의
- 입주전의
- 반우의
- 안릉전의
- 영릉의 조석 상식의
- 주다의
- 휘덕전의 조석 상식의
- 능실의 제도
- 의정부에서 영릉의 기년내 별제에 왕세자가 행례한 의식을 아뢰다
- 기년내의 사시 대향 및 삭망·유명일의 별제에 대군·제군이 행례하는 의식
- 의정부에서 경상도의 보리와 밀 종자에 대해 제사할 것을 아뢰다
- 재우제를 지내다
- 대소 신료에게 승정원을 통해서 정령을 계달할 것을 전지하였다
- 환자 김득상의 4품 이상의 직첩을 회수하였다
- 강원도와 경기도의 일대에 황충이 발생하였다
- 함길도 도절제사의 건의를 예조에 명하여 의논하였다
- 의정부에서 평안도로 방수를 가는 군사의 불편함을 아뢰다
- 삼우제를 지내다
- 졸곡이 지난 후에 대궐에서 고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전지하였다
- 사헌 집의 정창손이 우의정 하연을 추핵할 것을 아뢰다
- 사우제를 지내다
- 예조 판서 정인지에게 소헌 왕후의 상사에 최복을 입는 것에 관해 이르다
- 오우제를 지내다
- 경상우도에서 바닷물이 붉고 검어져 고기가 죽다
- 의정부에서 황해도와 개성부의 곡식 종자에 대해 제사할 것을 건의하였다
- 육우제를 지내다
- 동궁의 면복을 중국에 주청하는 것에 관해 의논하였다
- 형조에 여기가 낳은 유품과 조관의 자식을 속신하라고 전지하였다
- 병조에서 변장에게 자제를 거느리고 부임하지 말 것을 건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