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조실록54권, 정조 24년 4월
-
- 일식이 있다
- 조윤대를 이조 참판에 임명하다
- 문무과 전시를 실시하다
- 무과 전시의 2등 합격자 성명이 방목에서 누락된 일로 영의정 이병모가 인혐하다
- 강원도 암행 어사 권준의 장계에 대해 답하는 전교를 내리다
- 새로 급제한 민기현과 김이도를 특별히 부수찬에 제수하라고 전교하다
- 이여송의 후손으로 무과에 급제한 이희장에게 도총부의 경력을 제수하라고 명하다
- 신급제 신굉을 선전관으로, 서춘보를 무겸 선전관의 후보로 올리라고 명하다
- 충청도 관찰사 김이영을 감봉 처분하고 영춘 현감 김수조를 지평으로 불러 올리다
- 이희장의 홍패에 씌어 있는 청나라 연호를 고치게 하다
- 고경명의 후손 고정봉에게 전라 도사의 자리를 주도록 명하다
- 신하들을 불러 접견하다
- 김재찬·윤광안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유생 김종진 등이 성삼문·유응부·이개·유성원·이보흠의 제사를 보존하고 이종검.이지활의 절의를 표창해 달라고 상소하다
- 김종정의 아들 김회연을 설서 자리의 후보로 올리도록 지시하다
- 예조 판서 이만수가 왕세자빈의 간택을 가례 도감을 설치하여 맡기자고 건의하다
- 재전에서 영의정 이병모를 차대하여 생원·진사시의 엄격한 시행 등을 의논하다
- 이운익을 이조 참판으로 임명하다
- 강원도에 암행 어사로 나갔던 권준이 돌아오다
- 권준이 암행한 지역의 민폐와 그 해결책을 아뢰는 별단을 올리다
- 어사 권준을 불러 접견하다
- 권준이 통천과 흡곡의 민폐와 그 해결책을 아뢰다
- 좌승지 의의봉을 공조 참판으로 발탁하다
- 세자가 우빈객 김재찬과 상견례를 행하다
- 어영 대장 좌포도 대장 이득제를 유임시키다
- 영의정 이병모, 좌의정 심환지를 차대하다
- 예조 판서 이만수가 생원·진사시의 조흘강을 엄격히 하는 방안을 아뢰다
- 내섬시를 혁파하여 의영고에 합병하다
- 함경남·북도의 시험을 주관하는 도사와 평사를 서로 바꾸지 않기로 하다
- 송환기를 판의금부사로 삼다
- 지평 조항진이 서연관의 엄선, 과거법의 개선, 수령의 임명, 송정, 품직 추증 등에 관해 상소하다
- 의정부가 강제 문신을 뽑아 명단을 보고하다
- 남공철·이의필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병조 판서 조진관의 사임을 허락하고 김재찬을 후임으로 정하다
- 각도의 대·소과 향시의 과장을 각 고을에 돌려가며 설치하기로 하다
- 김희순을 이조 참의에 임명하다
- 차대하여 과거법의 개선에 관하여 논의하다
- 어영 대장 이득제를 파직하다
- 강원도 관찰사 남공철을 유임시키다
- 장령 한계옥이 훈장으로 하여금 향음주례와 향약을 가르치도록 하자고 건의하다
- 이득신을 형조 판서로 임명하다
- 삼도의 유생들이 상소한 일에 대해 성균관의 장의를 불러 타이르게 하다
- 채홍리를 강화부 유수로 임명하다
- 재자관 김경위가 청의 숙친왕 영석이 황후에게 뇌물을 바쳤다가 벌받은 일을 보고하다
- 진하 정사 구민화와 부사 한용귀가 황제의 동정을 전하는 장계를 올리다
- 신대현을 좌포도 대장으로 임명하다
- 전 어영 대장 이득제를 유임시키다
- 이조원을 판의금부사로 임명하다
- 차대하여 대신들과 가뭄, 계복, 중관의 복식, 성균관 유생에 대한 강경 등을 논의하다
- 조흘강의 시관 차출에 관해 논의하다
- 이한풍과 신대겸에게 관직을 제수하다